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021/12

(14)
열 개의 태양을 낳은 희화, 그 결과는? 중국 신화에서 희화Xihe羲和는 태양신으로 자식들이 번갈아 가며 그녀의 전차를 끌고 하늘을 가로질렀다. 희화의 태양 자식들은 함께 다니면서 대지를 검게 그을렸다. 이로 인해 대지는 가뭄이 이어지고 숨어 지내던 괴수들이 날뛰어서 대지는 그야말로 지옥이나 다름 없었다. 결국 옥황상제의 명령으로 궁수의 신 후예Houyi后羿(달의 신 항아의 남편, 하나라의 전설적인 왕 후예와 동일시된다)는 희화가 낳은 10명의 태양 자식들 중 9명을 화살로 명중시켜 떨어뜨렸다고 한다. 희화의 남편은 제준Dijun祭遵(달의 신 항아의 두 번째 남편이기도 함)으로 둘은 열 명의 태양 아들들을 낳았다. 앞서 언급한대로 그 중 아홉은 후예의 활에 죽었고 나머지 한 개의 태양만이 남아 대지를 그을리지 않고 따뜻하게 유지시켜 주고 있다...
아일랜드 시골 밤....푸카를 만나면... 푸카Pooka는 ‘고블린Goblin(숲이나 동굴에 산다는 전설상의 생물)’을 의미하는 고대 아일랜드 말이다. 푸카는 Pooka 뿐만 아니라 Púca, Plica, Phuca, Pwwka, Puka, Pookha 등 다양한 형태로 표기되고 있다. ‘푸카Pooka’라는 말의 기원은 ‘자연 정령’을 의미하는 스칸디나비아 말인 ‘푸크Pook’ 또는 ‘푸케Puke’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푸카는 원하는 대로 형태를 바꿀 수 있는 능력이 있다. 푸카는 보통 말, 개, 토끼, 고블린, 노인 등의 형태로 등장한다. 전통적으로 푸카는 길고 거친 갈기와 발광하는 황금 눈을 가진 까맣고 매끈한 말로 여겨진다. 푸카에 대해 항상 기억해야 할 중요한 점은 그들은 인간의 언어를 사용했고 자신을 드러내 보이기 위해 상대를 크..
하와이 섬의 말썽꾸러기, 카울루 하와이 신화에서 카울루Kaulu는 니우헬레와이Niuhelewai에서 마칼리이Makalii로부터 얻은 그물로 하와이 섬의 수호여신 하우메아Haumea를 잡아 죽인 트릭스터이다. 그는 그 때 또 주문을 외워 코올라우의 왕이자 피오케아누에누에Piokeanuenue로 불린 로노카에호Lonokaeho도 죽였다. 카울루는 육체적으로나 마법적으로 매우 강력한 힘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으며 하와이 신화에서 많은 모험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 카울루는 쿠카오히알라카와 히나울루오히아의 아들로 오아후 섬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카울루는 카에하Kaeha, 카마노Kamano라는 두 명이 형이 있었다. 카울루가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 형 카마노가 그를 위협했다. 하지만 그 때 또 다른 형인 카에하는 카울루를 돕겠다고 말했다. 카마노의..
쿠시 왕국의 수호 여신, 아메세미 아메세미Amesemi는 쿠시 왕국의 수호여신으로 사자 신 아페데마크Apedemak의 배우자였다. 그녀는 머리에 매 모양의 왕관이나 매가 서 있는 초승달 모양의 왕관을 쓰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아프리카 북부 수단의 고대 도시 나카에 있는 사자 사원 북쪽 부조에는 아메세미 여신이 이시스(최고 여신), 무트(하늘의 여신), 하토르(풍요의 여신), 사테트(전쟁의 여신) 등과 함께 묘사되어 있다. 고대 이집트 기원의 여신들과 비교했을 때 마메세미는 훨씬 더 뚱뚱하게 표현되었는데 이것은 메로에(고대 쿠시 왕국의 도시) 여성의 전형적인 표현으로 보인다. 나카의 아문 신전에 있는 석비에는 그녀가 칸다케(Kandake, 다음 후계자를 낳을 쿠시 왕의 여동생) 아마니샤케토(Amanishakheto, 쿠시 왕국의 칸..
신보다는 신성한 물질로 인식되었던 낮의 여신, 헤메라 그리스 신화에서 헤메라Hemera는 낮을 의인화한 태초의 여신이었다. 그녀는 에레보스(어둠)와 닉스(밤)의 딸이었으며 창공의 빛을 의인화한 아이테르는 그녀의 오빠이자 남편이었다. 매일 저녁 헤메라의 어머니 닉스는 하늘에 어둠의 장막을 쳐 빛나는 창공의 대기 아이테르를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대지에 밤을 가져왔다. 아침이 오면 헤메라는 어머니의 안개를 걷어내고 대지를 다시 아이테르의 빛 속으로 잠기게 한다. 고대 우주론에서 낮과 밤은 태양과는 별개의 물질이었다. 태양이 낮을 지배하긴 했지만 낮의 원천은 아니었다. 헤메라는 하늘의 여왕 헤라, 새벽의 여신 에오스 등과 동일시되기도 했다.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 헤시오도스는 헤메라를 의인화된 여신보다는 신성한 물질로 인식했다. 신화에서 헤메라의 역할은 대체로 새..
바다 그 자체이자 모든 바다 생물들의 아버지, 폰토스 그리스 신화에서 폰토스Pontus는 태초의 바다의 신이었다. 폰토스는 바다에 사는 신일 뿐만 아니라 바다 그 자체였고 창조의 새벽에 대지로부터 태어났다. 폰토스와 가이아는 바다의 노인으로 알려진 고대 신들의 부모였다. 아내이자 바다의 여신이었던 탈라사와 함께 그는 물고기를 비롯한 다른 바다 생물들의 부모가 되었다. 특히 폰토스의 장손녀 암피트리테는 바다의 제왕 포세이돈의 아내로 잘 알려져 있다. 그레코-로만 모자이크 예술에서 폰토스는 거대한 머리에 물에 젖은 수염과 게발톱 뿔을 달고 바다 위에서 떠오르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모자이크 예술에서는 바다의 의인화로 폰토스 대신 오케아노스(대양의 신)가 등장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