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메리카/잉카/일야뿌 Illapu

 

은하수의 순우리말은 미리내이다. ‘미리의 순우리말이고 개천을 의미한다.은하수를 용이 건너는 강이라고 생각했는지 아니면 보이는 모습이 용 모양의 길쭉한 개천같아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은하수를 범상치 않게 생각했음은 분명하다. 견우와 직녀 설화를 보면 은하수는 용 모양의 강으로 젊은 연인의 사랑을 방해한 훼방꾼이기도 했다.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서쪽 밤하늘에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보이는 별이 거문고 자리 알파(α)베가(Vega)가 우리 조상들이 말하는 직녀성이다. 한편 은하수 동쪽 독수리 자리의 가장 위쪽에는 빛나는 일등성 알파(α)알타이르(Altair)가 빛나고 있는데 이 별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견우성이다. 천제는 옷을 잘 짜는 손녀 직녀를 은하수 건너 목동 견우와 혼인시켰는데 연일 깨가 쏟아지는 결혼생활을 즐기느라 각자의 일을 게을리했다고 한다. 할 수 없이 천제는 두 젊은 연인에게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1년에 한 번만 만나게 했다는데 그날이 바로 음력 7 7일이라고 한다. 직녀성인 베가와 견우성인 알타이르가 일년 중 가장 가까워진 날이 음력 7 7일 밤하늘이어서 생긴 설화일 것이다.


 ▲은하수. 사진>구글 검색

 

서양인들에게도 은하수는 특별한 존재로 여겨진다. 서양인들은 은하수를 젖이 흐는 길이라는 뜻의 밀키 웨이(Milky Way)’라고 부르는데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했다. 제우스는 자신의 외도로 태어난 아들 헤라클레스의 양육을 정부인인 헤라에게 맡겼는데 어릴 때부터 소년 장사였던 헤라클레스가 젖을 얼마나 세게 물었던지 헤라가 깜짝 놀라면서 몸을 비트는 바람에 젖이 하늘에 뿜어져 은하수가 되었다고 한다. 은하수를 갤럭시(Galaxy)’라도 하는데 우유를 뜻하는 그리스어 갈라(gala)’가 어원이라고 한다.

 

북유럽에서는 은하수가 겨울이 오는 것을 알린다고 해서 겨울의 거리라고 불렀고, 인도 신화에서는 갠지스 강이 원래는 하늘에서 흐르는 강은하수였는데 시바(Shiva) 신이 자신의 머리로 은하수를 떠받쳐 지상에 내려놓은 것이 바로 갠지스 강이라고 한다. 남아프리카 코이산족 전설에도 은하수가 등장하는데 모닥불 주위에서 홀로 춤을 추던 소녀가 하늘로 던진 잉걸불이 은하수가 되어 밤하늘을 환하게 밝히고 있다고 한다.

 

아메리카인들에게도 은하수는 신령스러운 현상이었다고 한다. 잉카 신화에 따르면 기후의 신이자 천둥의 신인 일야뿌(Illapu)가 있었는데 일야뿌의 주요 무기는 좀 소박하긴 하지만 돌팔매였다고 한다. 어느 날 일야뿌는 물항아리를 이고 가던 누이를 향해 돌팔매를 던졌다고 한다. 이 때 가죽으로 만든 팔매 끈이 하는 소리를 냈는데 이 소리가 천둥소리가 되었다고 한다. 또 돌팔매가 공기를 뚫고 날아가면서 번갯불이 생겼고 돌팔매가 누이의 항아리를 맞히자 깨진 항아리에서 흘러나온 물이 가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잉카인들은 일야뿌를 기후의 신, 비의 신, 천둥의 신으로 숭배했고 가뭄이 오래 지속될 때는 일야뿌 신에게 인신공양까지 바쳤다고 한다. 한편 일야뿌는 거대한 보폭으로 하늘을 걸어 다니면서 큰 그림자를 만들어 냈는데 이 그림자가 은하수가 되었다고 한다. 페루 지역에서는 감자와 호박 농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호박은 잉카인들이 기우제 때 일야뿌 제단에 꼭 바치는 채소였다고 한다. 스칸디나비아에서 겨울이 오는 것을 알린다고 믿어서 '겨울의 거리'로 불렸고, 그리스 신화에서는 여신 헤라가 흘린 젖이라고 말한다. 남아르피카 코이산족 전설에서는 모닥불 주위에서 외롭게 춤추던 소녀가 하늘로 던진 잉걸불이 그때까지 캄캄하던 밤하늘을 밝히는 길이 되었는데 이것이 은하수라고 이야기한다고 윈터번은 설명한다. 물론 은하수가 천문학적으로 어떤 의미인지 설명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스칸디나비아에서 겨울이 오는 것을 알린다고 믿어서 '겨울의 거리'로 불렸고, 그리스 신화에서는 여신 헤라가 흘린 젖이라고 말한다. 남아르피카 코이산족 전설에서는 모닥불 주위에서 외롭게 춤추던 소녀가 하늘로 던진 잉걸불이 그때까지 캄캄하던 밤하늘을 밝히는 길이 되었는데 이것이 은하수라고 이야기한다고 윈터번은 설명한다. 물론 은하수가 천문학적으로 어떤 의미인지 설명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스칸디나비아에서 겨울이 오는 것을 알린다고 믿어서 '겨울의 거리'로 불렸고, 그리스 신화에서는 여신 헤라가 흘린 젖이라고 말한다. 남아르피카 코이산족 전설에서는 모닥불 주위에서 외롭게 춤추던 소녀가 하늘로 던진 잉걸불이 그때까지 캄캄하던 밤하늘을 밝히는 길이 되었는데 이것이 은하수라고 이야기한다고 윈터번은 설명한다. 물론 은하수가 천문학적으로 어떤 의미인지 설명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스칸디나비아에서 겨울이 오는 것을 알린다고 믿어서 '겨울의 거리'로 불렸고, 그리스 신화에서는 여신 헤라가 흘린 젖이라고 말한다. 남아르피카 코이산족 전설에서는 모닥불 주위에서 외롭게 춤추던 소녀가 하늘로 던진 잉걸불이 그때까지 캄캄하던 밤하늘을 밝히는 길이 되었는데 이것이 은하수라고 이야기한다고 윈터번은 설명한다. 물론 은하수가 천문학적으로 어떤 의미인지 설명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스칸디나비아에서 겨울이 오는 것을 알린다고 믿어서 '겨울의 거리'로 불렸고, 그리스 신화에서는 여신 헤라가 흘린 젖이라고 말한다. 남아르피카 코이산족 전설에서는 모닥불 주위에서 외롭게 춤추던 소녀가 하늘로 던진 잉걸불이 그때까지 캄캄하던 밤하늘을 밝히는 길이 되었는데 이것이 은하수라고 이야기한다고 윈터번은 설명한다. 물론 은하수가 천문학적으로 어떤 의미인지 설명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스칸디나비아에서 겨울이 오는 것을 알린다고 믿어서 '겨울의 거리'로 불렸고, 그리스 신화에서는 여신 헤라가 흘린 젖이라고 말한다. 남아르피카 코이산족 전설에서는 모닥불 주위에서 외롭게 춤추던 소녀가 하늘로 던진 잉걸불이 그때까지 캄캄하던 밤하늘을 밝히는 길이 되었는데 이것이 은하수라고 이야기한다고 윈터번은 설명한다. 물론 은하수가 천문학적으로 어떤 의미인지 설명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스칸디나비아에서 겨울이 오는 것을 알린다고 믿어서 '겨울의 거리'로 불렸고, 그리스 신화에서는 여신 헤라가 흘린 젖이라고 말한다. 남아르피카 코이산족 전설에서는 모닥불 주위에서 외롭게 춤추던 소녀가 하늘로 던진 잉걸불이 그때까지 캄캄하던 밤하늘을 밝히는 길이 되었는데 이것이 은하수라고 이야기한다고 윈터번은 설명한다. 물론 은하수가 천문학적으로 어떤 의미인지 설명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참고자료

마이클 조던/신 백과사전/보누스

필립 윌킨스/신화와 전설/21세기북스

〮토마스 벌핀치/그리스 로마 신화/창해

〮포털 사이트 지식 및 뉴스 검색


반응형
Posted by 여강여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