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론'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3.10.04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한 어머니 여신, 모드론 1

 

반응형

웨일스 신화의 여신 모드론(Modron)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녀는 아서 왕 전설에서 마본의 어머니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모드론은 주로 어머니 여신이나 다산의 여신으로 여겨지며 유럽 전역의 다른 유사한 여신들과 혼동되었을 수도 있다. 모드론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증거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그녀는 아서 왕 전설과 연결된 <쿨루히와 올웬>이라는 웨일스 이야기에 등장한다. 모드론에 관한 최초의 언급은 13세기 중반 경의 책 <카르마르텐 흑서>에 실린 웨일스 시 ‘문지기는 누구인가?’인데 여기서 아서 왕은 자신의 문지기와 대화하면서 자신의 업적에 대해 이야기한다. 특히 이 시는 현재는 역사 속으로 사라진 아서 왕의 몇 가지 초기 모험을 암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밖에도 모드론을 언급한 단편적인 문서가 상당수 있다.

 

어머니 여신 모드론. 출처>구글 검색

 

‘모드론(Modron)’이라는 이름은 마르네(Marne) 강의 갈리아 이름인 ‘위대한 어머니’라는 뜻의 마트로나(Matrona)에서 따온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강은 농업에 중요했기 때문에 이 연관성이 다신의 여신인 그녀와 어떻게 어울리는지 쉽게 알 수 있다. 모드론은 자료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묘사된다. 로마인들은 그녀를 다산을 의미하는 서로 다른 물건을 들고 앉아 있는 세 명의 여성 형태를 한 삼중 여신으로 묘사했을 수 있다. 이런 물건은 대개 과일, 빵 그리고 아기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로마인들은 그녀를 데아이 마트레스(Deae Matres) 또는 마트로나이(Matronae)라고 불렀다. 그녀가 아기 마본을 안고 있는 모습이 립체스터(잉글랜드 랭커셔의 리블 밸리에 있는 마을) 로마 요새의 돌 조각에 묘사되어 있을 수 있다. 이야기에 따라 그녀가 여신, 마녀, 요부, 마법사 등 다양한 형태로 묘사되는 것은 아서 왕의 이복누이인 모르간 르 페이(Morgan le Fay)의 기초가 되기도 한다. 아서 왕 전설에서 모르간 르 페이는 아서 왕의 원수, 조력자, 아내 등 다양한 역할로 등장한다.

 

<카르마르텐 흑서>로 알려진 13세기 사본에는 ‘문지기는 누구인가?’라는 시가 포함되어 있다. 이 시는 <카르마르텐> 흑서의 31번째 시이자 모드론에 대한 최초의 언급이기도 하다. 이 시는 아서 왕과 문지기 사이의 대화 형식으로 되어 있다. 문지기는 아서 왕 일행이 누구인지 알고 싶어하며 아서 왕에게 그들을 보증해 달라고 요청한다. 이 때 모드론이 언급되지만 그녀의 아들에 대해서만 언급된다. 아서 왕은 그의 부하들을 나열하면서 모드론의 아들 마본을 언급한다. 이후 작품에서 모드론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지만 대부분은 여전히 그녀를 마본의 어머니로 다루고 있다.

 

<쿨루히와 올웬>은 가장 오래 살아남은 웨일스 산문 문서이다. 또한 모드론에 대한 가장 실질적인 언급이 포함된 문서이기도 하다.그 속에서 모드론은 마본을 낳지만 마본은 태어난 지 3일만에 알려지지 않은 적들에게 납치된다. 아서 왕의 임무 중 하나가 마본을 구출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아서 왕이 여기에 등장한다. 아서 왕의 부하들은 몇몇 현명한 동물들의 도움으로 마본을 찾아냈고 치열한 전투 속에서 그를 구출한다. 그런 다음 마본은 대열에 합류해 아서 왕 및 그의 부하들과 함께 모험을 떠난다. 이 이야기의 특정 측면과 위대한 죄수의 또 다른 신화 사이의 유사점으로 일부 사람들은 모드론과 마본이 이전 이야기를 기반으로 했다고 생각한다. 위대한 죄수는 위대한 어머니에 의해 안누핀(Annwfyn) 즉 켈트족의 저승에서 끌려나와 포로로 잡혀 있다.

 

반응형

 

웨일스 신화, 역사 그리고 민속에 관한 중세 문서 모음인 <웰쉬 트리아드> 또는 <브리트 섬의 삼위일체>에는 모드론에 대한 또 다른 언급이 포함되어 있다. 문서에 따르면 모드론은 여울목에서 우리엔 레게드(Urien Rheged)를 만나 쌍둥이 오와인(Owain)과 모르푸드(Morfudd)를 낳는다. 본문에서 모드론은 우리엔이 덴비그시레에서 포드를 조사하던 중 우연히 만난 세탁부이다. 그녀는 자신을 여러 다른 중세 웨일스 문헌에 등장하며 분명히 아발론 섬과 연결되어 있는 아팔라흐(Afallach)의 딸이라고 밝힌다. 우리엔은 모드론과 간통 후 그녀는 기독교인 남자가 잉태한 아들을 낳을 때까지 여울목에서 몸을 씻어야 한다는 신탁을 받았다고 그에게 말한다. 우리엔은 1년 후 포드로 돌아와 그녀가 쌍둥이 아들 오와인과 딸 모르푸드는 낳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살아남은 몇 안 되는 문서에서 모드론의 등장은 모두 그녀가 일종의 초자연적인 어머니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녀가 마본의 어머니로 알려져 있든, 쌍둥이 오와인과 모르푸드의 어머니로 알려져 있든 이 고대 문헌들에서 그녀의 역할은 다산(풍요)의 여신이라는 것이다. 갈리아에 거주하는 켈트족에 관한 로마 문헌에서는 그녀를 데아이 마트로나이 또는 데아 마트로나로 언급한다. 결국 짧게나마 언급된 문헌들에서 그녀는 분명히 위대한 어머니 여신이었음에 틀림없다.

반응형
Posted by 여강여호 :

여강여호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