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토피아(Utopia)는 그리스어 ‘U(없다)’와 ‘topos(장소)’의 합성어로 ‘어디에도 없는 땅’이란 뜻이다. 단어만 놓고 본다면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이 유토피아다. 여기서 궁금증 하나. 왜 한낱 망상에 불과한 유토피아를 저 유명한 철학자 플라톤은 ‘아틀란티스’로, 베이컨은 ‘벤살렘 섬’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일까? 이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직접 유토피아를 방문하는 수 밖에 없다.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이라면서무슨 수로 방문한단 말인가! 걱정마시라. 책이 있지 않은가! 책에서는 가지 못할 곳이 없으니 말이다.
토마스 모어(Thomas More, 1478~1535)가 쓴 [유토피아]의 원제는 <사회 생활의 최선의 상태에 대해서의, 그리고 유토피아라고 불리는 새로운 섬에 대해서의 유익하고 즐거운 저작>이다. 오늘날 ‘이상사회’라는 의미의 ‘유토피아’는 토마스 모어가 만들어낸 신조어였다. 그는 당시 초기 자본주의 사회로 접어든 영국사회에 실망했고 그 대안으로 유토포스란 자가 정복해서 유래했다는 ‘꿈의 섬’ 유토피아를 만들어냈다. 여기서 [유토피아]란 책이 씌여진 시대적 상황을 더 언급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나의 관심사는 오로지 허구의 세상인 유토피아를 왜 그토록 많은 사상가들이 언급했는지가 궁금하기 때문이다.
400년 전 토마스 모어가 그렸던 유토피아는 어떤 사회였을까? 또 토마스 모어로서는 상상하기 힘들었던 21세기와는 어떻게 다를까?
오늘날만큼은 아니지만 당시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민주주의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공무원이 ‘아버지’로 불렸다니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행복한 섬, 유토피아에도 ‘전쟁’이라는 단어가 있었을까? 아쉽지만 또 이해하기 힘들지만 전쟁이 있었다고 한다. 게다가 노예도 있었다고 하니 선뜻 수긍이 가질 않는다. 유토피아의 한계인 듯 싶다. 다만 유토피아인들은 전쟁을 불명예로 생각했다. 확실한 명분이 있지 않는 한 군사훈련은 방어의 개념이었다.
분명 명분없는 전쟁이 지구촌을 휩쓸고 있는 21세기보다는 전쟁이라는 개념만 본다면 진보된 사회였음이 틀림없다. 유명한 [손자병법]의 저자 손무도 얘기했듯이 최선의 병법은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다.
‘종교전쟁’이라는 단어까지 동원되는 오늘의 현실 때문인지 유토피아의 종교에 관한 언급은 흥미를 유발하기에 손색이 없다. 당시로서는 언급하기 힘들었던 종교의 자유가 이 유토피아에는 있었다. 유토피아에는 이질적인 종교들이 존재했다. 그들은 따로 신을 지징하지 않았다. 모든 종교에 있어 신은 유토피아어로 ‘미트라스’로 통일된다. 각 종파가 견해를 달리하는 점은 과연 어느 신이 ‘미트라스’인가 하는 것이다.
이 밖에 [유토피아]에는 동화같은 얘기도 있다. 나머지는 직접 읽어보기 바란다. 살짝 얘기하자면 금이 돌보다 못하단다.
일부이긴 하지만 지금까지 살펴본 유토피아는 21세기보다 못한 것도 있고 21세기에 추구해야 될 것도 있다. 그렇다면 많은 사상가들이 유토피아를 언급한 이유는 자명해진다. 유토피아는 망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현실이 반영된 발랄한 상상, 이것이 유토피아의 참모습이다. 만화가 그랬던 것처럼...
앞서 전쟁과 노예를 토마스 모어가 그린 [유토피아]의 한계로 지적했지만 정작 한계는 토마스 모어 본인에게 있었다고 한다. 그가 유토피아에서 언급했던 종교관과는 반대로 현실에서 그는 종교개혁에 반대해 신교도 박해를 묵인했다고 한다. 그는 실제로 [유토피아] 마지막 부분에서 라파엘이 유토피아 섬에 대한 얘기를 끝마쳤을 때 귀족정치와 모든 권위의 존엄을 우려하기도 했다.
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유토피아는 불합리하고 모순된 현실을 헤쳐나가기 위해 우리가 늘 추구해야 되고 끊임없이 투쟁해야 하는 목표이기도 하다. 현실에 대항해 싸우는 다양한 활동들도 종국에는 유토피아에 좀 더 다가서려는 끊임없는 투쟁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400년 전 토마스 모어가 꿈꿨던 유토피아가 아닌 우리만의 유토피아를 위해 뚜벅뚜벅 걸어가야만 한다. 당신이 꿈꾸는, 우리가 꿈꾸는 유토피아는 결코 망상이 아니라 손에 잡히는 현실이기 때문이다.
'북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 태어나 처음으로 요리책을 보다 (41) | 2010.11.28 |
---|---|
장하준, 시장만능 자본주의의 실체를 고발하다 (27) | 2010.11.23 |
앙드레 모르아, 젊은이여 인생을 이야기하자 (52) | 2010.11.10 |
괴짜 경제학자 아빠의 이유있는 육아일기 (34) | 2010.11.07 |
웰빙의 시작, 피부에 자연을 許하라! (36) | 2010.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