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화와 전설/켈트

자연의 순환을 상징하는 숲과 사냥의 여신, 플리다이스

반응형

사슴이 끄는 전차를 모는 것으로 유명한 숲 속 사슴과 야생동물들의 여신 또는 수사슴의 아내로 알려진 플리다이스(Flidais)는 종종 로마의 디아나, 그리스의 아르테미스 등과 비교된다. 그녀는 종종 ‘아름다운 머리카락을 가진’이라는 뜻의 폴트힌(Foltchaín)으로 불렸다. 사실 플리다이스는 다양한 이야기와 측면을 가진 복잡한 켈트 여신이다. 그녀는 가정과 야생의 자연을 상징하며 처음에는 대지의 어머니로 등장했다. 그녀는 아일랜드의 경작자 영웅 아르덴과 베테이테, 베쿠일레, 디난드 등의 어머니였다. 그들은 플리다이스로부터 공동체를 위해 대지를 경작하고 일할 수 있는 힘을 얻었다고 한다.

 

플리다이스는 숲과 사냥의 여신이었다. 출처>구글 검색

 

플리다이스는 현대 켈트 이교도들에게 숲의 여신으로 인식되고 있다. 숲의 여인으로서 그녀는 야생 동물과 식물을 보호한다. 그러나 실제 신화에서 그녀는 야생 동물 뿐만 아니라 가축들의 수호신으로도 여겨진다. 특히 사슴과 소는 그녀가 직접 젖을 짜는 그녀의 신성한 동물로 알려졌다. 플리다이스는 모든 야생 동물을 ‘그녀의 소’라고 불렀다. 그녀는 그녀의 많은 자식들을 통해 대지의 어머니로서의 면모를 보여준다. 직접 젖을 짜는 그녀는 분명 풍요의 여신일 수도 있다. 아일랜드 신화의 얼스터 대계 중 가장 위대한 이야기로 알려진 ‘쿠얼릉거의 소도둑’에서 플리다이스는 7일마다 전 군대에 우유를 제공했다.

 

풍요와 양육을 제공하는 그녀의 대지의 여신적인 측면 외에도 플리다이스는 성욕의 여신이자 치유의 여신이었다. 그녀는 자유자재로 변신이 가능했다고 한다. 그녀는 아일랜드의 기독교 이전 신들의 그룹인 투아다 데 다난의 일부였다. 웨일스의 <마비노기온>과 비슷하게 아일랜드의 얼스터 대계는 중세 시대에 처음으로 문자 형태로 기록되었다. 중세 시대 대계에서 투아다 데 다난은 고대의 여신들과 남신들로부터 필멸의 여왕, 왕, 영웅들로 변형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그녀의 이름이 ‘습한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일부 학자들은 ‘암컷’이라는 뜻으로 그리스의 사냥의 여신 아르테미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일부 학자들은 플리다이스가 단지 10세기와 11세기의 문학적인 창조물일 뿐이라고 비난하면서 그녀의 존재를 무시하기도 한다.

 

플리다이스의 사랑과 결혼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들이 존재한다. 중세 아일랜드의 용어집인 <이름의 적합성>에 따르면 플리다이스는 전설적인 왕 아다마이르와의 아내이자 니아 세가마인의 어머니였다. 그녀는 자신의 힘과 동물에 대한 사랑을 아들과 공유했다. 그녀는 니아 세가마인에게 요정의 능력을 주었고 그는 부와 풍요를 창조하기 위해 소의 젖을 짜낼 수 있었다. 아일랜드 섬 곳곳의 지명의 기원을 기록한 <딘센허스>에서 플리다이스는 바다의 여신 판드의 어머니였다.

 

<플리다이스의 소몰이>에서 그녀는 여전히 죽음의 신으로 등장한다. 여기에서 관능의 여신과 대지의 어머니, 숲의 여인이라는 그녀의 측면을 볼 수 있다. 플리다이스는 아일리 핀과 결혼했지만 페르구스 막 로그에게 강하게 끌렸다. 그녀는 페르구스 막 로그의 기량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고 그가 그녀를 남편에게서 빼앗는다면 그녀의 사슴과 소떼를 마음대로 처분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플리다이스는 그녀의 말이 옳다는 것을 증명했다. <플리다이스의 소몰이>에서 그녀의 소떼 중 한 마리가 단 한 번의 젖을 짜서 300명의 남성들을 먹일 수 있었다. 이 이야기는 그녀의 성적 기교를 보여주었다. 그녀만이 그녀의 연인인 페르구스 막 로그를 완전히 만족시킬 수 있었다. 그녀가 없으면 그는 일곱 명의 여성이 필요했다고 한다.

 

대지의 여신으로서 플리다이스는 갈색, 녹색과 관련이 있었다. 사슴은 그녀의 신성한 동물이다. 플리다이스는 그녀의 신성한 동물 사슴이 끄는 전차를 타고 다녔다. 나무들 또한 그녀의 신성한 존재였는데 그녀가 나무들과 동물들의 수호신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그녀는 또 가난한 사람들과 소외받는 사람들의 보호자이기도 했다. 그녀는 성장과 재탄생의 영원한 순환을 상징하며 사람들이 가정적 본성과 야생적 본성을 구현해 내부의 균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