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케(Hike)라고도 부르는 헤카(Heka)는 이집트의 마법의 신이자 의술의 신이었다.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마법과 의약은 동일한 개념이었다. ‘Heka’는 이집트어로 ‘마법’, ‘마술’을 뜻한다. 고대 이집트의 관문서에 따르면 헤카는 주로 주술 의식에서 이용되었다고 한다
▲마법과 의술의 신 헤카. 출처>구글 검색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헤카는 카(Ka)를 활성화시킨다는 의미다. 카는 인간의 초월적인 부분으로 죽은 자가 숨을 멈추고 서방으로 여행할 때 그의 몸에서 빠져 나온다고 한다. 카는 보통 ‘영혼’이라는 의미의 바(Ba)와는 구별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영혼에서 ‘영’은 바를 의미하고 ‘혼’은 카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헤카가 카를 활성화시킨다는 것은 죽은 자의 몸에서 카, 혼이 빠져 나오게 하는 의식을 행한다는 것이다.
헤카는 인간과 신의 세계에서 창조적 힘의 하나였다. 그래서 헤카의 마법은 권위 있는 말 즉 신의 뜻에 따른 명령을 의미하는 후(Hu)와 지성을 의미하는 시아(Sia)와 함께 신적 에너지 또는 생명력을 상징했다.
헤카는 창조신 아툼의 아들이었다. 그는 또 나일강의 신 크눔과 전쟁의 여신 멘히트의 아들로도 알려졌다. 아마도 아툼과 크눔이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특히 아툼, 크눔, 멘히트 등은 상 이집트 라토폴리스(에스나)의 삼주신을 형성했다.
헤카의 이름은 한 쌍의 플랙스와 한 쌍의 팔로 묘사되었는데 플랙스는 종종 팔과 함께 놓여졌고 두 마리의 뱀을 닮은 것으로 여겨졌다. 그는 또 의례적인 물건을 들고 서 있는 남자로 묘사되기도 하고, 두 마리의 뱀을 들고 있는 남자로 묘사되기도 한다. 헤카가 들고 있는 두 마리의 뱀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의술이나 약과 관련이 있는 상징으로 사용되고 있다.
헤카를 위한 성소나 공식적인 숭배는 없었지만 헤카는 ‘히케의 사제’로 불리는 의사들이나 다른 치료사들에 의해 오늘날까지 그 흔적들을 남기고 있다.
'신화와 전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체 마니토우, 흡연이 최고의 숭배 의식? (2) | 2019.01.16 |
---|---|
에보리진 꿈의 시대 최고신, 바이아메 (2) | 2019.01.14 |
'노아의 방주'의 그리스 버전 '데우칼리온과 피라' (5) | 2019.01.07 |
인간 몰파디아가 여신 헤미테아가 된 사연 (9) | 2019.01.05 |
나른한 그리움, 히메로스 (10) | 2019.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