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화와 전설

(1297)
일본의 허수아비 축제와 쿠에비코 가카시(案山子)는 우리말로 ‘허수아비’란 뜻으로 ‘지독한 냄새가 난다’는 의미의 에도 시대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일본의 농촌에는 허수아비에 관한 많은 매혹적인 이야기들과 전설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고 한다. 에 따르면 쿠에비코(久延毘古)라고 불리던 허수아비가 신으로 등장하는데 쿠에비코는 비록 움직일 수는 없었지만 세상 모든 것을 알고 있었다. 이 허수아비들의 신 쿠에비코의 별칭이 바로 소호도 즉 야마다노소호도(山田之曾富騰)이다. ▲쿠에비코는 허수아비들의 신으로 '소호도'라고도 부른다. 출처>야후재팬 에 따르면 최초의 쿠에비코에 대한 언급은 오쿠니누시 신화에서다. 오쿠니누시가 이즈모에 있을 때 덩치가 작은 신 하나가 배를 타고 이즈모에 도착했다. 어느 누구도 그의 이름을 몰랐다. 그 때 두꺼비가 허수..
빅뱅을 닮은 창조신, 로드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민족들과 종교들에서처럼 슬라브 민족과 종교에도 창조 신화가 존재한다. 슬라브 신화에서 창조신은 로드(Rod)였다. 로드는 존재하는 것 그 자체였으며 스스로 태어났다. 태초에 세상은 어둠뿐이었다. 로드는 알에 둘러싸인 식물의 싹과도 같았다. 그가 사랑의 여신 라다(Lada)에게 생명을 주었을 때 로드를 둘러싸고 있던 껍질이 터지면서 사랑이 흘러내리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런 방식의 우주 창조 신화는 백 뱅(Big Bang, 우주 생성의 시발로 여겨지는 대폭발)과 매우 유사하다. ▲슬라브 신화의 창조 이야기는 빅뱅을 닮았다. 출처>구글 검색 ‘로드(Rod)’는 ‘탄생’, ‘기원’, ‘친족’이라는 뜻의 고대 슬라브어 어근에서 파생된 단어 ‘Rozhanitsa’와 유사한 형태로 현대 슬라브..
크리스마스와 태양신 솔 솔 인디게스(Sol Indiges)는 로마 신화에서 가장 오래된 신들 중 하나이다. 그리스 신화의 태양신 헬리오스와 동일시되지만 솔은 로마 토착신이다. 솔에 관한 초기 역사는 플라비우스 왕조(69~96)의 티투스 황제가 소개한 많은 신들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그리스 신화의 헬리오스처럼 로마 신화에서도 태양신은 별로 주목받지 못한 신이었다. 로마 문학에서도 한 때 태양신이 사라지기도 했다. ‘솔 인디게스’는 ‘토착신 솔’이라는 뜻이다. 나중에 나오는 ‘솔 인빅투스(Sol Invictus, 무적의 태양신)’와는 구별된다. 태양신의 존재를 다시 다시 끌어들인 이는 아우렐리아누스 황제였다. 아우렐리아누스는 ‘무적의 태양신’을 의미하는 솔 인빅투스(Sol Invictus)로 태양신을 소개했다. ▲로마..
우주의 알에서 태어난 태초의 태양신, 파네스 파네스(Phanes)는 그리스 신화의 밀교 전통에서 출현한 신으로 거의 언급되지 않은 그리스 신이다. 오늘날 가장 유명한 그리스 신들에 대한 이야기는 헤시오도스가 쓴 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여기서도 파네스에 대한 언급이 없다. 다만 그리스 밀교 전통에서 파네스는 프로토지노이(Protogenoi) 즉 태초의 신들 중 한 명이었다. ▲파네스는 그리스 밀교 전통에서 태초의 태양신이었다. 출처>구글 검색 참고로 밀교(密敎, Mysteries)란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종교들을 통칭하는 말로 해당 종교 입문자에게만 그 내용이 알려져 있었다. 이런 이유로 밀교는 철저한 비밀주의를 주된 특징으로 한다.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를 주신으로 하는 엘레우시스 밀교와 고대 로마 제국의 군인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미트라교 등이 있..
개구리 여신, 헤케트 헤케트(Heqet 또는 Heqat)는 고대 이집트에서 출산과 풍요의 여신이었다. 헤케트는 주로 개구리나 개구리 머리를 한 여자로 묘사되었다. ‘헤케트’라는 이름의 뜻이 확실하게 밝혀진 것은 없지만 ‘통치자’나 ‘왕이 왕권의 상징으로 드는 홀’을 의미하는 말 ‘heqa’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개구리는 풍요와 새 생명을 상징한다. 한편 헤케트 신전의 여사제들은 산파였거나 산파 교육을 받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개구리 여신 헤케트는 출산과 풍요의 여신이었다. 출처>구글 검색 이집트 전승에 따르면 헤케트는 숫양 머리를 가진 창조신 크눔(Khnum)의 아내였다고 한다. 크눔은 물래로 각각의 인간을 창조했고 헤케트는 크눔이 창조한 인간이 어머니의 자궁에 착상되기 전에 생명을 불어넣어 주었다고 한다. 헤케트와 ..
바빌로니아의 위대한 신부, 아야 아야Aya(수메르 신화의 세리다Serida)는 메소포타미아(바빌로니아-아카드) 신화에서 태양신 샤마쉬Shamash(수메르 신화의 우투Utu)의 아내로 어머니 여신이자 빛의 여신이다. 태양신 샤마쉬의 아내로써 아야의 역할은 의 바빌론 버전에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바빌로니아의 원통형 인장에 샤마쉬와 함께 등장한 아야. 출처>구글 검색 에서 아야는 “위대한 신부”로 언급되어 있다. 영웅 길가메쉬는 삼나무 숲으로 모험을 떠나서 괴물 훔바바를 죽인다. 길가메쉬의 어머니 닌순Ninsun은 아들의 무모한 모험을 태양신 샤마쉬 탓으로 돌린다. 닌순은 신전 지붕에 올라가 아야에게 남편 샤마쉬를 설득해 길가메쉬를 보호해 줄 것을 간청한다. 닌순은 태양신이 아들을 볼 수 없는 밤에 특별히 더 보호해 줄 것을 애원한다. 수..
반전의 일식신화, 아실리스 태양이 달에 의해서 숨겨지는 현상을 일식이라고 한다. 이 때는 태양과 달과 지구가 일직선상으로 서고 태양에 의한 달의 그림자가 지상에 생긴다. 요즘이야 일식을 미리 예측하고 일식을 보기 위해 일부러 시간을 내기도 하지만 고대인들에게 태양이 가려지는 아니 태양이 없어지는 현상은 불길함 그 자체였다. ▲마야 신화에서 아실리스는 일식의 신이다. 출처>구글 검색 가령 고대 인도 신화에서는 일식이나 반대로 달이 가려지는 월식을 현상이 아닌 하나의 별로 봤다고 한다. 즉 일식과 월식이라는 별이 악마 별 라후에게 먹혀서 생긴 것이라고 한다. 신화에 따르면 악마 라후가 신들의 음료 암리타를 훔쳐 마시려 할 때 태양과 달이 이를 알아채고 비슈누에게 보고했다. 라후가 암리타를 한 모금쯤 마셨을 때 비슈누가 던진 원반에 머..
가지치기의 달인, 푸타 여신 ▲농업의 신 푸타 여신은 가지치기를 관장한다. 출처>구글 검색 로마 신화에서 푸타(Puta)는 나무와 관목의 적절한 가지치기를 관장하는 농업의 여신이다. 신화에 따르면 ‘푸타’라는 이름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온 말로 문자 그대로의 뜻은 ‘가지치기(Prun)’이다. 고대 푸타 여신을 기리는 축제에서는 나무와 관목의 가지치기를 기념했고 요즘에는 여성 사제들이 스스로 신성한 연회를 즐기는 것으로 푸타 여신의 숭배를 표현하고 있는데 라틴어에서 진화한 현재 언어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한 퍼포먼스라고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