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화와 전설/그리스

(375)
알페이오스강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들 그리스 신화에서 알페이오스(Alpheios. 또는 Alpheus)는 강의 신이었다. 그리스 펠로폰네소스의 중심에 위치한 타이게투스산에서 발원하여 올림피아 부근까지 흐르는 강의 이름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강의 신과 마찬가지로 알페이오스도 티탄족 대양의 신 오케아노스와 그의 누이인 테티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었다. 그는 파리스의 딸 텔레고네와 결합해 오르실로코스 왕을 낳았다. 오르실로코스를 통해 알페이오스는 디오클레스의 할아버지이자 트로이 전쟁 중에 아이네이아스에 의해 살해된 두 군인 크레톤과 오르실로코스의 증조부가 되었다. 강의 신 알페이오스는 또 포세이돈과 결합해 에이레네를 낳은 멜란테이아의 아버지이기도 했다. 후기 기록에 따르면 알페이오스는 제우스와 결합해 엔디미온을 낳았을 수도 있는 포에니사의 아버..
아르고스의 왕 펠라스고스가 겔라노르로 불린 이유 그리스 신화에서 아르고스의 왕 겔라노르(Gelanor)는 아르고스의 시조인 강의 신 이나코스의 후손으로 스테넬라스의 아들이자 후계자였다. 영국의 시인이자 평론가인 로버트 그레이브스(Robert von Ranke Graves, 1895년~1985년)가 ‘겔라노르’라는 이름을 ‘웃음’을 의미하는 문학적 장치라고 주장했듯이 그의 실제 이름은 펠라스고스(Pelasgus)였다. 다나오스가 아르고스에 대한 왕권을 주장할 때 이를 비웃었기 때문에 ‘웃는 자’라는 뜻으로 그렇게 불렸다고 한다. 끝내 겔라노르는 자진해서 다나오스에게 권력을 넘겨 주었다. 그렇다면 겔라노르는 왜 이렇게 쉽게 아르고스의 왕권을 넘겨 주었을까? 다나오스는 이집트의 전설적인 왕 벨로스와 안키노에 사이에 태어난 아들이었다. 그에게는 아이깁토스라는..
트라키아의 물의 요정 아바 그리스 신화에서 아바(Aba)는 트라키아(지금의 발칸반도 동부 일원을 일컫는 고대 지명)의 나이아드(분수, 우물, 샘, 개울, 시냇물 및 기타 담수를 관장하는 여성 정령 또는 님페. 복수형은 나이아데스)로 에르기스케(지금의 터키 이스탄불의 차탈카 지역)의 샘과 개울, 온천 등을 관장했다. 였다. 그녀는 포세이돈과 함께 에르기스코스(Ergiscus)라는 아들을 낳았는데 차탈카의 옛 지명인 에르기스케(Ergisce)의 어원이 되었다. 아바는 트라키아의 강의 신 헤르보스의 딸로 추정된다. 고대 지중해 세계에 대한 10세기 비잔틴 제국의 백과사전인 에는 에르기스케의 어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에르기스케: 트라키아에 있으며 포세이돈과 님페 아바의 아들 에르기코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토성의 위성 미마스와 거인족 미마스 토성 주위를 공전하는 위성 미마스(Mimas)는 1789년 9월 17일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이 처음 발견했다. 1980년 보이저 1호와 2호가 직접 촬영하기 전까지 천문학자들에게 미마스는 작은 점에 불과했다. 시간이 흘러 2017년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가 촬영한 미마스 사진에는 거대한 멍자국이 있어 더욱 관심을 끌었다. 그 멍자국은 바로 크레이터로 오래전 다른 천체와의 충돌로 생긴 패인 자국을 말한다. 미마스의 지름이 396km인데 가장 큰 크레이터의 폭이 무려 130km에 달한다고 하니 충돌 당시 충격이 얼마나 컸을지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하나 흥미로운 사실은 미마스 모양이 구형이라는 것이다. 천문학자들에 따르며 천체 지름이 최소 500km는 넘어야 자체 중력으로 공 모양이 된다고..
소문과 가십의 여신, 페메 그리스 신화에서 오사(Ossa)라고도 불리는 페메(Pheme)는 험담과 소문, 명성의 여신이었다. 사실 그녀는 실제 신이 아니라 이러한 개념들의 의인화였다. 누군가 그녀의 은혜를 받으면 페메는 그에게 명성과 명예를 주지만 화가 나면 그녀는 그에 대한 소문과 험담을 퍼뜨린다. 페메와 동일시되는 로마의 신은 파마(Fama)였다. 헤시오도스는 그녀를 ‘사악한 것’이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그녀는 들기에는 가볍고 휴대하기에는 무겁고 다시 내려놓기에는 어렵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그녀에 대해 이야기하는 한 그녀는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다. 그녀는 희망의 여신 엘피스의 딸이었다. 이것은 아마도 유명해지기를 희망하는 사람들의 바람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또 그녀는 제우스의 전령이었는데 소문의 출처는 찾기 어렵지만 그것은..
민속과 신화에서 유래한 원소 이름들 칼리포르늄(californium, 원소기호 Cf, 인공 방사성 원소), 모스코븀(moscovium, 원소기호 Mc, 인공 방사성 원소) 등과 같은 일부 원소는 장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또 아인시타이늄(einsteinium, 원소기호 Es, 방사성 원소)과 퀴륨(curium, 원소기호 Cm, 방사성 원소)는 각각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879년~1955년, 독일 태생 이론물리학자)과 마리 퀴리(Marie Curie, 1867년~1934년, 폴란드 출신의 프랑스 과학자)의 이름을 빌어 명명되었다. 그리고 적지 않은 원소가 유명한 신과 기타 신화 속 인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아래에 열거하는 11개의 원소들이 바로 민속과 신화에서 유래한 것들이다. 프로메튬(Promet..
불멸이 된 필멸의 공주, 오리티이아 그리스 신화에서 오리티이아(Orithyia)는 그리스 신 보레아스(북풍의 신)의 불멸의 아내가 될 필멸의 공주였다. 보레아스는 그녀를 자신의 아내로 만들기 위해 그녀를 납치할 것이었다. 오리티이아는 아테네에서 태어났으며 에레크테우스 왕과 프락시테아 왕비의 딸이었다. 오리티이아의 여자 형제로는 프로키스, 케루사, 크토니아, 프로도게네이아가 있었고 남자 형제로는 케크롭스, 메티온, 오르네우스, 판도로스가 있었다. 오리티이아는 당대의 가장 아름다운 공주 중 한 명이었으며 이 아름다움으로 인해 그녀는 북풍의 신 보레아스의 눈길을 끌었다. 보레아스는 처음 오리티아를 유혹하려고 시도했으며 심지어 에레크테우스 왕에게 접근해 그의 딸과 결혼하도록 허락해 달라고 요청까지 했다. 그러나 보레아스의 말은 오리티이아를 설득하..
죽어서 지하세계의 판관이 된 필멸의 인간, 아이아코스 아이아코스(Aeacus)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아이기나 섬(그리스 살로니카 제도에 위치한 섬으로 지금의 에기나)의 왕이었다. 그는 제우스와 강의 신 아소포스의 딸 님페 아이기나의 아들이었다. 제우스는 아이기나 부모의 분노로부터 그녀를 구하기 위해 그녀를 오이노네 섬으로 데려왔다. 이 섬은 나중에 그녀의 이름을 따서 아이기나가 되었다. 아이아코스는 당시 사람이 살지 않았던 이 섬에서 태어났다. 그래서 제우스는 섬의 모든 개미를 인간으로 변신시켜 미르미돈(그리스어로 ‘개미’라는 뜻) 종족을 만들었다. 아이아코스는 미르미돈의 통치자가 되었다. 또 다른 신화에서 이 섬에 사람이 살았다고 한다. 그러나 제우스이 질투심 많은 아내 헤라가 아이기나의 모습을 보고 전염병을 보내 섬 주민들을 몰살시켰다. 그 때 제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