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작년 7월3일 우여곡절 끝에 2011년도 최저임금이 결정된 상황을 보면서 웃음이 나오지 않을 수 없었다. 노동계가 요구한 최저임금에 턱없이 모자란 시급 4,320원으로 결정된 것이다. 2010년도 시급 4,110원보다 200원이 오른 것이다. 200원, 일당으로 따지면 2,000원이 채 안되는 돈이다. 정확히 말하면 일당 1,600원, 이 돈으로 할 수 있는 게 뭐가 있을지 생각해 본다. 한 끼 식사는 물론이거니와 요즘은 아이들이 즐겨찾는 아이스크림도 어중간한 것은 1,000원이 넘어간다. 현실을 모르는건지, 외면하는건지 자본과 권력의 횡포는 조금 세련되어 졌을 뿐 20세기와 다를 게 없다.
이나마도 적용받지 못하고 있는 노동자가 수백만에 이른다니 그들이 주구장창 자랑하는 성장의 단맛은 도대체 누가 맛보고 있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그렇다고 작업환경이 좀 많이 개선됐나, 그것도 아니다. 여전히 자본과 권력과 또 하나 언론의 외면 속에 수많은 노동자들이 소리소문없이 죽어나가고 있다. 억울한 하소연마저도 할 수 없는 시대다. 말이 소통이지 자본, 권력, 언론 어느 누구도 막장으로 치닫는 노동자, 서민의 목소리에 귀기울이지 않는다. 그들끼리의 소통, 그들만의 리그를 즐기고 있는 것이다.
특히 야간에 일하는 노동자들에게 최저임금과 근로기준법은 먼나라 얘기일 뿐이다. 오죽했으면 여기까지 떠밀려 왔겠는가! 야간노동현장은 다양한 군상들의 집합소다. 그러나 불안정한 최저임금과 각종 사고위험에 맨몸으로 노출되어 있는 곳이 그곳이다. 대부분 일용직이다보니 변변한 노동조합도 없다. 매서운 겨울바람을 온몸으로 부딪쳐야 하고 열대야의 공격에 정신이 혼미하지만 찬물 한번 끼얹고 버텨야 하는 곳이 바로 야간노동현장이다. 그렇게 일해서 받은 최저임금(?)으로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이 시대 가장들이 수천, 수만이다.
내가 일하는 곳은 다른 야간노동현장에 비해 그나마 나은 편이다. 겨울이면 잠시라도 언 손을 녹일 수 있고 여름에는 막간을 이용해 땀이라도 식힐 수 있는 곳이 있으니 말이다. 그 뿐이다.
언제부턴가 휴게실에 일회용 커피가 박스채로 놓여져 있었다. 건강에 결코 좋을 리 없는 커피지만 밤새 졸음을 참아가며 일해야 하는 야간 노동자들에겐 그나마도 꿀맛이다. 오래 전부터 요구했던 일이라 회사측의 배려겠거니 생각했다. 아무리 복지 무풍지대라지만 이 정도는 회사측에서 해줘야 한다고 생각했으니까....종이컵을 들고는 커피믹스 하나를 꺼내는 순간 이내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딱딱하게 굳어있는 게 하도 이상해서 봤더니 유통기한이 한참 지났더라. 2010년 7월20일. 실망하기에 앞서 무너져내리는 자존심에 할 말을 잃고 말았다.
사실은 이랬다.
내가 근무하는 물류센타는 밤새워 일하는 현장 노동자와 새벽에 각 거래처에 배송될 제품들을 실으러 오는 배송기사를 합쳐 30~40명이 일하고 있다. 오래 전부터 회사측에 밤새워 일하는 곳인데 다른 건 몰라도 커피라도 제공해 달라고 요구해 왔었다. 그러나 묵묵부답, 수익구조가 어쩌니 저쩌니 하는 말만 되풀이해오고 있다. 그깟 커피 때문에 회사가 망하는 것도 아닌데...답답했는지 배송기사 중 한 명이 거래처에서 반품하는 커피를 가져온 것이다. 유통기한이 제품이 변질되는 기간도 아닌데 이거라도 있어야하지 않겠냐 싶었던 모양이다.
너댓명 근무하는 회사 사무실에는 식당 카운터 옆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임대형 커피자판기가 떡! 하니 버티고 있다. 거기서 뽑아 마시면 되지 않냐고? 아파트 3층 높이의 사무실을 오르락내리락 하는 게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내려달라고 요구도 해봤지만....말이 없다. 야간노동자들의 열악한 노동환경을 말하자면 끝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은 여기까지만,
요즘 국회의원들이 운영하는 블로그가 꽤 많은 것 같더라. 진정 소통하기 위한 공간인지 아니면 대세에 밀려 형식적으로 만들어 놓았는지 별로 신뢰는 가지 않는다. 국회의원 나리들, 당신 지역구에 있는 야간노동현장을 한 번 방문해 보시오. 아마 당신들이 상상하지 못했던 또 다른 세상이 펼쳐질 것이다. 사진이나 찍을 양으로 기자들 대동하지 말고 암행이라도 해 보시오. 당신들보다 더 신뢰하지 못하는 부류가 그들이니...
야간노동자에게는 유통기한 지난 커피도 달고 맛있다. 아니 달아야 하고 맛있어야 한다. 먹어야 버티니까...
이나마도 적용받지 못하고 있는 노동자가 수백만에 이른다니 그들이 주구장창 자랑하는 성장의 단맛은 도대체 누가 맛보고 있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그렇다고 작업환경이 좀 많이 개선됐나, 그것도 아니다. 여전히 자본과 권력과 또 하나 언론의 외면 속에 수많은 노동자들이 소리소문없이 죽어나가고 있다. 억울한 하소연마저도 할 수 없는 시대다. 말이 소통이지 자본, 권력, 언론 어느 누구도 막장으로 치닫는 노동자, 서민의 목소리에 귀기울이지 않는다. 그들끼리의 소통, 그들만의 리그를 즐기고 있는 것이다.
특히 야간에 일하는 노동자들에게 최저임금과 근로기준법은 먼나라 얘기일 뿐이다. 오죽했으면 여기까지 떠밀려 왔겠는가! 야간노동현장은 다양한 군상들의 집합소다. 그러나 불안정한 최저임금과 각종 사고위험에 맨몸으로 노출되어 있는 곳이 그곳이다. 대부분 일용직이다보니 변변한 노동조합도 없다. 매서운 겨울바람을 온몸으로 부딪쳐야 하고 열대야의 공격에 정신이 혼미하지만 찬물 한번 끼얹고 버텨야 하는 곳이 바로 야간노동현장이다. 그렇게 일해서 받은 최저임금(?)으로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이 시대 가장들이 수천, 수만이다.
내가 일하는 곳은 다른 야간노동현장에 비해 그나마 나은 편이다. 겨울이면 잠시라도 언 손을 녹일 수 있고 여름에는 막간을 이용해 땀이라도 식힐 수 있는 곳이 있으니 말이다. 그 뿐이다.
언제부턴가 휴게실에 일회용 커피가 박스채로 놓여져 있었다. 건강에 결코 좋을 리 없는 커피지만 밤새 졸음을 참아가며 일해야 하는 야간 노동자들에겐 그나마도 꿀맛이다. 오래 전부터 요구했던 일이라 회사측의 배려겠거니 생각했다. 아무리 복지 무풍지대라지만 이 정도는 회사측에서 해줘야 한다고 생각했으니까....종이컵을 들고는 커피믹스 하나를 꺼내는 순간 이내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딱딱하게 굳어있는 게 하도 이상해서 봤더니 유통기한이 한참 지났더라. 2010년 7월20일. 실망하기에 앞서 무너져내리는 자존심에 할 말을 잃고 말았다.
사실은 이랬다.
내가 근무하는 물류센타는 밤새워 일하는 현장 노동자와 새벽에 각 거래처에 배송될 제품들을 실으러 오는 배송기사를 합쳐 30~40명이 일하고 있다. 오래 전부터 회사측에 밤새워 일하는 곳인데 다른 건 몰라도 커피라도 제공해 달라고 요구해 왔었다. 그러나 묵묵부답, 수익구조가 어쩌니 저쩌니 하는 말만 되풀이해오고 있다. 그깟 커피 때문에 회사가 망하는 것도 아닌데...답답했는지 배송기사 중 한 명이 거래처에서 반품하는 커피를 가져온 것이다. 유통기한이 제품이 변질되는 기간도 아닌데 이거라도 있어야하지 않겠냐 싶었던 모양이다.
너댓명 근무하는 회사 사무실에는 식당 카운터 옆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임대형 커피자판기가 떡! 하니 버티고 있다. 거기서 뽑아 마시면 되지 않냐고? 아파트 3층 높이의 사무실을 오르락내리락 하는 게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내려달라고 요구도 해봤지만....말이 없다. 야간노동자들의 열악한 노동환경을 말하자면 끝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은 여기까지만,
요즘 국회의원들이 운영하는 블로그가 꽤 많은 것 같더라. 진정 소통하기 위한 공간인지 아니면 대세에 밀려 형식적으로 만들어 놓았는지 별로 신뢰는 가지 않는다. 국회의원 나리들, 당신 지역구에 있는 야간노동현장을 한 번 방문해 보시오. 아마 당신들이 상상하지 못했던 또 다른 세상이 펼쳐질 것이다. 사진이나 찍을 양으로 기자들 대동하지 말고 암행이라도 해 보시오. 당신들보다 더 신뢰하지 못하는 부류가 그들이니...
야간노동자에게는 유통기한 지난 커피도 달고 맛있다. 아니 달아야 하고 맛있어야 한다. 먹어야 버티니까...
반응형
'따따부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의 우리말은 누리사랑방 (27) | 2011.05.31 |
---|---|
스승의 날, 골리앗과 싸우는 다윗들을 응원해 주세요 (21) | 2011.05.15 |
색색이 카네이션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하세요 (14) | 2011.05.04 |
미다스의 손보다 이아손의 모노산달로스 (42) | 2011.03.09 |
권력에 기생하려는 언론의 체벌금지와 교권추락 기사를 보고... (35) | 2010.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