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화와 전설/히타이트

아타톨리아 고원을 호령했던 말의 신, 피르와

반응형

피르와(Pirwa)는 고대 아나톨리아 지방에 존재했던 히타이트어와 루비어(히타이트 제국 문헌에 히타이트어와 함께 남아있는 언어)를 사용했던 사람들이 숭배한 신이었다. 피르와는 말[馬]과 관련이 있었다. 말의 신 피르와는 전쟁의 신이기도 했다. 피르와는 그의 사제가 언급된 카네시(또는 퀼테페. 중앙 아나톨리아에 있는 고대도시)에서 발견된 문헌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피르와 숭배는 이후 자료에서 카네시 뿐만 아니라 하투사(히타이트 제국의 수도)를 포함한 여러 다른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이후 그에 대한 언급이 아르벨라에서 숭배된 신들을 나열한 신 아시리아 제국(BC 911~BC 609. 역사상 최초의 세계 제국) 문헌에 나타나지만 이는 필사상의 실수일 수 있다.

 

피르와는 히타이트 만신전의 말의 신이었다. 자료>구글 검색

 

피르와(Pirwa)의 변형된 이름인 페르와(Perwa)와 페루와(Peruwa)는 카네시 문헌에 사용된 오래된 철자이다. 이 이름은 ‘중앙 아나톨리아 기반’이라고 부르는 언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일부 학자는 이 이름이 ‘돌’ 또는 ‘돌 사이에서 곡식을 꺼내다’라는 뜻의 ‘페루나Peruna)’, ‘산’을 의미하는 고대 인도어인 ‘파르와타(Parwata)’와 같은 아나톨리아 언어에 존재하는 많은 단어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런 어원이 피르와의 성격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한다. 하지만 이런 어원을 바탕으로 일부 학자는 피르와를 산의 신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처음에는 피르와가 남성 신이었는지 아니면 남성과 여성 형태를 모두 가진 신이었는지 불확실한 것으로 간주되었지만 현대 학자들은 남성 신으로 인식하고 있다.

 

피르와는 말의 신으로 여겨졌는데 그를 말과 연결하는 문헌과 도상학을 통해 알려지게 되었다. 피르와는 말 위에 서 있는 남성으로 묘사되었다. 그와 관련된 다른 동물로는 독수리와 사자가 있다. 피르와는 또 무시무시한 전사의 신으로 묘사되었다. 그는 ‘추격’, ‘사냥’, ‘질주’를 뜻하는 파르한트(Parhant)라는 별칭을 갖고 있었는데 이는 말과의 연관성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제물 목록에서 피르와는 산의 신 아스카세파, 강의 여신말리야, 가정의 신 하사밀리, 치유의 여신 캄루세파 등과 함께 등장하지만 이 신들의 목록은 후기에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들 모두가 히타이트 종교 역사의 초기부터 숭배된 것은 아니었다. 히타이트 치유 의식에서 피르와는 말리야가 그에게 전달한 정보를 캄루세파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키지마라에서 피르와는 하쉬슈샤라 신과 같이 숭배되었다. 그들은 또한 히타이트와 루비아 기원 신화에도 함께 등장하는데 하쉬슈샤라는 피르와의 파르헤드라(배우자)였다. 포도밭의 풍작을 기원하기 위한 루비아의 날씨의 신 타르훈트에 초점을 맞춘 의식에서 피르와는 아스카세파와 짝을 이룬다. 그들은 또한 루비아 북서쪽 도시인 이시타누와에서 함께 숭배되었다. 피르와와 아스카세파는 자연의 여신 카타하와 함께 이시타누와의 삼주신으로 숭배되었다. 일부 문헌에서 카타하 여신은 피르와의 배우자였다. 어떤 경우에 피르와는 하쉬슈샤라 및 아스카세파와 함께 의식에 등장한다.

 

피르와는 원래 카네시에서 숭배되었으며 이 도시의 주요 신이었다. 시간이 흘러 피르와는 히타이트와 루비 사람들의 숭배를 받았다. 그는 다른 신들과 달리 여전히 카네시와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초기 히타이트 문헌에는 피르와최초의 히타이트 문헌에는 피르와를 언급하는 많은 신의 이름들이 등장하지만 그 빈도는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감소했다. 같은 시기의 의식 문헌에는 그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그에 대한 숭배의 지리적 범위는 히타이트 제국 부흥 이전이었지만 당시에는 하투사를 비롯해 더 넓은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피르와에게 봉헌된 신전은 시파와 위자나완타에 있었다.

 

아슈르바니팔(Ashurbanipal. BC 685`BC 631. 아시리아의 왕) 통치 기간 신 아시리아 타쿨투 문서에 기록된 아르벨라의 이슈타르 신전에서 숭배된 신들 중 하나인 비루아가 바로 피르와였을 것이다. 아마도 말 무역을 통해 어느 순간 소개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비루아는 기록자의 실수일 뿐이며 그 신이 세루아일 가능성도 있다. 이런 불확실성은 신들의 열거에 나타난 비루아의 비정상적인 높은 지위에서 비롯되었다.<자료: Wikipedi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