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화와 전설/켈트

(37)
전사들이 전투에 참여하기 전 소환했던 브리튼 섬의 전사 여신, 안드라스테 로마 역사가 카시우스 디오(Cassius Dio, 165년~235년)에 따르면 안드라스테(Andraste) 또는 안드라스타(Andrasta)는 60년 로마의 브리튼 점령에 맞서 싸운 부디카(Boudica, 30년~61년, 브리튼 섬 이케니족의 여왕)가 숭배한 전쟁의 여신이었다. 그녀는 나중에 승리의 여신으로 묘사된 안다테(Andate)와 동일시되었다. 그녀의 이름은 ‘파괴할 수 없는’ 또는 ‘정복할 수 없는’이라는 뜻으로 해석되었다. 그녀는 또한 까마귀, 점술과도 관련이 있었다. 그녀는 매우 강력한 여신으로 전투가 시작되기 전 승리를 기원하기 위해 소환되었다. 그녀의 혈통이나 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안드라스테는 종종 아일랜드의 전사 여신 모리안(Morrigan)이나 갈리아의 보콘티족이 숭배한..
갈리아 여신 안다르타가 로마 여신 미네르바에게 분노한 이유 안다르타(Andarta)는 갈리아 남부에서 숭배되었던 켈트 여신이었다. 그녀의 이름을 언급한 비문이 프랑스 남부의 보콘티와 스위스 베른에서 발견되었다. 어둠과 야만, 전쟁의 여신 안다르타는 네메톤데보스(Nemetondevos, 카이사르에 의해 파괴된 판테온, 갈리아의 신들)에서 가장 두려운 존재 중 하나였다. 그녀는 자비 없는 전쟁과 학살을 상징하며 판테온의 주요 전술가이자 전투 기획자였다. 전투와 사냥 모두에서 보인 그녀의 기량으로 ‘가장 곰 같은 그녀’라고 불리는 안다르타는 어떤 짐승이나 사람도 추적할 수 있으며 전장에서 정복할 수 없는 힘이자 갈리아 전사 정신의 전형이었다. 모든 네메톤데보스 신들이 그들의 영토를 정복하고 그들의 숭배와 백성을 파괴한 로마 신들을 싫어했지만 특히 안다르타는 늘 복수심..
웨일스 에어론 강의 어원이 된 대학살의 여신, 아그로나 아그로나(Agrona)는 웨일스 신화에서 남성 같은 모습으로 묘사되는 전쟁과 죽음의 여신이었다. 아그로나는 또 스코틀랜드의 아이르(Ayr) 강의 가설적인 재구성된 원시 켈트어 이름이며 나중에 웨일스의 에어론(Aeron) 강에 적용되었다. 이 주장은 언어적이며 윌리엄 왓슨(William J. Watson, 1865년~1948년, 영국의 지명 학자)의 스코틀랜드의 켈트 지명에 처음 등장했다. 왓슨은 스코틀랜드의 아이르 강이 가설적인 원시 켈트어인 살육과 대학살의 강의 여신으로 돌아갈 수 있으며 그 신의 이름은 아그로나라고 주장했다. 그 당시 탈리에신(6세기에 활동한 브리튼의 음유시인)의 스코틀랜드 전투 시를 주장하기 위해 아이르 강 지명을 사용하려는 의심스러운 스코틀랜드 민족주의자들의 시도가 많이 있었고 왓..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한 어머니 여신, 모드론 웨일스 신화의 여신 모드론(Modron)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녀는 아서 왕 전설에서 마본의 어머니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모드론은 주로 어머니 여신이나 다산의 여신으로 여겨지며 유럽 전역의 다른 유사한 여신들과 혼동되었을 수도 있다. 모드론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증거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그녀는 아서 왕 전설과 연결된 이라는 웨일스 이야기에 등장한다. 모드론에 관한 최초의 언급은 13세기 중반 경의 책 에 실린 웨일스 시 ‘문지기는 누구인가?’인데 여기서 아서 왕은 자신의 문지기와 대화하면서 자신의 업적에 대해 이야기한다. 특히 이 시는 현재는 역사 속으로 사라진 아서 왕의 몇 가지 초기 모험을 암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밖에도 모드론을 언급한 단편적인 문서가 상당수 있다..
꽃의 여신 블로데이웨드가 올빼미로 변한 사연 웨일스 신화에서 블로데이웨드(Blodeuwedd. 웨일스어로 ‘꽃 얼굴을 한’이라는 뜻. ‘브로디웨드’라고도 읽음)는 태양신 러이 라이 거페스(Lleu Llaw Gyffes. 운명의 여신 아리안로드의 둘째 아들. ‘로이 라우 귀페즈’라고도 읽음)의 아내이다. 마법사 마스(Math)와 귀디온(Gwydion)이 금작화, 메도스위트, 참나무 꽃으로 그녀를 만들었다. 블로데이웨드는 의 네 번째 장인 ‘마소노이의 아들 마스’의 중심 인물이다. 러이 라이 거페스의 어머니는 그가 결혼하지 못할 것이라는 저주를 걸었고 블로데이웨드는 이 저주를 뒤집기 위해 창조되었다. 그러나 그녀는 남편에게 불성실했고 남편을 죽이기 위해 연인과 음모를 꾸몄다. 결국 시도는 실패로 끝났고 그녀는 이에 대한 처벌로 올빼미로 변했다. 에 따..
자연의 순환을 상징하는 숲과 사냥의 여신, 플리다이스 사슴이 끄는 전차를 모는 것으로 유명한 숲 속 사슴과 야생동물들의 여신 또는 수사슴의 아내로 알려진 플리다이스(Flidais)는 종종 로마의 디아나, 그리스의 아르테미스 등과 비교된다. 그녀는 종종 ‘아름다운 머리카락을 가진’이라는 뜻의 폴트힌(Foltchaín)으로 불렸다. 사실 플리다이스는 다양한 이야기와 측면을 가진 복잡한 켈트 여신이다. 그녀는 가정과 야생의 자연을 상징하며 처음에는 대지의 어머니로 등장했다. 그녀는 아일랜드의 경작자 영웅 아르덴과 베테이테, 베쿠일레, 디난드 등의 어머니였다. 그들은 플리다이스로부터 공동체를 위해 대지를 경작하고 일할 수 있는 힘을 얻었다고 한다. 플리다이스는 현대 켈트 이교도들에게 숲의 여신으로 인식되고 있다. 숲의 여인으로서 그녀는 야생 동물과 식물을 보호한다..
보주 산맥을 의인화한 사냥의 신, 보세구스 보세구스(Vosegus)는 갈리아 신으로 프랑스 동부에 있는 보주 산맥(Vosges mountains)과 숲을 의인화한 신이었다. 로마 제국에서 보세구스는 사냥의 신으로 활과 방패를 가지고 개를 동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또한 겨드랑이에 새끼 돼지 한 마리를 끼고 있으며 견과류, 도토리, 솔방울 등과도 관련이 있었다. 보세구스 숭배 중심지는 보주 산맥의 최고봉인 도농 산 주변이었다. 도농 산 정상에는 보세구스에게 바쳐진 신전이 있었다. 훗날 로마 제국 지배하의 갈리아 종교에서 보세구스는 보주 산맥의 수호신이었고 그의 이름은 서부 독일과 동부 프랑스 등에 산재해 있는 다섯 개의 비문에 나타나 있다.
안눈의 영주 아라운은 어떻게 프윌과 절친이 되었을까? 켈트 신화에서 아라운(Arawn)은 에 등장하는 이세계인 안눈(또는 안누븐)의 영주였다. 자유자재로 변신할 수 있는 사냥꾼이자 마법사인 아라운은 디페드(또는 디버드)의 영주 프윌과의 관계를 통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아라운은 ‘고귀한’이라는 뜻의 히브리어 아론(Aron)의 웨일스어 형태일 것이다. 이름의 유사성을 고려할 때 아라운은 켈트 신 아루비아누스(Arubianus, ‘경작자’ 또는 ‘쟁기질한 밭의 신’이라는 뜻)의 웨일스어 형태일 수도 있다. 기독교 이후 웨일스 신화가 악마화되면서 아라운도 많은 부정적인 특징을 띠게 되었고 전통적인 지하세계나 이세계의 영주를 뛰어넘는 칭호를 얻게 되었다. 즉 기독교 이후 아라운은 천국을 거부당한 영혼들을 감시하고 영원히 사냥하는 지옥의 사냥개들을 거느린 지옥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