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화와 전설/잉카

우루과이 국기 속 태양의 비밀, 인티

반응형

잉카의 신화와 종교적 신념 체계에서 인티(Inti)는 태양신이었고 잉카 판테온에서 가장 중요한 신중 하나였다. 태양신으로써 인티는 농사와 관련이 있었는데 이 천상의 몸통에서 곡물을 기르는데 필요한 온기와 빛을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인티는 잉카 문명의 농부들 사이에서 가장 유명하고 강력한 신이었다. 게다가 사파 잉카(Sapa Inca, 잉카 제국의 통치자)는 자신이 태양신 인티의 후손이라고 주장함으로써 태양신 인티의 권위와 위상은 더욱 더 높아졌다.

 

잉카의 태양신 인티(Inti). 출처>구글 검색

인티는 창조신 비라코차(Viracocha)와 그의 아내 마마코차(MamaCocha)의 아들이었다. 비라코차는 잉카 판테온의 최고신이자 창조신이었으며 마마코차는 바다의 여신이었다. 세상의 창조로 비라코차는 가장 중요한 잉카 신이 되었으며 그의 아들 인티는 비라코차 이후 잉카 최고신이 되었다. 잉카 신화에 따르면 비라코차는 인티 말고 두 명의 자식이 더 있었는데 대지의 여신 파차마마(Pachamama)와 달의 여신 마마킬라(MamaQuilla)였다. 특히 마마킬라는 인티의 여동생이 아닌 인티의 배우자로 인식되기도 한다.

 

태양신으로써 인티는 잉카인들의 삶에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잉카인들의 농업 활동을 통제했고 그들의 생존에 필수불가결한 존재였다. 잉카인들은 농작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해주는 태양의 온기와 빛에 감사했고 그런 이유로 농부들은 인티를 숭배했고 인티에게 기도를 했다. 인티가 정상적으로는 호의적이고 부드러운 신이기도 한 반면 크게 분노하기도 했는데 잉카인들은 일식을 태양신 인티의 분노로 생각했다. 이런 상황에서 잉카인들은 인신공양을 통해 신을 달랬다고 한다.

 

또한 인티는 잉카 제국의 통치자로 잉카 왕실의 직접적인 조상으로 여겨졌다. 최초로 잉카 제국을 건설한 망코카팍(MancoCapac)을 태양신 인티의 아들로 생각했다. 신화에 따르면 인간에게 문명을 선물해 준 신이 인티였는데 그의 아들 망코카팍을 통해서였다고 한다. 이 신화에서 인티는 자신의 백성들을 돌보는 너그러운 신으로 묘사되었다. 하지만 백성들이 거칠고 통제되지 않으며 문명화하지 못하면 아들 망코카팍과 딸 마마오클로(Mama Ocllo)를 불렀다. 인티는 망코카팍과 마마오클로에게 세상에 내려가 그들이 살아가는 법을 가르치라고 지시했다. 지역 민속에 따르면 이것이 바로 잉카 문명의 시작이었다.

 

가장 중요한 잉카 신전 중 하나로 고대 잉카의 수도인 쿠스코에 있는 코리칸차 신전(Coricancha Temple, 태양의 집이라는 뜻)이 인티에게 바쳐졌다는 것만 봐도 잉카인들에게 그의 위상이 어떠했는지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코리칸차 신전은 9세기 파차쿠티 잉카의 지도자 유판키 통치 시절에 지어졌고 태양의 최고 사제인 빌락우무(Villac Umu)가 인티를 찬양하기 위한 의식을 집도했다.

 

코리칸차 신전뿐만 아니라 쿠스코 북동쪽에 있는 피삭, 오늘날 에콰도르에 있는 잉카피르카, 티티카카 호수에 있는 태양의 섬 등도 인티를 위해 지어진 신전이었다. 코리칸차 신전은 콘키스타도르(conquistador, 16세기 스페인 정복자)에 의해 파괴되었고 신전의 돌들은 교회를 짓는데 사용되었다.

 

잉카인들은 인티를 축복하기 위해 특별한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열고 있다. 인티 레이미(Inti Raymi)라고 알려진 이 축제는 매년 6월 겨울 동지에 개최되었다. 며칠 동안 진행된 이 축제 기간 동안 라마를 비롯한 가축과 음식이 제물로 바쳐졌고 심지어 농토까지 인티에게 바쳐졌다. 인티 레이미는 오늘날까지도 볼리비아, 에콰도르, 페루 등 안데스 지역에서 개최되고 있다.

 

잉카 예술에서 인티는 황금상, 태양 원반, 황금 마스크 등으로 묘사되고 있다. 황금은 인티와 관련된 아주 소중한 금속으로 잉카인들은 황금을 태양신 인티의 땀이라고 믿어왔다. 더 이상 예전처럼 인티 숭배가 활발하지는 않지만 이글거리는 태양으로써의 인티 이미지는 남아메리카의 아르헨티나(오른쪽 위 사진)와 우루과이(왼쪽 아래 사진) 국기에 그대로 남아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