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프스(Gryps), 그리푸스(Gryphus), 그리페스(Grypes) 등으로 불리는 그리핀(Griffin)은 히페르보레아족(세상 끝에 사는 전설적인 부족)과 외눈박이 아리마스피족(스키타이의 전설적인 부족) 사이의 리파에이 산맥(세상의 북쪽 끝에 있는 상상의 산)에 살면서 북쪽의 금을 지키는 괴물이었다. 아리마스피인들은 말을 타고 금을 훔치려 했고 이러는 사이 말과 그리핀 사이에 적대감이 생겼다. 그리핀은 사자의 몸에 머리와 날개는 독수리 형태를 하고 있었다. 그리핀은 기원전 7~8세기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 시인 헤시오도스가 처음으로 언급했으며 헤시오도스와 동시대에 활동한 것으로 보이는 소아시아 출신의 고대 그리스 시인 아리스테아스의 시 ‘아리마스페이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그리핀은 아마도 근동의 예술과 신화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보이며 세상의 끝에 살면서 그곳에서 금을 비축하고 전설적인 아리마스피족과 싸운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핀(Griffin)’이 ‘기폰(Gyphon)’ 또는 ‘그리폰(Griffon)’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대부분 모호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갈고리’ 또는 ‘구부러진’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그리포스(Grypos)’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생물이 근동에서 유래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용어는 셈족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 일부 학자들은 ‘축복’을 의미하는 아카드어 ‘카루부(Karubu)’와 연결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그리스 자료에 따르면 그리핀은 동유럽과 중앙아시아의 대초원인 세상의 외딴 북쪽 또는 북서쪽 끝자락에 살았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지역에 히페르보레아인, 이세도네스인, 아리마스피인 등의 전설적인 종족이 살고 있다고 믿었다. 1세기경에 활동한 고대 로마 지리학자인 폼포니우스 멜라는 그리핀을 유라시아 북부의 전설적인 리파에이 산맥에 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다른 자료에서는 인도에 살았던 그리핀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다. 중앙아시아의 더 친숙한 그리핀처럼 이 인도의 그리핀도 산 속의 금 매장지 근처에 살았다고 한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그리핀을 독수리의 머리, 날개와 사자의 몸을 가진 거대한 잡종 동물로 묘사했다. 아이스킬로스(Aeschylus. 기원전 525년~456년. 고대 그리스 비극 작가)는 그리핀을 ‘짖지 않는 날카로운 부리를 가진 제우스의 사냥개’라고 불렀다. 파우사니아스(Pausanias. 110년~180년. 고대 그리스의 여행가이자 지리학자)는 그리핀이 표범과 비슷한 반점이 있다는 전통을 기록했지만 개인적으로는 이것이 사실이라고 믿지 않았다. 인도의 그리핀은 때때로 더 자세히 묘사되었다. 이 그리핀은 늑대 크기이고 사자의 다리와 발톱, 화려한 깃털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몸 대부분에 검은색 깃털, 붉은 가슴 깃털, 푸른 목 깃털, 하얀 날개가 있다.
인도 그리핀에 대한 주목할 만한 설명은 필로스트라투스(Philostratus. 170년~250년. 고대 로마의 그리스 소피스트)의 <티아나의 아폴로니우스 전기>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이 생물은 태양신 헬리오스의 신성한 제물로 숭배되었다고 한다. 인도 예술가들은 헬리오스를 표현할 때 그리핀 넷을 나란히 묶어 그린다. 그리핀의 크기와 힘은 사자와 비슷하지만 날개가 있어서 코끼리나 용보다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 하지만 날 수 있는 힘이 크지 않고 짧은 비행을 하는 새 수준이었다. 새 같은 날개는 아니지만 발바닥에 붉은 막이 있어서 회전하고 날아다니며 공중에서 싸울 수 있다. 호랑이만이 그들의 공격을 막을 수 있다. 바람에 맞먹는 빠른 속도 때문이다.
그리핀은 문학에 묘사되기 훨씬 전인 청동기 시대부터 그리스와 에게해 예술에 등장했다. 고대(기원전 800년경~490년경)와 고전(기원전 490년경~323년경) 시대에 걸쳐 인기를 유지했다. 그리스 그리핀의 전형적인 특징으로는 뾰족한 귀와 벌어진 부리가 있다. 또한 머리 위에 볏이나 혹이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핀은 청동 및 도자기 도구와 갑옷에 인기 있는 장식 모티브였으며 전투나 사냥 장면에서 가끔 등장했다.
사자와 새가 결합한 생물체인 그리핀은 근동 어딘가에서 유래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고대 이란에서 번성했던 문명인 엘람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이며 기원전 4천년경에 유래했다. 이 생물체는 엘람에서 지중해 전역으로 퍼져 기원전 3000년경 선왕조 시대(기원전 3150년 이전) 이집트에 도착했다. 그리핀은 기원전 2천년경에 시리아에 도착했고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아나톨리아와 에게해에 전해졌다. 예를 들어 미노스 문명(기원전 3650년경~1170년경)의 크레타에서는 크노소스 궁전(기원전 1500년경)의 벽화에서 아름다운 그리핀을 볼 수 있다. 간단히 말해 그리핀은 아주 일찍부터 그리스 문화의 상상력에 들어왔다. 또한 초기 그리스 문학에도 등장했다. 그리핀에 대해 글을 쓴 최초의 시인은 헤시오도스(아마도 기원전 8세기나 7세기)로 알려져 있지만 글의 내용은 알 수 없다.
그리스인들은 보통 그리핀을 세상의 끝에서 살면서 막대한 금 매장지를 지키는 사나운 괴물로 상상했다. 고대 작가들은 아리마스피족으로 알려진 호전적인 외눈박이 종족이 종종 말을 타고 이 금을 훔쳤다고 묘사했다. 고대에 그리핀과 아리마스피족 신화의 주요 출처는 준전설적 시인 프로콘네소스의 아리스테아스였을 것이다. 아리스테아스는 극동으로 여행하여 그리핀, 아리마스피족 그리고 다른 멋진 이웃들을 직접 방문했다고 주장했다. 한때 유명했던 그의 시 ‘아리마스피아’는 더 이상 남아 있지 않지만 몇몇 고대 작가들은 지금까지 전해진 내용대로 요약했다.
비슷한 생물이 다른 많은 고대 문화권에도 알려져 있었지만 그리스 그리핀은 아마도 서양의 상상력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그리핀은 단테(Dante Alighieri. 1265년~1321년. 이탈리아의 시인)의 <신곡>과 존 밀턴(John Milton. 1608년~1674년. 영국의 시인)의 <실낙원>을 포함하여 역사 전반에 걸쳐 예술과 문학에 등장했다. 그리핀은 또한 그리스 신화의 현대적 재해석에도 등장한다. 예를 들어 <퍼시 잭슨과 올림포스의 신> 시리즈로 유명한 릭 리오던(Rick Riordan. 1964년~. 미국의 소설가>의 2011년 소설 <해왕성의 아들>에서 주인공 퍼시 잭슨은 알래스카를 여행하는 동안 그리핀에게 공격을 받는다. 그리핀은 문장학(문장의 기원 ·구성 ·구도 ·색채의 상징 등을 연구하여 중세사회 문화사를 해명하는 학문)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오늘날에도 많은 문장과 로고를 장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판타지 장르의 책, 영화, TV 프로그램, 게임 등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신화와 전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산의 버금신, 티콘 (0) | 2025.03.25 |
---|---|
글라우코스, 전쟁에서 핀 우정 (0) | 2025.03.24 |
시링크스, 갈대의 순정? 갈대의 아픔 (3) | 2025.03.10 |
물푸레나무 요정 멜리아데스가 죽음을 상징했던 이유 (1) | 2025.03.06 |
쿠바족이 수세기 동안 종교적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 (3)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