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의 신

(4)
중국 신화 속 나무의 신, 팽후 팽후(彭侯Penghou)는 중국 신화와 민속에 나오는 나무의 신으로 식물의 성장 및 번성과 관련이 있다. 팽후 신화는 와 이라는 두 개의 중국 고전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팽후라는 이름은 ‘북소리’를 뜻하는 ‘팽(彭)’과 ‘후작’을 의미하는 ‘후(侯)’가 합쳐진 말이다. 즉 이 이름은 팽후가 가슴을 두드릴 대 나는 소리를 가리킨다. 신화에 따르면 팽후는 나무에 사는 북치는 후작으로 개의 형상을 하고 있다. 어느 날 나무를 베느라 배가 고픈 나무꾼은 팽후를 쪄서 통째로 먹어 치웠는데 그 맛이 자신이 즐겨 먹던 개고기와 비슷했다고 한다. 팽후는 수세기 동안 중국인의 상상력을 사로잡은 매혹적인 생물이다. 독특한 외모와 신비한 능력으로 민속과 전설의 인기 소재가 되었다. 그 존재를 믿든 안 믿든 팽후가 중국 문..
타키안 나무의 요정, 낭타키안 낭타키안(Nang Ta-khian. ‘타키안의 여인’이라는 뜻)은 태국과 라오스 민속에 등장하는 숲의 요정이다. 낭타키안은 태국과 라오스가 원산지인 타키안(또는 호페아 오도라타) 나무의 요정이다. 높이가 45m에 이르고 일부 지역에서는 그늘나무로 심기도 하는 이 거대한 나무는 수백 년 동안 살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인구가 밀집된 지역 근처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낭타키안은 일반적으로 녹색 드레스와 전통 스바이(동남아시아 본토에서 착용하는 숄 모양의 가슴 천 또는 의복)를 입은 아름다운 여성으로 묘사된다. 때때로 그녀는 나무 가지에 앉아 있거나 그네를 타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태국 신화에 따르면 이 나무에는 낭타키안 또는 타키안 피(Ta-khian Phi)라는 정령이 살았는데 이 정령은 자신을 화나게 하면..
천둥소리는 라우마의 남편 페르쿠나스의 분노다 라우마Lauma(리투아니아의 라우메Laume)는 라트비아 판테온에서 가장 오래된 여신이다. 이 여신의 이미지는 빙하기 직후인 중석기 시대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라우마는 암염소, 곰, 암캐, 암말 등 동물 형태로 표현되었다가 나중에 의인화된 외모를 가지게 되었다. 라우마는 보통은 새의 발톱과 암염소 형태의 머리와 몸통을 가진 반인반마 또는 반인반견의 여성으로 한 쪽 눈만 가진 것으로 표현되었다. 또 돌 젖꼭지가 있는 큰 가슴을 가진 형태로 그려진다. 흡사 그리스 신화의 (반인반마의)켄타우로스, (하나의 눈을 가진)키클로페스를 보는 듯 할 것이다. 라트비아와 리투아니아에서는 (오징어 모양을 한)벨렘나이트 화석을 라우마의 젖꼭지로 부른다. 라우마는 특히 남성들에게 위험했다. 라우마는 남성들을 간지럽히거나 ..
숲의 정령 히시(Hiisi)에게 쫓긴다면... 핀란드와 에스토니아 신화 특히 핀란드 신화에서 히시(Hiisi)는 일종의 수호 정령이다. 히시는 원래 ‘성스러운 장소’를 의미하는데 에스토니아어로는 ‘성스러운 숲’을 뜻한다. 영어의 고블린(Goblin, 작고 추하게 생긴 마귀)을 핀란드어로 히시로 번역하기도 한다. 아마도 전형적인 고블린과 히시 사이에서 유사점이 많이 발견되기 때문일 것이다. 또 작가인 톨킨(J.R.R Tolkien, 남아프리카 공화국, 1892~1973)은 그의 저서에서 히시를 오크(Orc, 바다괴물)로 번역해 사용했다. ▲핀란드 신화에서 히시(Hiisi)는 나무와 숲의 신(정령)이다. 출처>구글 검색 핀란드의 서사시집 에서 우두머리 히시는 히에트(Hiiet)라고 부르는 많은 하급 정령들의 도움을 받는다. 하급 정령들도 대부분 악의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