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득공(1748~1807) <발해고>/1784

 

기존에 6352km라던 중국의 만리장성이 2009년에는 8851km로 늘어나더니 최근에는 21196km 2009년 발표보다도 2배 이상 늘어났다. 중국이 이처럼 고무줄 늘리듯 만리장성의 길이를 부풀리는 것은 누가 봐도 다민족 국가인 중국의 정치적 의도로 현재 중국 국경 안에서 전개된 모든 역사를 중국의 역사로 만들기 위한 중국의 국가적 연구사업인 동북공정의 일환임이 분명하다. ‘고무줄 만리장성의 변천과정을 보면 중국의 이러한 속셈은 분명하게 드러난다.

 

기존에 중국이 홍보해왔던 만리장성의 길이는 중국내 자위관에서 산하이관으로 말 그대로 만리에 불과했으나 2009년에는 만리장성의 동쪽 끝을 단둥의 후장산성이라고 늘려 발표했다. 후장산성은 당 태종의 공격에도 함락되지 않았던 고구려의 박작성으로 알려진 곳이다. 이 발표로 박작성의 서쪽에 위치한 고구려의 안시성과 요동성까지 만리장성의 일부로 편입시켜버린 것이다. 게다가 올해 새로 발표한 만리장성은 서쪽으로는 신장위구르 자치구의 하미에서 동쪽으로는 헤이룽장성 무단장까지를 포함함으로써 현재 독립운동이 한창인 티베트는 물론이고 고구려와 발해까지 중국역사에 편입시키려는 의도를 분명히 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역사왜곡은 고구려와 발해의 중국사 편입에 그치지 않고 있다. 우리의 대표 무형문화인 아리랑마저 중국문화유산에 지정하기도 했다.

 

발해를 한국사에 편입시킨 최초의 역사서

 

일본의 독도 침탈에 중국의 고구려와 발해사 왜곡까지 바야흐로 주변 강대국의 영토와 역사에 대한 침략행위는 태풍처럼 휘몰아치고 있으나 우리의 대응은 약소국의 그것 수준에 머물러 있을 뿐이다. 남북분단으로 중국의 역사 왜곡에 공동 대응할 여력이 없고 일본의 독도 침탈에는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감정적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영토와 역사를 둘러싼 국가간 분쟁은 비단 당사국만의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국제사회에서 우리의 주장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감정적 대응이 아닌 국제사회를 설득시킬 합리적이고 실증적인 연구와 자료가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발해고>의 저자 혜보(유득공의 字)가 밝힌 저술 동기는 의미심장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끝내 발해사를 쓰지 않아서 토문강 북쪽과 압록강 서쪽이 누구의 땅인지 알지 못하게 되어, 여진족을 꾸짖으려 해도 할 말이 없고, 거란족을 꾸짖으려 해도 할 말이 없게 되었다. 고려가 마침내 약한 나라가 된 것은 발해 땅을 얻지 못하였기 때문이니 크게 한탄할 일이다. -<발해고> ‘유득공의 서문중에서-

 

유득공은 고려가 거란족과 여진족의 침략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결국 패망의 길을 걷게 된 이유로 역사의식의 부재를 꼽았다. 중국과 일본의 역사왜곡이 끊이지 않는 상황에서 합리적인 대응은커녕 교육과정에서 국사를 선택과목으로 전락시켜버린 우리사회의 역사인식에 대한 일침이기도 하다. 심지어 청산되어야 할, 청산했어야만 할 잘못된 역사의 주역들이 버젓이 백주대로에 활보하고 있는 현실은 주변국의 역사왜곡에 대한 대응을 무색하게 만든다.

 

유득공의 <발해고>는 발해를 한국사에 편입시킨 최초의 역사서로 평가받는다. 물론 유득공 이전에도 발해에 관한 기록은 있었으나 대부분 단편적인 언급에 불과했다. 유득공은 <삼국사기>, <고려사> 등 국내 역사서뿐만 아니라 <구당서>, <신당서> 등 중국 서적, <속일본기>, <일본일사> 등 일본 역사서 등 총 22종의 국내외 역사서를 인용해 <발해고>를 저술했다. 유득공의 <발해고>가 발해를 한국사에 편입시킨 본격적인 역사서라는 것은 총 9개의 단원으로 된 책의 구성만 봐도 쉽게 알 수 있다.

 

군고(君考, 왕에 관한 고찰), 신고(臣考, 신하에 관한 고찰), 지리고(地理考, 지리에 관한 고찰), 직관고(職官考, 관청 및 관직에 관한 고찰), 의장고(儀章考, 의식 및 복장에 관한 고찰), 물산고(物産考, 물산에 관한 고찰), 국어고(國語考, 국어에 관한 고찰), 국서고(國書考, 국서에 관한 고찰), 속국고(屬國考, 후예국가에 관한 고찰)

 

남북국 시대의 실종과 복원

 

유득공의 <발해고>는 발해를 한국사에 편입시킴으로써 기존에 삼국시대(고구려, 백제, 신라)에서 통일신라, 고려, 조선으로 이어졌던 역사 서술을 삼국시대, 남북국 시대(발해, 통일신라), 고려, 조선으로 바꿔놓는 계기를 마련해 주기도 했다.

 

이것이 삼국으로 마땅히 삼국사가 있어야 했는데 고려가 이를 편찬하였으니 옳은 일이다. 부여씨가 망하고 고씨가 망하자 김씨가 그 남쪽을 영유하였고, 대씨가 그 북쪽을 영유하여 발해라 하였다. 이것이 남북국이라 부르는 것으로 마땅히 남북국사가 있어야 했음에도 고려가 이를 편찬하지 않은 것은 잘못된 일이다. -<발해고> ‘유득공의 서문중에서-

 

그러나 발해를 포함한 한국사 서술인 남북국 시대는 <발해고>가 쓰여진 1784년 이후 자취를 감췄다가 20세기 후반에서야 복원되었으니 우리 역사인식의 천박함을 반성해 볼 대목이다. 특히 일제 강점기 시절 일본 제국주의가 한국사를 한반도에 국한시키려는 식민사관을 해방 후 수십 년이 지나도록 그대로 가르치고 있었으니 친일 청산이 여전히 현재진행형임을 반증해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게다가 유득공이 사학자가 아니라 조선을 대표하는 문인이었다는 점은 또 한번 우리를 부끄럽게 한다. 물론 유득공이 문인이었고 또 다양한 국내외 서적들을 접할 기회가 많았기에 <발해고>가 빛을 볼 수 있었음을 추측해 볼 수도 있다.

 

유득공이 사학자가 아니었기에 <발해고>에는 몇 가지 한계가 보이기도 한다. 유득공은 <발해고> 서문에서 발해를 건국한 대씨를 고구려 사람으로 정의하고 그가 소유한 땅은 마땅히 고구려 땅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본문에서는 대조영의 아버지 걸걸중상(乞乞仲象)을 속말말갈인으로 규정하고 있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또 고려가 남북국사를 편찬하지 않은 것을 비판한 서문과 달리 본문에서는 발해의 역사 및 풍습만을 기록함으로써 남북국 시대의 의미를 제대로 살리지 못했다. 한편 조선시대 지식인들이 중화사상에 젖어있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유득공의 <발해고> 저술이 가능했던 것도 당시 조선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중국이 여진족의 청나라였기 때문에 가능했을 수도 있다. 이런 문인으로서의 한계는 발해 멸망 시기를 926년이 아니라고 주장한 데서도 알 수 있다. 중국의 역사서를 지나치게 인용한 데서 발생한 오류로 보인다.

 

이런 몇 가지 오류와 한계에도 불구하고 <발해고>가 한국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결코 무시되어서도 폄하되어서도 안될 것이다. 한편 <발해사>가 아닌 <발해고>로 이름을 붙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역사서로 완성하지 못하여 정식 역사서로 자처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유득공의 겸손함도 엿보인다.

 

마지막으로 유득공의 오랜 벗인 성해응의 <발해고> 서문도 되새겨볼 대목이라 소개하고자 한다.중국과 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해서도 국민감정만을 부추길게 아니라 정확한 역사적 고증을 통한 국제사회 호소와 사라져가는 국사교육의 복원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공께서 정력을 쏟아 고증하고 연구하여 이 책을 지은 것은 본디 신기한 것을 좋아하는 성정에서 비롯된 것이지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자 한 것은 아니었다. 그렇지만 사람들이 자세히 검토하여 국가를 세워 운영해갔던 뜻을 이해하게 된다면 이 세상을 다스리는 정책에 도움이 되는 것이 적지 않을 터인데 이를 알아주는 사람이 극히 적어 함부로 버려지게 되니 실로 애석한 일이다. -<발해고> ‘성해응의 서문중에서-

 

반응형
Posted by 여강여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