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화와 전설

(1293)
자신을 제물로 바친 루크미니의 사랑 부의 여신 락슈미 여신의 한 형태 즉 락슈미의 여신 아바타로 알려진 루크미니(Rukmini)는 크리슈나(비슈누의 화신)의 아내였다. 그녀는 아름다움, 사랑, 정직함의 여신이었다. 루크미니는 드와리카(인도 구자라트주의첫 번째 수도)의 통치자 크리슈나의 첫 번째이자 저명한 왕비였다. 힌두 전설에서 그녀는 크리슈나의 가장 중요한 아내로 알려져 있다. 에 따르면 크리슈나는 용감하게 그녀를 납치해서 원치 않는 사악한 시슈팔(체디 왕국의 왕이자 마하바라타의 적대자)과의 결혼에서 그녀를 구했다. 이후 크리슈나는 루크미니와 결혼했다. 루크미니 공주는 바이샤카(그레고리력의 4/5월에 해당하는 힌두력의 달)의 열 한 번째 날에 태어났다. 여러 아바타들 중 하나로서 락슈미는 비스마카 가문의 루크미니로 태어났다. 락슈미가 비..
판도라의 상자에 유일하게 남은 엘피스의 정체는 그리스 신화에서 엘피스(Elpis)는 희망과 기대를 의인화한 하급 여신(?)이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인들은 희망을 신으로 보지 않고 오히려 고통의 연장으로 인식했다. 희망의 하급 여신 엘피스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와 역사 중 극히 일부에만 등장한다. 밤의 여신 닉스의 아버지 없는 딸로 알려진 엘피스는 일반적으로 꽃이나 풍요의 뿔 코르누코피아를 안고 있는 젊은 여성으로 묘사된다. 엘피스를 다룬 가장 유명한 이야기는 판도라 상자에 관한 신화일 것이다. 판도라 상자 신화에서 엘피스는 이야기의 교훈을 제공하는데 사용되었다. 헤시오도스의 에서 그리스의 가장 강력한 신 제우스는 엘피스와 다른 악령들을 항아리(일명 판도라의 상자)에 가두어 이 항아리를 최초의 여성 판도라에게 주기로 결정했다. 제우스는 판도라를 에피메..
수면 장애가 키지무나의 장난? 모든 문화와 문명에는 신비하고 마법적이거나 초자연적인 생물에 관한 신화와 민간전설이 있다. 아마도 이 초자연적인 생물 이야기는 알려지지 않은 현상을 설명하거나 기억하기 쉬운 방식으로 삶의 조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모든 문화에는 고유한 설화가 있으며 서양 문화에서 이러한 생물로는 뱀파이어, 고스트, 레프러콘(아일랜드 민속에 등장하는 남성 요정) 등이 있다. 일본에서는 신화적 창조물이 좋든 나쁘든 상관없이 요카이(妖怪, Yokai, 요괴)로 알려진 하나의 용어로 분류된다. 키지무나(木の精, Kijimuna, 나무의 정령) 역시 본질적으로 요카이이지만 전통적인 의미에서는 그렇지 않다. 키지무나 민속의 발상지는 오키나와 키조카이다. 오키나와는 1879년에 오키나와현으로..
폴레모스가 후브리스와 결혼하면 생기는 일 그리스 신화에서 폴레모스(Polemos. ‘전쟁’이라는 뜻)는 전쟁을 의인화한 또는 구체화한 악마였다. 그와 관련된 어떤 숭배 관습이나 신화도 없으며 추상적인 표현으로서 그는 주로 우화와 철학적 담론에 등장한다. 고대 로마인들은 폴레모스를 벨룸(Bellum)이라고 불렀다. 고대 그리스의 시인 핀다로스(Pindar. 기원전 518년~기원전 438년)는 폴레모스가 (전쟁 중에 공격이나 돌격 때 지르는) 함성의 여신 알랄라(Alala)의 아버지라고 말했다. 기원후 4세기경에 활동한 그리스 시인 퀸토스 스미르나이오스(Quintus Smyrnaeus)에 따르면 폴레모스는 전쟁의 여신 에니오(Enyo)의 형제였다. 전쟁과 전장을 의인화한 또 다른 그리스 신으로는 아레스(Ares), 에리스(Eris), 마카이(Mak..
알페이오스강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들 그리스 신화에서 알페이오스(Alpheios. 또는 Alpheus)는 강의 신이었다. 그리스 펠로폰네소스의 중심에 위치한 타이게투스산에서 발원하여 올림피아 부근까지 흐르는 강의 이름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강의 신과 마찬가지로 알페이오스도 티탄족 대양의 신 오케아노스와 그의 누이인 테티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었다. 그는 파리스의 딸 텔레고네와 결합해 오르실로코스 왕을 낳았다. 오르실로코스를 통해 알페이오스는 디오클레스의 할아버지이자 트로이 전쟁 중에 아이네이아스에 의해 살해된 두 군인 크레톤과 오르실로코스의 증조부가 되었다. 강의 신 알페이오스는 또 포세이돈과 결합해 에이레네를 낳은 멜란테이아의 아버지이기도 했다. 후기 기록에 따르면 알페이오스는 제우스와 결합해 엔디미온을 낳았을 수도 있는 포에니사의 아버..
아르고스의 왕 펠라스고스가 겔라노르로 불린 이유 그리스 신화에서 아르고스의 왕 겔라노르(Gelanor)는 아르고스의 시조인 강의 신 이나코스의 후손으로 스테넬라스의 아들이자 후계자였다. 영국의 시인이자 평론가인 로버트 그레이브스(Robert von Ranke Graves, 1895년~1985년)가 ‘겔라노르’라는 이름을 ‘웃음’을 의미하는 문학적 장치라고 주장했듯이 그의 실제 이름은 펠라스고스(Pelasgus)였다. 다나오스가 아르고스에 대한 왕권을 주장할 때 이를 비웃었기 때문에 ‘웃는 자’라는 뜻으로 그렇게 불렸다고 한다. 끝내 겔라노르는 자진해서 다나오스에게 권력을 넘겨 주었다. 그렇다면 겔라노르는 왜 이렇게 쉽게 아르고스의 왕권을 넘겨 주었을까? 다나오스는 이집트의 전설적인 왕 벨로스와 안키노에 사이에 태어난 아들이었다. 그에게는 아이깁토스라는..
아타톨리아 고원을 호령했던 말의 신, 피르와 피르와(Pirwa)는 고대 아나톨리아 지방에 존재했던 히타이트어와 루비어(히타이트 제국 문헌에 히타이트어와 함께 남아있는 언어)를 사용했던 사람들이 숭배한 신이었다. 피르와는 말[馬]과 관련이 있었다. 말의 신 피르와는 전쟁의 신이기도 했다. 피르와는 그의 사제가 언급된 카네시(또는 퀼테페. 중앙 아나톨리아에 있는 고대도시)에서 발견된 문헌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피르와 숭배는 이후 자료에서 카네시 뿐만 아니라 하투사(히타이트 제국의 수도)를 포함한 여러 다른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이후 그에 대한 언급이 아르벨라에서 숭배된 신들을 나열한 신 아시리아 제국(BC 911~BC 609. 역사상 최초의 세계 제국) 문헌에 나타나지만 이는 필사상의 실수일 수 있다. 피르와(Pirwa)의 변형된 이름인 페르와(Per..
하티의 버금 여신, 메줄라 메줄라(Mezulla)는 히타이트의 버금 여신이었다. 메줄라와 그녀의 딸 진투히는 아린나의 태양 여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 이 세 여신은 삼주신을 형성했다. 메줄라는 지역적으로만 중요했으며 히타이트 조약 문서의 선서 목록에는 언급되지 않았다. 메줄라는 아린나의 태양 여신과 날씨의 신 타르훈나의 딸이었다. 그녀의 딸 진투히는 특별한 역할이 알려지지 않았다. 기원전 13세기부터 옥수수 신 텔레피누, 지팔란다(고대 히타이트 왕국의 행정 중심 도시)의 날씨의 신, 네릭(고대 히타이트의 수도 하투사와 사피누와의 북쪽에 있던 청동기 시대 정착지)의 날씨의 신 등이 그녀의 형제로 알려졌다. 그녀의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메줄라도 하티에서 기원했으며 타피누(Tappinu. 히타이트어로 ‘그녀의 딸’이라는 뜻)로도 알려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