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2165)
보주 산맥을 의인화한 사냥의 신, 보세구스 보세구스(Vosegus)는 갈리아 신으로 프랑스 동부에 있는 보주 산맥(Vosges mountains)과 숲을 의인화한 신이었다. 로마 제국에서 보세구스는 사냥의 신으로 활과 방패를 가지고 개를 동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또한 겨드랑이에 새끼 돼지 한 마리를 끼고 있으며 견과류, 도토리, 솔방울 등과도 관련이 있었다. 보세구스 숭배 중심지는 보주 산맥의 최고봉인 도농 산 주변이었다. 도농 산 정상에는 보세구스에게 바쳐진 신전이 있었다. 훗날 로마 제국 지배하의 갈리아 종교에서 보세구스는 보주 산맥의 수호신이었고 그의 이름은 서부 독일과 동부 프랑스 등에 산재해 있는 다섯 개의 비문에 나타나 있다.
안눈의 영주 아라운은 어떻게 프윌과 절친이 되었을까? 켈트 신화에서 아라운(Arawn)은 에 등장하는 이세계인 안눈(또는 안누븐)의 영주였다. 자유자재로 변신할 수 있는 사냥꾼이자 마법사인 아라운은 디페드(또는 디버드)의 영주 프윌과의 관계를 통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아라운은 ‘고귀한’이라는 뜻의 히브리어 아론(Aron)의 웨일스어 형태일 것이다. 이름의 유사성을 고려할 때 아라운은 켈트 신 아루비아누스(Arubianus, ‘경작자’ 또는 ‘쟁기질한 밭의 신’이라는 뜻)의 웨일스어 형태일 수도 있다. 기독교 이후 웨일스 신화가 악마화되면서 아라운도 많은 부정적인 특징을 띠게 되었고 전통적인 지하세계나 이세계의 영주를 뛰어넘는 칭호를 얻게 되었다. 즉 기독교 이후 아라운은 천국을 거부당한 영혼들을 감시하고 영원히 사냥하는 지옥의 사냥개들을 거느린 지옥의 ..
멕시코 어촌에 아직도 흔적이 남아있는 낚시의 신, 오포치틀리 풍부한 신화와 신들의 판테온으로 유명한 아즈텍 문명은 다양한 종류의 남신들과 여신들을 숭배했다. 그 중에서도 오포치틀리(Opochtli)는 독특하고 흥미로운 신으로 알려졌다. 종종 낚시와 사냥 그리고 풍요의 신으로 언급되는 오포치틀리는 아즈텍의 종교적이고 문화적인 관습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주로 현대의 멕시코시티에 위치한 틀라텔롤코(콜럼버스 이전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숭배되었다. 오포치틀리에게 봉헌된 주요 신전은 ‘템플로 마요르’ 또는 ‘위대한 신전’으로 불렸다. 그 신전 단지는 다른 신들에게 다양한 사당을 제공했고 오포치틀리 사당은 신전 단지의 서쪽에 위치해 있었다. 오포치틀리는 온몸을 검게 칠한 벌거벗은 남자로 묘사되었고 그의 머리는 야생 조류의 깃털과 장미 모양의 화관으로 장식되어 있..
알렉산더 대왕이 전투를 앞두고 포보스 신전을 찾은 이유 포보스(Phobos, 로마의 파보르)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공포의 신이다. 그는 전쟁의 신 아레스(로마의 마르스)와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로마의 베누스)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 아레스가 전장을 누비며 살육을 자행할 때 쌍둥이 형제이자 두려움의 신인 데이모스(로마의 팔로르)와 함께 아버지를 수행했다. 포보스와 데이모스는 종종 아레스의 전차를 모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들은 보통 불화의 여신 에리스(로마의 디스코르디아, 전쟁의 여신 에니오(로마의 벨로나) 등과 합류하기도 한다. 그리스 고전 문학에서 포보스는 두려움의 의인화로 여겨졌고 신화에 등장하지는 않았다. 포보스와 그의 쌍둥이 형제 데이모스는 아프로디테의 아들이기 때문에 그들은 또한 상실의 두려움과도 관련이 있다. 포보스 숭배는 피비린내 나..
인간은 절대 이 허약하고 골골대는 노인(게라스)을 이길 수 없다 게라스(Geras)는 그리스 신화 속 노화(또는 노령)의 신이었다. 그는 어둠의 신 에레보스와 밤의 여신 닉스의 아들로 우정의 여신 필로테스와는 남매지간이었다. 게라스는 룩투스(슬픔), 메투스(공포) 등 다른 하급 신들과 함께 어울리며 지하세계에 집을 짓고 살았다. 고대 그리스의 극작가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s, BC 446년~BC 386년)는 게라스가 다른 신들과 함께 올림포스 산에 살았다고 주장했다. 로마인들에게 게라스는 세넥투스(Senectus)로 알려져 있었다. 그리스인들과 마찬가지로 로마인들에게도 게라스의 위축되고 허약한 몸은 노령뿐만 아니라 노화와 죽음에 대한 인간의 두려움을 상징했다. 로마인들은 또 게라스를 지팡이에 의지한 연약한 노인으로 묘사했다. 스핑크스의 그 유명한 수수께끼..
시간의 신 '크로노스'와 '카이로스', 어떤 차이가 있을까? 그리스 신화에서 카이로스(Caerus)는 시간, 기회, 유리한 순간, 행운 등을 의인화한 개념이자 그것들을 관장하는 신이다. 그는 적절한 순간에 일이 일어나도록 통제하며 적절한 순간 즉 기회를 상징한다. 카이로스는 또 가장 적절한 시간과 장소에서 가장 편리하고 적당한 기회를 창조하는 신으로 묘사되었다. 그는 적절한 상황을 상징하지만 그 상황은 때로 위험하거나 위기의 순간일 수도 있고 심지어 기회일 수도 있다. 카이로스는 주관적인 시간의 신이기 때문이다. 헬레니즘 시대 카이로스는 ‘시간’ 때로는 ‘계절’을 의미했다. 카이로스는 제우스의 신성한 아들들 중 막내였으며 로마 판테온의 템포스(Tempus) 또는 오카시오(Occasio)와 동일시되었다. 카이로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티케로 알려진 로마의 운명과 행운의..
핀란드 가정의 도덕적인 힘, 할티야 할티야(Haltija)는 핀란드와 발트(특히 에스토니아) 판테온의 가정의 신으로 가정을 지키고 가족 구성원들이 해를 입지 않도록 보호해 준다고 한다. ‘할티야(Haltija)’라는 말은 게르만어의 ‘할디아즈(Haldiaz)’에서 파생되었으며 원래는 특정 지역의 통치자나 주인을 가리키는 고트족(1세기경 바이크셀강 하류에 정주했던 동게르만계 부족)의 ‘할단(Haldan)’에서 유래했다. 핀란드에서 할티야는 보통 그 위에 불을 지피고 집을 지음으로써 그 장소에 대한 권리를 주장한 첫 번째 정령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그곳에서 사망한 첫 번째 정령일 수도 있다. 할티야는 성별, 나이, 복장, 버릇 등 모든 면에서 인간과 닮았다고 인식되었다. 한 사람이 한 번 땅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면 그는 항상 그 ..
독일 민담의 장난꾸러기 요정, 코프고드 코프고드(Cofgod, ’작은 방의 신’이라는 뜻)는 독일 민담에 나오는 장난꾸러기 요정 코볼트와 관련된 앵글로-색슨의 가정의 신으로 고대 로마의 가정의 수호신 페나테스와 유사한 요정이다. 많은 학자들은 영국의 호브와 스코틀랜드의 브라우니는 살아남은 코프고드의 현대적 개념이라는 데 동의하고 있다. 코프고드는 집안의 수호 정령으로 그 집안에서만 산다. 코프고드는 집 안에서만 숭배할 뿐 독립적인 신전은 없었다. 매 끼니 때마다 음식을 코프고드에게 제물로 바치는 관습이 생겼다. 영어로 호브(Hob)는 로브(Rob)의 친숙한 부차적인 형식이다. 이것은 로빈(Robin)과 로버트(Robert)의 뿌리이다. 옥스포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호브고블린(Hobgoblin)은 ‘장난스런 임프(Imp) 또는 스프라이트(Sp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