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화와 전설

(1297)
아테네인들이 마라톤 전투 전리품을 봉헌한 신, 에우클레이아 그리스 신화에서 에우클레이아(Eucleia)는 영광과 명성을 의인화한 여성이었다. 그녀의 자매들인 에우페메, 필로프로시네, 에우테니아 등과 함께 에우클레이아는 어린 카리스(우미의 여신으로 에우프로시네, 아글라이아, 탈리아)의 일원으로 간주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플루타르코스(Plutarch, 46?~120?, 고대 로마의 그리스 철학자)에 따르면 에우클레이아는 사냥의 여신 아르테미스의 별칭으로 사용되었을 수도 있다. 오르페우스교 찬양 단편에 따르면 에우클레이아의 부모는 장인의 신 헤파이스토스와 우미의 여신 중 한 명인 아글라이아였다. 플루타르코스는 에우클레이아가 때때로 별도의 여신이자 헤라클레스와 미르토의 딸이었으며 처녀로 죽어 여신이 되었다고 기술했다. 특히 5세기 아테네의 그리스 꽃병 그림에서 에우클레..
최초의 성전환자(?) 일라에 관한 기록들 일라(Ila)는 남성과 여성 모두의 삶을 살았던 것으로 유명한 힌두 신이다. 남성으로서의 일라는 수디움나(Sudyumna)로 알려져 있고 여성으로서의 일라는 일라(Ilā)라고 부른다. 일라는 아일라스(Aillas, ‘일라의 후손들’이라는 뜻)로 알려진 인도 찬드라 왕조(또는 소마 왕조)의 주요 조상으로 알려져 있다. 일라에 관한 다양한 신화가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일라는 인류의 조상으로 알려진 바이바스바타 마누의 딸이나 아들로 수리야 왕조(또는 라구 왕조) 창시자인 익슈바쿠의 형제로 묘사된다. 일라가 여성으로 태어난 판본에서 그녀는 출생 직후 신성에 의해 남성으로 변한다. 성인이 되어 실수로 신성한 숲에 들어간 일라는 매달 성별이 바뀌거나 여성이 되는 저주를 받는다. 여성으로서 일라는 달의 신 찬드라(또..
힌두교인들이 요리에 앞서 경의를 표하는 여신, 아그네야 인도(힌두) 신화에서 아그네야(Agneya)는 ‘불의 신의 딸’ 또는 ‘불의 신의 자녀’를 의미하며 고대 힌두 경전과 산스크리트어 문서에서 기원했다. 아그니는 힌두교의 불의 신이며 베다 시대(BC 1500년~BC 600년, 인도문화 원형의 완성기)부터 현대까지 인도 아대륙 전역에서 숭배되고 있다. 아그네야는 ‘불의 여신’을 의미한다. 산스크리트어로 아그네야는 문자 그대로 ‘불에서 태어난’ 또는 ‘불에서 봉헌된’을 의미하며 그 이름은 아그네야가 신성하고 강력한 여신으로 정의된 고대 베다 문헌에서 유래했다. 힌두 신화와 영적 문헌에서 아그네야는 아그니와 그의 배우자 스바하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간주된다. 아그네야는 각 가구의 남동쪽 모퉁이에 부엌을 지을 것을 권장하는 고대 문헌인 에서 남동쪽 방향을 지키는 ..
빅토리아 호수의 수호신, 무카사 바간다(또는 와간다, 우간다에 사는 반투 민족 중 하나) 전통 종교에서 루타라어(아프리카 오대호 주변에서 사용되는 반투어 중 하나)로 무가사(Mugasa)로 알려진 무카사(Mukasa)는 바간다 판테온 또는 발루바알레(Balubaale, 바간다 판테온의 신들을 일컫는 말)의 신들 하나로 번영과 수확, 풍요, 건강을 관장하는 신이다. 몇몇 신화에서 그는 점술 또는 예언과 연관되어 있다. 무카사는 원래 신이 되기 위해 하늘로 올라간 영웅이었다. 그는 발루바알레에서 주요 신들 중 한 명이며 일부 출처에서는 발루바알레의 최고신으로 알려져 있다. 무카사는 또 빅토리아 호수의 수호신으로도 여겨지고 있다. 그의 주요 신전은 부벰베 섬(빅토리아 호수에 있는 섬)에 있었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무카사는 자..
필멸의 공주 아리아드네에 관한 서로 다른 신화들 크레타 왕 미노스와 왕비 파시파에의 딸인 아리아드네(Ariadne)는 영웅 테세우스가 미노타우로스를 죽이는 것을 도운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녀는 테세우스에게 한 눈에 반해 그를 돕기로 마음먹었으며 테세우스와 함께 하기 위해 조국을 버리기도 했다. 의도적이건 우연이건 테세우스는 고국으로 돌아가는 중에 낙소스 섬에 아리아드네를 버렸다. 아리아드네는 그곳에서 디오니소스와 결혼했고 죽어서는 북쪽 하늘 왕관자리가 되었다. 많은 학자들은 아리아드네가 미노스 문명(BC 3000년~BC 1100년)의 자연의 여신이었다고 주장했다. 나중에 그녀는 키프로스의 낙소스와 그 외 지역에서 결혼, 죽음과 관련한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아리아드네는 여신이 아니라 크레타 섬의 필멸의 공주였다. 일부 자료는 그..
'나비'와 '영혼'의 고대 그리스어가 '프시케'인 이유 프시케(Psyche)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영혼의 여신이다. 인간 여성으로 태어난 프시케의 아름다움은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로마의 베누스)에 필적했고 아프로디테의 아들이자 욕망의 신인 에로스(로마의 쿠피도)의 사랑을 불러일으켰다. 에로스와 함께 하기 위해 불가능해 보이는 일련의 과업을 끝낸 후 프시케는 불멸의 지위를 부여받고 여신이 되었다. 프시케와 에로스 이야기는 기원전 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그리스 미술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가장 유명하고 완전한 이야기는 기원전 2세기경 고대 로마의 작가 아풀레이우스(Apuleius, BC 124년~BC 170년, 북아프리카 마다우로스 출신의 로마 소설가)가 쓴 (또는 로 세계 최초의 소설로 알려짐)에서 찾을 수 있다. 에 따르면 이름없는 도시..
신이 된 어부, 글라우코스 글라우코스(Glaucus)는 고대 그리스 판테온의 바다의 신이었다. 그러나 글라우코스는 원래 인간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흔한 경우의 신은 아니었다. 글라우코스는 보이오티아 지역 안테돈의 어부였지만 그의 족보에 대해서는 다양한 주장들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다. 코페오스, 폴리보스, 안테돈 등이 그의 아버지로 거론되었다. 글라우코스는 아마도 신의 자손이었을 수도 있다. 바다의 신 네레우스, 포세이돈 등이 그의 아버지로 거론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어느 날 어부 글라우코스는 물고기를 잡은 후 근처에서 발견한 약초로 덮어 두었다. 그러나 글라우코스는 약초로 덮어두었던 물고기가 살아나는 것을 보고는 기겁하고 말았다. 이를 신기하게 여긴 글라우코스는 이 약초를 먹었고 이 때부터 그는 불멸자 즉 신이 되었다고 한다. 이..
아리스타이오스의 사라진 꿀벌 그리스 신화에서 아리스타이오스(Aristaeus)는 양봉, 치즈 제조, 올리브 재배, 목축, 사냥과 같은 유용한 기술의 신이었다. 그는 또 소박한 신이자 시골과 목가적인 장소의 신이었다. 아테네에서 아리스타이오스는 하급 신에 불과했지만 그리스 중부의 농경지인 보에티아에서는 ‘목가적인 아폴로’로 알려진 주요 신이었다. 아리스타이오스는 종종 보에티아 도자기에 날개를 가진 청년으로 묘사되었다. 아리스타이오스는 또한 마케도니아, 아르카디아, 시실리, 테살리아, 사르디니아, 케오스 신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나중에 이 모든 다른 지역에서의 그의 명성을 설명하기 위해 그의 여행에 관한 이야기들이 등장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아리스타이오스는 고대 그리스 정치 및 사회의 많은 유명 인사들이 선호한 그리스 이름이 되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