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취

(2)
이방인의 눈에 비친 서울, 내 눈에 비친 대전 사미르, 낯선 서울을 그리다/사미르 다마니 지음/윤보경 옮김/서랍의날씨 펴냄 '응답하라, 1994'에서 삼천포의 첫 서울 입성을 보면서 웃지 않을 수 없었다. 동네에서야 수재 소리 듣던 삼천포였지만 낯선 거대 도시의 그것도 생전 처음 타보는 지하철에서 출구 하나 제대로 찾지 못해 헤매던 촌놈의 어리바리함도 그랬지만, 실은 나의 스무 살 그 때를 삼천포가 그대로 재연해 주고 있었기 때문이다. 삼천포가 신촌역에서 어린 양이 되었다면 나를 혼란에 빠뜨린 곳은 신설동역이었다. 수도학원 쪽으로 나오라는 형 말만 믿고 별 것 아니겠지 싶었는데도 이리 나와도 수도학원이고, 저리 나가도 수도학원이었고 게다가 생전 처음 보는 검정고시학원은 왜 그리도 많았던지, 혹시 다른 학원을 수도학원으로 잘못 들었나 싶어 공중전화 부..
남자, 태어나 처음으로 요리책을 보다 ■김진옥 요리가 좋다■김진옥 지음■어울마당 펴냄 남자 넷이서 열 개의 라면을 끓이기 위해 휴대용 가스레인지 두 대를 사용했던 무식한 시절이 있었다. 휴대용 가스레인지와 냄비만 더 있었더라면 더 많은 라면이라도 끓일 태세였다. 대학 시절 하숙하는 친구들과 자취하는 친구들이 모이면 늘 이랬다. 돌이라도 씹어먹을 나이었으니 지금 생각해 보면 이해할 수 없을 만큼 무식해 보이지만 그 시절을 보낸 남자들이라면 당연한 풍경이었다. 그 와중에도 서로 암묵적으로 동의하는 법칙이 하나 있었다. 물의 양을 조금 줄이는 대신 라면 수프 한 두 개쯤은 남겨두는 것이었다. 왜 그랬을까? 왜 남학생 자취방 구석구석에는 라면 수프가 굴러다니곤 했을까? 아는 사람은 다 아는 바, 그 시절 자취생에게 라면 수프는 '마법의 조미료'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