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화와 전설/중국

장과로가 당나귀를 타지 않을 때...이렇게 했다

반응형

장과로ZhangGuoLao張果老는 여덟 명의 도교 불사자 즉 팔선 중 한 명으로 중국 당나라(618년~907년) 때의 사람으로 알려졌다. 그의 다양한 마법에 대한 능숙한 솜씨는 당 황제로부터 ‘통현선생(通玄先生, ‘모든 것을 다 이해하는 자’라는 뜻)’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그는 노인의 모습으로 당나귀를 타고 등장한다. 종종 그는 당나귀를 뒤로 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장과로는 팔선 중에서 가장 기이한 성격으로 알려졌다. 뒤로 공중제비를 하면서 발로 차거나 어깨가 땅에 닿을 정도로 뒤로 젖히는 등의 기괴한 기술을 선보이기도 한다. 게다가 당나귀를 타지 않을 때는 당나귀를 접어서 주머니에 넣고 다녔다고 한다.

 

 

장과로는 가난한 소작농 청년 시절부터 가족을 부양하고 근근이 농사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는 종종 농산물을 시장에 내다 팔아 얼마 안 되는 돈으로 생계를 이어갔다. 어느 날 그는 가족들이 있는 집으로 돌아오면서 낮잠을 청하기 위해 버려진 절을 찾았다. 그가 깨어났을 때 그는 절 마당 한 귀퉁이에서 흘러나오는 맛있는 향기에 깜짝 놀랐다. 배고팠던 참에 기대에 부푼 장과로와 당나귀는 부글부글 끓고 있는 작은 가마솥을 발견했다. 이 뜻밖의 횡재를 신이 준 선물이라고 생각한 젊은이는 나뭇가지로 젓가락을 만들어 먹기 시작했다. 그는 오랫동안 고생한 당나귀에게도 먹이를 주었다. 장과로는 이 뜻밖의 점심식사가 사실은 누군가가 준비해둔 매우 희귀한 불멸의 묘약이라는 것을 알지 못했다. 그 불행한 연금술사가 돌아왔을 때 장과로와 그의 당나귀는 이미 신이 되어 있었다.

 

말년에 장과로는 그의 불멸과 마법, 개인 교양으로 전국에 걸쳐 유명해졌다. 사실 측천무후(則天武后, 624년~705년) 시대 그는 수백 살로 여겨졌다. 그는 또한 가난한 사람들을 돕고 영적인 마음을 가진 사람들을 가르친 것으로 유명했고 종종 그의 마법의 당나귀를 타고 하루에 수천 리를 여행했다. 이런 그의 능력을 고려할 때 당황제가 조정 내에서 그의 역할을 기대했던 것도 그리 놀랄 일이 아니다. 이를 위해 그는 장과로가 살고 있는 시안(산시성의 성도)에 사신을 보냈다. 하지만 사신이 도착하자마자 장과로가 갑자기 사망했다. 곪고 구더기 투성이의 불멸의 시신을 본 사신은 빈손으로 돌아갈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미 불사의 몸이 된 장과로는 사실은 죽지 않았다. 그는 예전에 그렇듯 전국을 하루에 수천 리를 다니며 불쌍한 사람들을 돕고 있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황제는 자신이 속았다는 것을 알았고 그를 부르기 위해 좀 더 교묘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그는 또 다른 불사자를 장과로를 설득하고자 했다. 하지만 이 불사자의 방문 때도 장과로는 숨을 멈추었고 설득을 포기하자 다시 숨을 쉬기 시작했다. 결국 이 불사자도 장과로의 큰 뜻을 알고 되돌아갔다고 한다.

 

결국 장과로는 관직을 맡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고 궁궐을 방문했다. 그곳에 있는 동안 그는 독초를 먹거나 눈에 보이지 않게 하거나 매력적인 새로 변신하는 등 다양한 마법으로 황제를 즐겁게 해주었지만 자신과 영적인 문제에 대한 이야기는 끝내 하지 않았다. 하지만 황제는 장과로의 불멸의 비밀이 더 궁금해졌고 이 비밀을 풀기 위해 불교 승려를 소환했다. 승려에 따르면 장과로는 인간 형상을 취하기 전에 태초부터 살았던 박쥐였다고 한다. 한편 장과로가 황제의 소환이 있을 때마다 죽었다 살아났다는 이야기는 도교의 반정치적 관점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덕의 완성을 황제를 온전히 섬기는 것으로 여기는 유교에 대한 비판일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