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화와 전설/메소포타미아

잊혀진 지하세계의 여신, 슈왈라

반응형

슈왈라Shuwala는 후르리(기원전 2천년 경 고대 오리엔트에서 활약했던 민족)의 여신으로 지금의 이라크 북부에 위치한 후르리의 고대 도시 마르다만의 수호신이었다. 슈왈라는 마르다만 뿐만 아니라 누지, 알랄라크와 같은 후르리 중심 도시와 메소포타미아의 우르, 히타이트 제국의 하투사, 시리아 지역의 에마르와 우가리트 등에서도 숭배되었다. 슈왈라 여신과 나바르비Nabarbi 여신 사이의 연관성은 많은 후르리 문헌을 통해 밝혀졌다. 또한 그녀는 지하세계의 여신이었으며 또 다른 지하세계의 신들인 알라니Allani, 네르갈Nergal 등과 함께 자주 등장한다. 슈왈라의 다양한 철자법은 그 이름이 아나톨리아어에서 유래하지 않았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문헌에 따라 슈왈라는 후르리의 여신으로 분류하기도 하고 시리아의 버금 신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슈왈라는 마르다만의 수호신이었다. 고대도시 마르다만 상상도.

이름 때문에 슈왈라와 폭풍의 신 이쉬쿠르Ishkur(아카드의 아다드Adad)의 아내 샬라Shala가 동일한 여신으로 취급되지도 하지만 입증된 바는 없다. 히타이트의 신 슈왈리야트Shuwaliyat와 슈왈리의 이름이 비슷한 것도 우연의 일치로 여겨진다. 슈왈라가 슈왈리와트의 축약형이라는 견해도 있지만 이 또한 증명된 바는 없다.

 

하투사의 후로-히타이트 의식 문헌에 따르면 슈왈라는 후르리와 시리아의 신들로 구성된 헤바트Hebat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여신들 중 한 명으로 간주된다. 후르리 문헌에서 그녀는 나바르비 여신과 관련이 있지만 종종 지하세계의 여신 알라니(또는 알라툼)와 전쟁 신 아쉬타비 그리고 알헤Alhe라는 거의 알려지지 않는 신 등과 함께 등장하기도 한다. 우가리트 신화에서 슈왈라는 쿠마르비Kumarbi, 누파틱Nupatik 등과 함께 등장한다. 슈왈라와 나바르비 사이의 연관성은 후로-히타이트 전통에서 슈왈라와 나바르비의 남편 슈왈리야트의 비슷한 이름 때문에 종종 제기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두 여신이 하부르 강(터키에서 시리아로 흐르는 강으로 유프라테스 강과 합류한다) 부근에서 기원했다는 의미일 가능성도 있다. 후르리 종교의 공통적인 특징은 이샤라와 알라니, 후테나와 후텔루라, 니나타와 쿨리타와 같이 여신 쌍을 다이애드(Dyad, 한 쌍)로 숭배하는 것이다. 슈왈라와 나바르비 숭배도 이런 전통의 일부일 것이다. 시리아의 고대 도시인 에마르에서 슈왈라는 지하세계의 신 네르갈과 함께 등장한다.

 

슈왈라에 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은 우르 제3왕조(기원전 2112년~기원전 2004년) 시대의 문헌이다. 그 중 하나는 알라니와 안누니툼 뿐만 아니라 슈왈라 신전들의 사제에 관한 언급이다. 슈왈라는 마르다만의 수호신으로 이 지역 사람들의 이름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슈왈라는 특히 고 바빌로니아(기원전 1894년~기원전 1595년)와 미탄니(기원전 1500년경~기원전 1360년경) 시대에 그곳에서 숭배되었다. 현재 도시 자체에서 더 오래된 증거는 없지만 문서화된 시대에 이미 초지역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슈왈라 숭배는 더 이른 시기에 그곳에서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시리아의 마르다만 정복 이후 슈왈라 숭배에 관한 증거는 현재 남아있지 않다. 메소포타미아의 여신 굴라의 신전이 이 도시에 있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그것이 기존의 슈왈라 신전을 대체했다는 어떤 증거도 없다. 종교의식의 일부 또는 여신에 대한 묘사로 보이는 벌거벗은 여성의 테라코타 부조가 발견되었지만 그것이 슈왈라 여신을 묘사했다는 증거는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