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화와 전설/북유럽

(48)
발키리와 구분이 모호한 전사 여신, 디시르 디스(Dis) 또는 디시르(Disir)로 알려진 여성 정령 또는 여신은 기독교 이전 북유럽과 게르만 민족의 신화와 종교에서 가장 미스터리한 존재 무리 중 하나다. 고대 게르만 민족이 인식한 다른 종류의 영적 존재와 디시르를 명확하게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최고신 오딘(Odin)의 여성 조력자이자 수행신인 발키리(Valkyries)는 한 고대 노르웨이 시에서 ‘오딘의 디시르’로 언급되어 있다. 발키리와 마찬가지로 디시르는 때로는 호전적이지만 때로는 영양을 공급하고 보호하는 신으로 묘사된다. 디시르는 종종 특정 사람, 그룹 또는 지역의 수호신으로 묘사된다. 그러한 묘사는 운명의 신 플리기아(Flygia), 수호여신 하민기아(Hamingia), 특히 대지의 신과 같은 다른 수호신과 그들을 구별하..
변화무쌍한 바다를 상징하는 아에기르와 란 북유럽 신화에는 아에기르(Aegir)와 란(Ran)이라는 부부 신이 등장한다. 이 부부는 바다를 의인화한 신이다. 하지만 한 명은 당신을 두 팔 벌려 환영하고 맥주를 권할 것이며 다른 한 명은 당신을 익사시켜 죽은 영혼들의 세계에 당신을 더해 줄 것이다. 북유럽 신화에서 아에기르와 란 부부는 두려움의 대상이자 숭배의 대상이었다. 이 부부 신은 또 많은 유럽의 바다에 얽힌 신화의 기원을 밝혀 줄 것이다. 선원들은 대양을 안전하게 건너기 위해 또는 그들의 죽은 영혼이 위대한 아에게르의 땅에서 행복을 누릴 수 있도록 이 부부 신에게 황금을 제공할 것이다. 아에기르와 란은 북유럽 신화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거인들 중 두 명일 것이다. 조금 더 정확히 말하면 많이 언급되었을 뿐만 아니라 두 신을 배경으로 한 다..
금지된 사랑의 여신, 로픈 북유럽(스칸디나비아) 신화에서 로픈Lofn은 ‘편안한’, ‘온화한’ 또는 ‘사랑스런’이라는 뜻으로 (금지된) 사랑의 여신이었다. 로픈은 13세기 스노리 스툴루손(Snorri Sturluson, 1179년~1241년, 아이슬란드의 시인이자 역사가)이 쓴 (또는 )와 스칼드 시(9~13세기 아이슬란드 시인들에 의해 개발된 구전 궁정시)에 나오는 케닝(고대 게르만어와 노르웨이어, 고대 영어에 등장하는 간결한 복합어나 비유적 표현)에 등장한다. 에서 로픈은 결혼이 금지되었을 때조차도 태도가 온화하고 결혼을 주선하는 자로 그려진다. 신화학자들은 여신이 함축하는 의미에 대해 다양한 이론들을 제안해 왔다. 로픈은 금지된 사랑의 여신이지만 앞서 언급된 스노리의 에 남겨진 인용문 외에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그녀는 ..
<닐스의 모험>에서 닐스가 괴롭힌 니세의 정체 어릴 적 재밌게 읽었던 동화 중에 이 있다. 책으로도 읽었지만 아마도 필자가 국민학교(지금의 초등학교) 3,4학년 정도 즈음해서 TV로도 방영됐던 기억이 있다. 어른이 되어서야 알게 된 사실이지만 당시 TV에서 보았던 대부분의 애니메이션은 일본 작품이었다. 디지털 시대가 된 지금은 우리나라가 전세계 웹툰 시장을 휩쓸고 있으니 격세지감이 아닐 수 없다. 어쨌든 당시 어린이들의 일요일 아침 잠을 깨웠던 TV 만화영화 중 하나가 바로 이었다. 스웨덴의 셀마 라게를뢰프(1858~1940)가 쓴 원제는 이다. 허구헌 날 부모님 속을 썩이고 농장의 동물들을 괴롭히던 닐스는 어느 일요일 집에서 우연히 니세를 괴롭히다 저주에 걸려 다람쥐만한 난쟁이(또는 니세)가 된다. 그리고는 거위 모르텐을 타고 기러기떼와 함께 스웨..
북유럽 최고신 오딘의 아버지, 보르 북유럽 신화에서 보르Borr는 태초의 신 부리Buri의 아들로 그의 어머니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우리가 아는 것은 그의 아버지가 그를 낳았다는 것뿐이다. 보르라는 이름은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했으며 ‘아들’ 또는 ‘출생’을 의미한다. 즉 부리의 아들 보르에 대한 언급일 것이다. 보르에 관한 이야기는 에 등장하는데 는 아이슬란드 시인이자 역사가인 스노리 스툴루손(Snorri Sturluson, 1178년~1241년)의 의 서장 이후 가장 먼저 나오는 제1부로 북유럽 세계의 창세와 그 멸망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에 따르면 보르는 서리 거인족인 요툰 베스틀라Bestla와 결합해 오딘Odin, 빌리Vili. 베Ve를 낳았다. 남편과 마찬가지로 베스틀라에 대해서도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
낮을 의인화한 신, 다그르 북유럽 신화에서 다그르Dagr는 낮을 의인화한 신이다. 다그르는 고대 노르웨이어로 ‘낮[Day]’을 의미한다. 이 의인화는 13세기 초기 고전을 편집한 와 스노리 스툴루손(Snorri Sturluson, 1179년~1241년, 아이슬란드)이 쓴 에 등장한다. 두 출처에서 다그르는 델링그르Dellingr의 아들로 인간에게 낮을 갖다 주는 빛나는 말 스킨팍시Skinfaxi와 관련이 있다. 특히 는 다그르가 밤의 여신 놋트Nott와 델링그르 또는 대지의 여신 요르드Jord와 델링그르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라고 덧붙인다. 다그르는 또 고대 북유럽 문학에서 ‘낮’을 의미하는 보통 명사로 자주 등장하기도 한다. 다그르는 제1부 ‘길피의 속임수’에서 낮의 신으로 등장하고 제10부에서는 그가 밤의 여신 놋트와 에시르 ..
바두헨나, 숲의 두려움이 전쟁의 여신으로 로 유명한 로마 시대 역사가 타키투스(Publius Cornelius Tacitus, 55년? ~ 117년?)의 또 다른 저작 에는 낯선 이름의 여신이 등장한다. 전쟁의 여신 바두헨나Baduhenna. 바두헨나는 ‘전투’를 의미하는 게르만조어 ‘바드와Badwa’와 어원이 같다고 한다. 타키투스의 는 바두헨나가 등장하는 유일한 문헌이다. 타키투스는 자신의 조국인 로마를 공격한 프리지아의 공격을 ‘바두헨나의 전투’라고 기술했다. 오랫동안 프리지아는 로마의 존재에 개의치 않았다. 그들은 아무런 문제없이 로마인들과 어울려 살았다. 하지만 올레니우스가 프리지아를 통치하면서 변화가 생겼다. 올레니우스는 프리지아에는 없는 오록스와 오록스 가죽 등을 세금으로 요구했다. 타키투스에 따르면 프리지아 사람들은 아내와 딸을 ..
게르만족이 맥주를 좋아하는 이유와 바다의 신 아에기르 북유럽 신화에서 가장 중요한 신들 중 하나로 아에기르Aegir가 있다. 바다(대양)의 신으로 두려움과 사랑을 동시에 받고 있는 아에기르는 특히 게르만 민족들 사이에서 아스가르드의 신들을 위한 ‘맥주 양조자’로 그려지기도 한다. 아에기르의 거대한 바다 궁전은 신들이 싸울 수 없는 곳이었다. 또 싸움의 당사자들은 아에기르 궁전에서 영원히 추방되었다. 아에기르 궁전에는 끊임없이 스스로 채워지는 뿔로 만든 술잔이 있어서 아홉 세계 최고의 술들을 맘껏 마실 수 있었다. 사실 아에기르는 신이라기보다는 거인이었다. 게르만 부족은 그리스 신화 속 신들의 전쟁(기간토마키아)과 같은 그들만의 이야기를 가지고 있었다. 아시르 신족과 바니르 신족, 거인들의 영역인 요툰족은 그들을 숭배하는 바이킹과 색슨족처럼 끊임없는 전쟁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