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

(2165)
베스타 이전의 화로의 여신, 카카 카카Caca(또는 카키아Cacia)는 고대 로마 판테온의 화로의 여신으로 베스타(그리스의 헤스티아)의 원형이 되었다. 그녀는 집의 창고를 지키는 가정의 신들인 페나테스Penates 중 한 명이며 중앙 화로에 그녀의 제단이 있었다. 가정의 신들 즉 페나테스는 행운과 번영을 가져오며 창고나 저장고를 지키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사람들은 페나테스 조각상을 페네트랄리아라고 불리는 안채 사당에 보관했다. 베스타 여신은 종종 카카와의 연관성 때문에 페나테스로 여겨졌으며 페누스Penus 또한 신성한 유물을 보관하는 베스타 신전의 특별한 저장소로 사용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이 신성한 유물은 아이네이아스가 폐허가 된 트로이에서 가져온 것들이었다. 베스타처럼 카카도 처녀들이 들고 있는 영원한 불로 숭배되었다. 고대 로마의 시..
미얀마 사람들이 나트 축제 때 포파산을 찾는 이유 버마 민속에서 나트Nat(‘낫’으로도 읽음)는 불교 이전 광범위하게 숭배된 신 또는 신 집단으로 태국 판테온의 코코넛 신 피Phi(또는 피 마프라오Phi Maphrao)와 유사한 정령일 것이다. 나트는 폭력적인 방법으로 죽은 인간의 영혼들로 구성된 37명의 신 집단이다. 나트는 인간들이 그들을 잘 달래주면 인간의 수호신이 될 수 있지만 그 반대의 경우 인간에게 해코지를 할 수도 있다. 37명의 나트 중에는 자연 나트, 매년 공물을 바치는 것이 상속된 의무인 세습 나트, 야생동물과 도적, 질병으로부터 공통체를 지키는 동네 나트 등이 있다. 특히 동네 나트는 마을 입구 근처의 나무나 기둥에 붙어 있는 사당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가정 나트인 민 마하기르Min Mahagir를 기리기 위해 집의 남..
지질렐리아, 사랑의 여신?...비의 여신? 지질렐리아Dzydzilelya는 폴란드 판테온의 여신으로 15세기 폴란드의 사제이자 연대기 작가였던 역사학자 얀 드우고시(Jan Długosz, 1415년~1480년)가 그의 책 에서 언급한 신이었다. 얀 드우고시는 지질렐리아를 로마의 미의 여신 베누스에 비유했다.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가 슬라브 신화에 대한 믿을 만한 출처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폴란드의 문헌학자인 알렉산더 브뤼크너(Aleksander Brückner, 1856년~1939년)는 지질렐리아라는 이름이 의미를 알 수 없는 노래의 후렴구에서 유래했으며 얀 드우고시는 이를 신의 이름으로 착각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몇몇 학자들은 지질렐리아가 불가리아의 비의 여신 도돌라와 유사하며 아마도 도돌라와 비슷한 비와 다산의 여신이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하수구의 여신 클로아키나와 미의 여신 베누스를 결합시킨 이유 로마 제국(BC 650년~AD 400년) 시절 로마인들은 많은 신들을 숭배했다. 그들은 가능한 거의 모든 상황과 행동을 관장하는 신들을 가지고 있었고 모든 장소에 신들이 깃들어 있다고 생각했다. 로마 신화에서 클로아키나Cloacina는 고대 로마의 하수도와 도시 쓰레기를 관장하는 여신이었다. 그녀는 하수도 시스템의 원활한 작동을 책임지고 하수도 노동자들의 수호신이었다. 로마 제국 당시 로마처럼 큰 도시에서는 하수도가 큰 문제로 인식되었다. 고대 로마에 클로아키나는 미의 여신 베누스(그리스 신화의 아프로디테)와 동일시될만큼 중요한 신이었다. 고대 로마에서는 현재까지 동상으로 남아있는 클로아키나를 기리기 위해 동전이 주조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둥근 석조 신전이 여신에게 바쳐졌다. ‘영원한 도시’ 고대 로..
금지된 사랑의 여신, 로픈 북유럽(스칸디나비아) 신화에서 로픈Lofn은 ‘편안한’, ‘온화한’ 또는 ‘사랑스런’이라는 뜻으로 (금지된) 사랑의 여신이었다. 로픈은 13세기 스노리 스툴루손(Snorri Sturluson, 1179년~1241년, 아이슬란드의 시인이자 역사가)이 쓴 (또는 )와 스칼드 시(9~13세기 아이슬란드 시인들에 의해 개발된 구전 궁정시)에 나오는 케닝(고대 게르만어와 노르웨이어, 고대 영어에 등장하는 간결한 복합어나 비유적 표현)에 등장한다. 에서 로픈은 결혼이 금지되었을 때조차도 태도가 온화하고 결혼을 주선하는 자로 그려진다. 신화학자들은 여신이 함축하는 의미에 대해 다양한 이론들을 제안해 왔다. 로픈은 금지된 사랑의 여신이지만 앞서 언급된 스노리의 에 남겨진 인용문 외에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그녀는 ..
슬라브인들의 숙면을 방해하는 무서운 정령, 키키모라 어떤 정령들은 그것을 믿지 않는 사람들도 꽤 신경 쓰는 경우가 있다. 전세계 신화에서 가장 무서운 존재 중에 키키모라Kikimora라는 슬라브 판테온의 정령이 있다. 슬라브 문학에서 키키모라는 치치모라Sziszimora(또는 Szyszymora)로 알려져 있다. 키키모라는 ‘허수아비’를 뜻하는 핀란드어 ‘키케뫼르쾨kikkemörkö’에서 유래했다. 그 단어의 어원이 무엇이든 간에 키키모라는 형체가 없는 악몽 같은 존재 또는 밤에 사람들의 숙면을 방해하는 무서운 정령을 의미한다. 키키모라는 집에 정착하고 집을 떠나기 싫어하는 존재로 집 구성원들의 삶을 견딜 수 없게 만든다. 키키모라는 보통 가위눌림, 악몽, 밤에 음식에 일어나는 나쁜 일에 대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녀는 러시아에서 잘 알려져 있지만 ..
바람의 지배자, 아이올로스 그리스 신화에서 아이올로스Aeolus는 바람의 지배자이다. 하지만 아이올로스 이야기는 매우 복잡하다. 오늘날 아이올로스는 하급 신으로 여겨지지만 그는 아마도 신들의 비호를 받는 필멸의 왕이었을 것이다. 바람의 지배자 아이올로스는 히포테스 왕과 켄타우로스 케이론의 딸 님페 멜라니페의 아들이었다. 혈통을 볼 때 그는 신이라기보다는 필멸의 왕이었을 것이다. 아이올로스는 떠다니는 섬 아이올리아를 다스렸고 그곳에서 리파라의 왕 리파로스의 딸인 키아네와 함께 여섯 딸과 여섯 아들의 부모가 되었다. 아이올리아 섬은 높은 절벽이 있는 섬으로 여겨졌고 청동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아이올로스는 왕으로서 존경을 받았고 공정하게 통치했으며 신들의 총애를 받는 왕이 되었다. 그는 올림포스 산에서 열리는 신들의 연회에도 참석할..
풍요의 여신 마리암만을 '무투(진주)'로 부르는 이유 마리암만Mariamman은 풍요(또는 다산)의 여신이자 비의 여신이다. 인도 남부 타밀 지역에서 기원한 이 힌두 여신은 약 2천년 동안 대체불가능한 역할을 해왔다. 그녀는 모든 시골 지역의 주요 신으로 거의 대부분의 시골 마을이 마리암만 사원을 가지고 있을 정도다. 타밀어로 ‘마리Mari’는 ‘비’ 또는 ‘변화’를 의미하고 ‘암만Amman’은 ‘어머니’를 뜻한다. 그러므로 마리암만은 비를 가져와 번영을 제공함으로써 가뭄과 가난을 없애는 여신이 될 수 있다. 그녀는 또한 ‘무투 마리Muthu Maari’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데 ‘무투Muthu’는 진주를 ‘마리Maari’는 앞서 언급한 대로 ‘비’를 의미한다. 진주처럼 생긴 빗방울을 빗댄 것으로 보인다. 비에 대한 시적 은유로 ‘무투 마리암만’이 사용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