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준하

(2)
<첫눈> 눈오는 밤 왕포집 여자들에게 생긴 일 방영웅(1942~)의 /「월간문학」38호(1972.1) 한국 문학과 지성의 양대 산맥이라고 하면 흔히들 1966년 창간된 《창작과 비평》과 그로부터 4년 후 첫 선을 보인 《문학과 지성》을 꼽는다. 서로 다른 색깔, 즉 민족문학 계열의 《창작과 비평》과 순수문학을 대변하는 《문학과 지성》은 각각 '창비 계열'과 '문지 계열'의 수많은 작가들을 배출해 내면서 한국 문학과 지성의 수준을 한 단계 높여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창작과 비평》은 1953년 장준하 선생이 창간한 《사상계》가 박정희 전대통령의 부정부패와 친일의혹을 제기했다는 이유로 재정난에 허덕이다 1970년 폐간된 이후 맥이 끊길뻔 했던 한국 진보 지식인들의 담론의 장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이런 《창작과 비평》이 배출해 낸 대표적인..
故문익환 목사, "동주야 네가 살아 있었더라면..." 진보적 문학평론가인 임헌영의 에 따르면 저항문학은 문학인의 기능이나 대사회적 자세에 따라 문학인 자신이 단체나 결사 등에 직접 가담한 경우와 일시적인 의무나 지원 세력으로 어떤 단체나 운동에 뛰어든 경우, 직접 운동권에 가담하거나 지원하지 않으면서도 순수한 문학작품으로 정서적인 저항을 시도하는 경우 등 세가지 형태를 보게 된다고 한다. 임헌영은 한국의 대표시인 윤동주와 김소월의 시를 세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저항문학으로 분류하고 이런 시는 누구를 선동하지는 않으나 감명을 주며, 울리지는 않으나 가슴을 찌르며, 취하지는 않으나 각성제가 된다고 주장한다. 윤동주, 그를 말할 때면 '저항시인', '민족시인'이라는 호칭을 빼놓지 않는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인 중 한 명이다. 임헌영의 말대로 그는 행동적 저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