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트비아

(9)
기독교 이후 악마가 된 가정의 수호신, 아이트바라스 아이트바라스Aitvaras는 발트 지역 특히 리투아니아와 라트비아 신화에 등장하는 날으는 뱀이다. 아이트바라스는 종종 초자연적인 행운을 가져오는 창조물로 때로는 트릭스터로 표현되기도 한다. 아이트바라스는 또 가정의 신, 작은 악마, 가족의 수호신, 악령, 자연의 신 등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대지가 훼손될 때 아이트바라스는 대지를 어루만져 스스로 치유할 수 있게 한다. 아이트바라스는 자유자재로 변신이 가능한 신비하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창조물이다. 집 안에서 아이트바라스는 검은 고양이나 검은 수탉처럼 보일 수 있다. 집 밖에서 아이트바라스는 검은 까마귀나 날아다니는 용 또는 화염에 휩싸인 꼬리를 가진 뱀을 닮았다. 뱀으로서 아이트바라스는 행운을 가져다 준다는 풀뱀인 잘티스Zaltys의 머리를 가지고 있다. ..
천둥소리는 라우마의 남편 페르쿠나스의 분노다 라우마Lauma(리투아니아의 라우메Laume)는 라트비아 판테온에서 가장 오래된 여신이다. 이 여신의 이미지는 빙하기 직후인 중석기 시대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라우마는 암염소, 곰, 암캐, 암말 등 동물 형태로 표현되었다가 나중에 의인화된 외모를 가지게 되었다. 라우마는 보통은 새의 발톱과 암염소 형태의 머리와 몸통을 가진 반인반마 또는 반인반견의 여성으로 한 쪽 눈만 가진 것으로 표현되었다. 또 돌 젖꼭지가 있는 큰 가슴을 가진 형태로 그려진다. 흡사 그리스 신화의 (반인반마의)켄타우로스, (하나의 눈을 가진)키클로페스를 보는 듯 할 것이다. 라트비아와 리투아니아에서는 (오징어 모양을 한)벨렘나이트 화석을 라우마의 젖꼭지로 부른다. 라우마는 특히 남성들에게 위험했다. 라우마는 남성들을 간지럽히거나 ..
라트비아 자유의 여신상은 사랑의 여신 밀다... 리투아니아 신화에서 밀다Milda는 사랑의 여신이다. 하지만 사랑의 여신이라는 그녀의 특성은 출처가 불분명하고 학자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논쟁거리로 남아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밀다는 리투아니아에서 여성들이 가장 즐겨 쓰는 이름이 되었다. 네오 파간(기독교 이전의 종교에서 영향을 받은 현대 종교부흥 운동) 사회와 공동체는 5월이 되면 밀다를 기리기 위한 다양한 축제가 개최한다. 금성[샛별]을 뜻하는 밀다 몬스Milda Mons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것이다. 라트비아의 독립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리가의 자유 기념비 위에 서 있는 여성이 바로 밀다다. 참고로 밀다가 양손으로 떠받들고 있는 황금 별 세 개는 라트비아 공화국을 대표하는 역사적인 도시 세 곳(쿠르제메, 비제메, 라트갈레)을 상징한다고 한다..
샛별에 대한 리투아니아와 라트비아의 서로 다른 시선 발트 신화 특히 리투아니아 판테온에서 아우스리네Ausrine(라트비아의 아우세클리스Auseklis)는 샛별 또는 새벽의 신이었다. 동일한 새벽의 신이었지만 라트비아의 아우세클리스가 남성이었다면 리투아니아의 아우스리네는 여성이었다. 아우스리네는 또 태양신의 수행원이었으며 풍요와 관련되어 있었고 천상의 목욕탕에서 일어나는 활동에 참여했다고 한다. 아우스리네는 베다의 우샤스, 그리스 판테온의 새벽의 여신 에오스와 관련이 있었다. 특히 아우스리네의 라트비아 버전인 아우세클리스는 달의 신 메네스, 태양 여신 사울레와 관련이 있었다. 라트비아 새벽의 신 아우세클리스는 달의 신에게 종속되어 있었고, 달의 신과 함께 태양 여신 사울레의 딸인 사울레스 메이타의 경쟁적 구애자이기도 했다. 리투아니아 새벽의 여신 아우스리네..
참나무는 페르쿠나스에게 바쳐진 신성한 나무였다 리투아니아 제 2의 도시 카우나스의 구시가지 끝에는 ‘페르쿠나스의 집Perkuno namai’이라고 불리는 고딕 양식의 건축물이 있다고 한다. 이 건축물은 원래 한자동맹에 의해 지어졌으나 1440년에서 1532년까지는 평범한 사무실로 사용되었다. 1643년 예수회가 이 건물을 사서 교회를 완성했지만 이후 파괴되어 19세기에 재건되었다. 특히 19세기 말에는 낭만주의 역사가들에 의해 이 건축물 내부에서 페르쿠나스로 추정되는 벽화가 발견되어 이후 ‘페르쿠나스의 집’으로 불렸다고 한다. 리투아니아 판테온에서 페르쿠나스Perkunas(라트비아의 페르콘스Perkons)는 하늘의 신이자 천둥의 신으로 법과 질서의 수호신이었다. 또 은혜로운 비를 가져오는 풍요의 신이기도 했다. 가장 자주 번개를 맞는 것으로 알려진 ..
디에바스는 그 자체로 '신'을 의미했다 디에바스(리투아니아, 라트비아의 디에브스Dievs)는 데베스테스Devestes라고도 불리며 발트 판테온에서 하늘의 신이자 최고신이었다. 고대 프러시안에서는 데이바스Deivas라고 불렀다. 디에바스와 운명의 여신 라이마Laima는 인간의 운명과 세계 질서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디에바스는 또 태양 여신 사울레Saule에게 구애하기도 했다. 기독교 이전 발트 신화에서 디에바스는 하늘의 농장에 거주했던 철기 시대 왕이었다. 그는 은색 옷과 펜던트를 걸치고 칼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때로는 말이나 말이 끄는 마차를 타고 대지로 내려와 농부들과 농작물을 지켜주었다고 한다. 또 모자를 쓰고 있는 점잖은 농부로 그려지기도 한다. 디에바스는 하늘 쌍둥이로 알려진 두 명의 아들이 있었으며 아침 별과 새벽 별을..
가장 극단적인 운명의 여신, 라이마 라이마Laima는 몇 안 되는 발트 판테온의 여신으로 기본 개념을 의인화한 신으로 알려졌다. 요약하자면 라이마는 기독교 이전 라트비아의 여신으로 인간과 동물의 운명을 관장했으며 특히 분만하는 여성 및 신생아의 수호신이었다. 그녀는 다양한 개인과 사회의 기능을 통합하고 있는데 특히 그녀를 대표하는 기능은 운명과 풍요(또는 다산)의 여신으로써의 역할일 것이다. 운명과 관련하여 라이마는 ‘행복’을 뜻하는 ‘라이메Laima’라는 단어와의 연관성에 주목해야 한다. 운명으로써의 라이마는 개인의 삶을 결정짓는 최고의 힘을 가지고 있었다. 그녀의 결정은 늘 급진적이었고 절대불변이었다. 발트 신화에서 라이마의 역할은 인생의 결정적인 순간에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 첫 번째는 출산 또는 탄생이었다. 여기서 라이마는 산모와..
여신 사울레는 어떻게 태양을 상징했을까? 사울레Saule 또는 사울레 마테스Saules Mates는 발트(라트비아) 신화에서 태양 여신이다. 당연히 그녀의 상징은 태양, 불, 말, 자작나무 등이다. 사울레는 인도-유럽어족 전통의 신이며 이름 자체가 ‘태양’을 의미한다. 신화에 따르면 사울레는 노란 말이 끄는 마차를 타고 낮 동안 하늘을 가로지른 다음 황금빛 자작나무 배를 타고 밤길을 따라 바다를 누비며 붉은 스카프를 매달아 하늘에 사랑스런 색깔을 선사한다고 한다. 태양 여신 사울레는 농업과도 관련이 있으며 신화적인 산인 하늘의 농장 꼭대기에 사는 것으로 인식된다. 곡식의 풍작과 숙성을 위해 이 신에게 기원한다. 약초를 수확할 때도 여신을 위한 제물을 남겨놓는다. 라트비아인들은 여신이 이 약초들을 다음 해 또 풍성한 수확을 위해 자작나무 아래 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