본문 바로가기

2022/01

(13)
코브라 여신 레네누테트의 다양한 역할 레네누테트Renenutet(또는 테르무티스Termuthis, 에르누테트Ernutet, 레네네트Renenet)는 델타 지역의 코브라 여신이었다. 그녀는 매우 강력해 그녀의 눈빛만으로 적들을 파괴할 수 있었다. 하지만 고대 이집트인들은 그녀를 두려워할 이유가 없었다. 그들 삶의 많은 부분에서 레네누테트의 보호를 받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녀는 여성, 코브라 또는 코브라 머리에 태양 원반이나 깃털 장식을 한 여성으로 묘사되었다. 레네누테트는 또 ‘라의 눈’ 형태에서의 하토르 여신처럼 사자 머리를 가진 것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앞서 언급했듯이 지하세계에서 그녀는 단 한 번의 시선으로 적을 죽일 수 있는 불을 뿜는 코브라가 되었다. 그녀의 이름은 ‘키우다’, ‘양육하다’라는 뜻의 ‘rnn’과 ‘뱀’을 의미하는 ‘w..
나일 카타락트의 여신 사티스의 다양한 역할 사티스Satis(또는 사테트Satet, 세테트Setet, 사티트Sathit, 사티Sati, 세티스Setis)는 나일 카타락트(폭포 지대)의 궁수의 여신이었다. 그녀의 이름은 ‘쏘다’, ‘퍼붓다’라는 뜻의 ‘사트Sat’에서 유래했다. 이것은 사티스를 사냥의 여신으로서 ‘활을 쏘는 여자’ 또는 나일 카타락트의 수호신으로서 ‘물을 퍼붓는 여자’ 정도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사티스는 사냥의 여신이자 물의 여신이었다. 그녀의 이름은 원래 어깨 매듭의 상형문자로 쓰여졌으나 나중에는 소의 가죽을 화살로 뚫는 표시로 대체되었다. 사티스는 또 전사(또는 전쟁)의 여신으로서 파라오는 물론 고대 이집트의 남쪽 경계를 보호했고 다산(또는 풍요)의 여신으로서 홍수를 일으켰고 나일강의 신화적 수원으로 여겨지는 지하세계의 ..
믹틀란테쿠틀리와 아즈텍 창조신화로 본 인간의 체격이 제각각인 이유 믹틀란테쿠틀리Mictlantecuhtli는 아즈텍 신화에 등장하는 신이었다. 그의 이름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아즈텍 신화에서 저승이나 지하세계 또는 죽음의 땅인 ‘믹틀란Mictlan의 지배자’라는 뜻이다. 고대 아즈텍 사람들은 사후에 가는 많은 낙원이 있고 그 낙원에 들어가는 것은 죽음의 방식에 달려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이러한 낙원에 들어가지 못한 사람들은 믹틀란테쿠틀리가 지배하는 지하세계인 믹틀란으로 간다고 생각했다. 고대 아즈텍 사람들은 우주가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고 생각했다. 맨 상층은 하늘인 일루이칵Ilhuicac, 중간은 대지 또는 생명체의 땅인 틀랄틱팍TlalticpacThe이 있으며 맨 아래는 지하세계인 믹틀란이 존재한다고 믿었다. 아즈텍인들은 또한 지하세계 믹틀란은 아홉 개의 층..
클리오드나, 그녀를 사랑하지 마세요! 켈트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들의 이야기에는 뛰어난 변신술, 마법의 새, 수많은 상징 등이 등장한다. 켈트 여신들에게서 발견되는 또 하나의 공통점은 그들에 대한 모순된 신화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즉 켈트 여신들 이야기는 신화와 현실의 경계를 마치 안개처럼 넘나든다. 그 여신들 중 하나가 클리오드나일 것이다. 켈트 신화에서 클리오드나Cliodhna는 미의 여신이자 바다의 여신이며 사후세계의 여신이다. 투아하 데 다난(‘다누 여신의 일족’이라는 뜻으로 기독교 이전 아일랜드에서 숭배되었던 신들)의 하나인 클리오드나는 바다의 신 마난 막 리르Manaan Mac Lir의 딸이다. 그녀는 종종 켈트족 사후세계의 상징인 바다새로 변신하곤 했다. 켈트족 사후세계의 여신으로서 클리오드나는 빛이나 행복과 관련이 있다. 바다의..
위생을 뜻하는 영어 '하이진Hygiene'의 어원이 된 히기에이아 여신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서 히기에이아Hygieia는 건강과 청결, 위생의 여신으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덜 알려진 버금 신들 중 하나이며 그녀의 아버지이자 의학의 신인 아스클레피오스의 수행원이라는 극히 작은 역할만 전해지고 있다. 히기에이아는 그녀의 주요 상징인 ‘히기에이아의 접시’로 더 유명하다. 그녀는 또한 뱀과 함께 묘사되는데 뱀이 그녀의 몸을 감싸고 있거나 히기에이아가 들고 있는 접시에 담긴 물을 마시고 있다. 전설에 따르면 히기에이아는 아스클레피오스와 에피오네의 다섯 딸 중 하나로 회복을 위한 치료를 의인화한 여신이었다. 히기에이아가 건강과 위생, 청결을 상징하는 것처럼 그녀의 자매들도 건강이나 치료와 관련된 각각의 역할을 상징한다. 파나케이아는 만병통치약, 이아소는 질병으로부터의 회복, 아케소는 ..
무섭지만 누구에게나 공평한 신, 안쿠 브르타뉴(프랑스 북서부에 있는 레지옹) 켈트 신화에서 안쿠의 모습은 죽음과 관련이 있다. 키가 크고 검은색 긴 외투를 입고 챙이 넓은 모자를 쓰고 있으며 낫을 어깨에 메고 있는 모습의 해골 안쿠는 죽은 사람들의 영혼을 모은다. 안쿠는 때로 죽은 사람의 영혼을 검은 말이 끄는 수레에 싣는 것을 도와주는 두 명의 해골 도우미를 두고 있다. 안쿠에 대한 많은 이야기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어느 날 밤 귀가하던 중 낡은 수레에 검은 옷을 입은 노인을 만난 세 명의 술 취한 젊은 친구들이 있었다. 그 검은 옷을 입은 노인이 바로 안쿠였다. 젊은 남자들 중 두 명이 노인을 조롱하기 시작했고 돌을 던져 노인의 수레를 망가뜨렸다. 그리고 그들은 서둘러 자리를 떴다. 하지만 세 번째 청년은 안쿠를 불쌍히 여겨 나뭇가지..
에쿠르의 여왕, 마눈갈 마눈갈Manungal(또는 눈갈Nungal, 마갈라Magala, 마누나Manuna)은 고대 수메르인들과 바빌로니아인들, 아카드인들이 숭배했던 지하세계의 여신이자 심판의 여신이었다. 마눈갈의 남편은 비르두Birdu였으며 엔릴Enlil의 손녀 에레쉬키갈Ereskigal의 딸이었다. 마눈갈은 ‘에쿠르Ekur의 여왕’으로 불렸으며 그곳에서 그녀는 ‘생명의 서’를 들고 악인에 대한 심판을 수행했다. 훗날 그녀는 치유의 여신 굴라Gula의 또 다른 이름인 닌티누가Nintinuga와 동일시되었다. 참고로 에쿠르Ekur(또는 두란키Duranki)는 ‘산장’이라는 뜻의 수메르 말로 신들이 사는 신성한 곳이었다.
맹세와 사랑의 여신, 이샤라 고대 히타이트 말로 ‘이샤라Ishara’는 ‘매우 중요한 약속’을 의미하며 ‘맹세의 여신’으로 의인화되기도 한다. 후르리와 셈족 전통에서 이샤라는 사랑의 여신으로 종종 이쉬타르Ishtar와 동일시된다. 이샤라는 산스크리트어로 ‘이쉬와라Ishwara’라고 한다. 이샤라 숭배는 기원전 3천년 경부터 에블라에서 숭배되기 시작했고 이후 니푸르, 시파르, 키쉬, 하르비둠, 라르사, 우룸 등으로 확산되었다. 이 말은 기원전 19세기부터 퀼테페 문헌(아나톨리아 지방에서 가장 오래된 문헌으로 특히 퀼테페는 인도-유럽어족 언어의 초기 기록이 발견된 장소이기도 함)에서 차용어로 입증되었으며 인도-유럽어족에서 가장 먼저 입증된 단어이다. 여신으로서 이샤라는 맹세를 어긴 자에게 가혹한 육체적 처벌을 가할 수 있었다. 육체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