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즈텍

(34)
아즈텍의 신 토나카테쿠틀리를 통해 본 메소아메리카 문명들의 유사성 토나카테쿠틀리(Tonacatecuhtli)는 창조, 다산, 삶 등을 관장하는 아즈텍의 신이었다. 토나카시우아틀(Tonacacihuatl)과 함께 그들은 오메요칸이라는 가장 높은 하늘에 살았다. 토나카테쿠틀리가 태초의 남성적 원리를 상징한다면 토나카시우아틀은 여성적 측면을 구현했다. 그들은 아즈텍 달력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발전과 명예를 상징하는 시팍틀리(260일 주기 아즈텍 달력의 20개 트레세나 중 첫 번째. 상징 동물과 방향은 악어와 동쪽)가 그들의 날이다. 토나카테쿠틀리는 테스카틀리포카, 케찰코아틀 등과 같은 주목할만한 자손을 가지고 있으며 태양신 토나티우와도 연결되어 있다. 그들이 영향력은 불의 신 찬티코의 변신, 테스카틀리포카와 케찰코아틀의 구원과 같은 보상을 통해 입증되었다. 토나카테쿠틀리..
아즈텍인들이 상상한 지하세계 믹틀란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아즈텍과 마야 신화에서는 지하세계(아즈텍의 믹틀란Mictlan, 마야의 시발바Xibalba)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들 고대 문명의 신화에서 죽음은 삶과 죽음의 세계와 폭넓게 통합되었으며 죽음은 이들 문명의 종교, 문화, 전통 등 모든 측면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아즈텍과 마야 신화는 사람이 죽으면 그 영혼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묘사한다. 고대 아즈텍인들은 일반 사람들이 죽으면 그 영혼은 죽은 자들의 세계인 믹틀란으로 간다고 믿었다. 각각의 영혼은 가장 깊은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믹틀란의 여러 단계를 배회한다. 마야의 시발바와 아즈텍의 믹틀란은 종교 및 도덕 규범을 위반하는 경우 이에 대한 처벌을 받는 공간을 상징했다. 이런 처벌에는 육체적인 고문 뿐만 아니라 신과 단절되는 고통을 포함했다. ..
아즈텍의 밤을 지배한 신들 16세기 초 스페인이 아메리카 대륙에 처음 도착했을 때 아즈텍 제국은 멕시코 중부의 대부분을 지배하고 있었다. 이것은 아즈텍인들이 북쪽 어딘가에서 온 나우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함께 멕시코 계곡에 정착한 지 3세기 만의 일이었다. 아즈텍인들이 이웃 민족을 정복하고 더 멀리 떨어진 다른 문화와의 소통을 시작했을 때 그들은 다양한 문화의 많은 요소들을 그들 자신의 것으로 통합했다. 고대 메소아메리카 달력 체계와 종교의 특정 측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즈텍 문명으로 통합되었다. 나중에 아즈텍 황제들은 국가 종교를 갖는 것을 목표로 종교적 신념과 관행을 표준화하기 시작했다. 정복된 민족들은 여전히 그들의 신들을 숭배할 수 있었으며 제국 전역의 정복된 사람들에게 종교의 자유가 부여되었지만 아즈텍인들은 그들의 ..
물의 여신 찰치우틀리쿠에와 물의 이중성 찰치우틀리쿠에Chalchiuhtlicue는 아즈텍 신화에서 중요한 여신이다. 물의 여신으로서 찰치우틀리쿠에는 삶의 모든 측면에서 필수적인 존재였다. 그녀가 없다면 인간과 농작물 모두 말라서 죽을 것이다. 이것은 그녀를 중요한 풍요(또는 다산)의 여신으로 만들었다. 이런 특징은 그녀의 온화한 성격과 어머니와 아이들에 대한 동정심에 반영되었다. 그러나 그녀의 애정 어린 성격에도 불구하고 찰치우틀리쿠에는 위험할 수도 있다. 비록 악의는 없지만 그녀는 세상을 파괴할 힘이 있었다. 그녀는 네 번째 태양[네 번째 세계]으로서의 짧은 통치 기간 동안 바로 그랬다. 찰치우틀리쿠에는 악의적이거나 누군가를 증오하지는 않았다. 대신 그녀는 그녀를 매우 친절하게 만든 그 감정 때문에 치명적이었다. 아즈텍 신화에서 찰치우틀리쿠..
풀케의 신, 오메토츠틀리 아즈텍 신화에서 오메토츠틀리Ometochtli는 풀케Pulque와 관련된 신들이나 초자연적인 존재들의 집단을 의미한다. 또한 이런 신 집단의 수장일 수도 있다. 풀케는 용설란(멕시코가 원산지인 상록다년초)의 발효 수액으로 만든 술을 말한다. 메소아메리카 연대기의 후고전기(900년~1521년) 시대까지 집단적인 신념과 종교적 관습은 술의 제조와 의식적 소비의 맥락에서 나타났다. 이것을 ‘풀케Pulque(또는 옥틀리Octli) 문화’라고 부르는데 중앙 멕시코의 산악 지대에서 기원했을 것이다. 아즈텍 사회에서 옥틀리Octli 의식은 아즈텍 종교와 관습의 주요 구성요소를 형성했으며 그것과 관련된 수많은 지역 신과 사제 계급이 있었다. ‘오메토츠틀리Ometochtli’는 고전적인 나우아틀어 달력에서 ‘두 마리 토..
믹틀란테쿠틀리와 아즈텍 창조신화로 본 인간의 체격이 제각각인 이유 믹틀란테쿠틀리Mictlantecuhtli는 아즈텍 신화에 등장하는 신이었다. 그의 이름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아즈텍 신화에서 저승이나 지하세계 또는 죽음의 땅인 ‘믹틀란Mictlan의 지배자’라는 뜻이다. 고대 아즈텍 사람들은 사후에 가는 많은 낙원이 있고 그 낙원에 들어가는 것은 죽음의 방식에 달려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이러한 낙원에 들어가지 못한 사람들은 믹틀란테쿠틀리가 지배하는 지하세계인 믹틀란으로 간다고 생각했다. 고대 아즈텍 사람들은 우주가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고 생각했다. 맨 상층은 하늘인 일루이칵Ilhuicac, 중간은 대지 또는 생명체의 땅인 틀랄틱팍TlalticpacThe이 있으며 맨 아래는 지하세계인 믹틀란이 존재한다고 믿었다. 아즈텍인들은 또한 지하세계 믹틀란은 아홉 개의 층..
번개로 파괴된 시우테쿠틀리 신전이 스페인 공격의 불길한 징조? 시우테쿠틀리Xiuhtecuhtli(또는 터키석 제왕)는 아즈텍의 불의 신으로 젊은 전사들 및 통치자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마야인들에게 그는 차크 시우테이Chac Xiutei로 알려졌다. 시우테쿠틀리는 물을 의미하는 아즈텍 달력의 날인 ‘아틀Atl’의 수호신이었다. 그는 아즈텍 밤과 낮의 첫 번째 제왕이었다. 그를 상징하는 동물은 시우코아틀Xiuhcoatl 또는 불뱀이었고 그를 상징하는 숫자는 3으로 전통적인 메소아메리카 가정에는 세 개의 화로가 있었던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메소아메리카 신화에서 불의 기본 요소는 우주를 관통하는 것으로 여겨졌고 불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마찬가지였다. 불의 신 시우테쿠틀리도 마찬가지였다. 이 신의 이름은 터키석 시우이틀Xihuitl을 의미하는 나우아틀어(멕시코 ..
현재 즉 다섯 번째 태양의 시대 통치자, 토나티우 토나티우Tonatiuh(‘빛을 발산하는 자’라는 뜻)는 아즈텍의 태양신으로 아즈텍 전사들 특히 재규어와 독수리 전사 계층의 수호신이었다. 어원학적 측면에서 토나티우라는 이름은 ‘빛나다’, ‘빛을 발산하다’라는 뜻의 아즈텍어 동사 ‘토나Tona’에서 유래했다. 아즈텍어로 ‘금’을 뜻하는 ‘쿠즈틱 테오쿠이틀라틀Cuztic Teocuitlatl’은 ‘노란 신의 배설물’ 즉 ‘태양신의 배설물’을 의미한다. 아즈텍의 태양신은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모두를 가지고 있었다. 자비로운 신으로서 토나티우는 아즈텍 사람들(멕시카)과 다른 생명체에게 온기와 풍요를 제공했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희생이 필요했다. 어떤 면에서 토나티우는 오메테오틀Ometeotl과 창조신으로써의 역할을 공유했지만 오메테오틀이 창조자의 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