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국토해양위원회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민주노동당 강기갑 의원은 경기도가 지난 7월 배포한 '한강 살리기 사업의 이해'라는 홍보책자에 유기농이 발암물질을 생성한다는 주장의 근거로 제시한 2편의 연구 논문 가운데 한 편은 아예 존재하지도 않은 유령 보고서이고 또다른 한 편은 '유기농'이란 단어가 한 번도 나오지 않는 유기농과 무관한 논문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문수 경기지사는 실수로 보고서 제목을 잘못 적은 것이라며 내용은 사실이라고 해명했다고 한다. 또 팔당 주변 11개의 유기농가가 두물머리의 상수원 보호구역에서 무단 경작을 하고 있다며 강제철거 방침을 재확인했다고 한다. 김문수 경기지사는 2011년 팔당 일대에서 열릴 예정인 [세계유기농대회]를 유치한 장본인이기도 하다.
이명박 대통령이 후보 시절 팔당 유기농단지를 방문해 한국농업의 미래라던 유기농이 3년이 지난 지금 수질오염의 주범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게다가 수십년간 유기농에 모든걸 걸어온 팔당 일대 유기농민들은 정부의 강제철거로 삶의 터전에서 쫓겨나고 있다. 물론 4대강 사업 때문이다. 녹색성장이라는 거창한 구호로 포장된 4대강 사업이 친환경 산업을 내쫓고 있는 형국이다.
이 엄청난 창과 방패의 논리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이들의 말바꾸기를 되짚어 보면 4대강 사업이 얼마나 오만과 독선으로 가득찬 성과주의의 산물인지 확인할 수 있다.
2007년 9월22일, 한나라당 대선후보 시절, 양평 친환경 유기농 농장 방문 발언
|
2009년 5월20일, 안성의 한 농촌마을에서 모내기 체험 중 발언
|
2009년 10월20일, 농림수산식품부의 팔당호 인근 유기농가 정리 발표
|
2010년 7월9일, 경기도가 홍보책자를 통해 유기농을 수질오염의 주범으로 몰아
|
4대강 사업을 위해서는 세계적으로 대안농업으로 인정받고 있는 유기농을 수질오염의 주범으로 몰아부치는 파렴치함도 서슴치 않는다. 보고서까지 왜곡해가며 유기농민들의 삶을 송두리째 빼앗고 있는 이들에게서 살기마저 느껴진다. 마지막으로 유기농이 정말 수질오염의 주범인지 세계 유기농 연맹 우르스 니글리 이사의 말을 들어보자.
"유기농이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고 환경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럽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수질보호구역과 취수지역에서 유기농업만 허가하고 있다."
'따따부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은사 땅밟기'로 모욕당한 이는 '예수'였다 (88) | 2010.10.27 |
---|---|
야당때는 '노무현 탓', 여당되니 '국민 탓' (5) | 2010.10.15 |
MB의 두얼굴, 물가걱정 Vs 농업예산 삭감 (16) | 2010.10.13 |
한글날, 나는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있을까? (9) | 2010.10.09 |
타블로 학력논란, 왜 본질은 외면하는가? (25) | 2010.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