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신화와 전설

(1295)
무지(無知) 논쟁과 운명의 여신 마나트 아랍어에 자힐리야(Jahiliya)란 말이 있다. 사전적 의미는 ‘무지(無知)’에 불과하지만 아라비아 또는 이슬람 역사에서 자힐리야는 단순한 무지를 넘어선 특별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슬람에서는 AD 610년 이전을 자힐리야 시대라고 한다. 즉 무함마드(Muhammad, 570~632)가 알라(Allah) 신의 계시를 받고 이슬람교를 창시한 610년 이전을 ‘무지의 시대’로 규정한 것이다. 그렇다면 자힐리야는 어떤 역사적 배경에서 나오게 되었을까? 무함마드가 이슬람교를 창시하기 전 아라비아 반도에 살고 있던 대부분의 부족들은 저마다의 신을 섬기고 있었다. 다신교 사회였던 아라비아에도 신 중의 신은 있었다. 바로 알라(Allah)였다. 최고신으로써 알라에게는 세 딸이 있었는데 그들이 바로 웃자(Uzza..
법과 정의의 신, 포르세티 포르세티(Forseti)는 지위가 불분명한 기독교 이전 노르웨이의 신으로 고대 노르웨이 문학에 딱 두 번 언급되어있는 신이다. 참고로 고대 노르웨이어로 ‘포르세티’는 ‘의장’을 뜻한다. 첫 번째 언급은 에 등장하는 시 가운데 하나인 ‘그림니스말(Grimnismal)’의 15번째 스탠자(Stanza, 4행 이상의 각운이 있는 시구)로 포르세티는 금과 은으로 지어진 저택 글리트니르(Glitnir)에 살았다고 한다. 포르세티는 훌륭한 논쟁 조정자이자 법 제정자였다. ‘그림니스말’의 언급은 포르세티에 관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자료로 두 번째 언급은 아이슬란드의 시인이자 역사가인 스노리 스툴루손(Snorri Sturluson , 1179~1241)의 로 ‘그림니스말’의 언급을 각색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정확하..
소의 수호신, 게우스 우르반 게우스우르반(Geus Urvan)은 페르시아 신화에서 소의 신이자 소의 수호신으로 그의 역경은 조로아스터의 그것과 동일시되며 ‘소의 애통’을 의미하기도 한다. 조로아스터 찬양시에 게우스우르반은 인도-이란 족의 반신반우의 문양으로 그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문법학자에 따르면 게우스(Geus)의 어원인 ‘가우(Gau)’의 문법적 성은 여성인 반면 단어 자체는 ‘소’를 의미한다고 한다. 후기 팔라비 문학에서는 태고적 황소와 대응해서 여성성으로 등장한다. 조로아스터교의 경전인 ‘가우(Gau)’는 암소의 형상이며 인도 베다와 서사적 전통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조로아스터의 또 다른 경전인 에는 게우스우르반과 다양한 신들 사이의 대화가 등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학자들 사이에서는 아직 명확한 정의가 합의된 상황은 아니고 ..
도화선녀, 뱀이 숨어 살면서도 무해한 이유 중국 뤄양 남쪽 큰 산에 오래 된 복숭아 나무 한 그루가 자라고 있었다. 복숭아 나무는 오랜 세월 비바람을 견뎌내고 드디어 꽃을 피웠다. 이 꽃이 바로 복숭아 꽃의 여신, 봄의 여신, 2월의 여신인 도화선녀(桃花仙女)였다. 그런데 이 복숭아 나무에는 커다란 검은 뱀이 같이 살고 있었다. 도화선녀는 끊임없이 백성들을 괴롭히는 이 뱀을 처치하려고 했으나 역부족이었다. 어느 날 젊은 나무꾼이 이곳을 지나치다 도움을 요청하는 목소리를 들었다. 도화선녀는 나무꾼이자신의 도움 요청을 제대로 듣지 못하자 형체를 드러내고 백성들을 괴롭히고 자신에게 끊임없이 구애하는 뱀을 물리쳐 줄 것을 부탁했다. 그때서야 나무꾼은 뱀이 도화선녀에게 착 달라붙어 있는 것을 보고는 용감하게 뱀에게 덤벼들었고 놀란 뱀은 상처를 안고 산으로..
자바 섬을 지키는 바다의 여신, 니로로키둘 칸젱 라투 로로 키둘(Kanjeng Ratu Roro Kidul)이라고도 부르는 니 로로 키둘(Nyi Roro Kidul)은 인도네시아의 세계적인 관광지인 자바 섬 주민들이 오래 전부터 숭배해온 여신이다. 바다의 여신 니로로 키둘에 관한 설화는 어느 왕국의 왕비와 후궁들 간의 질투에서 시작되었다. 파자자란(Pajajaran) 왕국을 다스렸던 실리완기(Siliwangi) 왕에게는 한 명의 아름다운 왕비와 7명의 후궁이 있었다. 어느 날 왕비는 어여쁜 공주를 한 명 낳았는데 그 미모가 왕비를 능가했다. 실리완기 왕은 공주의 이름을 ‘예쁜 공주’이라는 의미의 라라 카디타(Lara Kadita)라고 지었다. 왕비와 카디타 공주의 아름다운 외모는 후궁들의 질투를 받았는데 왕의 사랑을 빼앗길까 두려웠기 때문이었다...
어린이들의 수호신, 장선을 아시나요 천구(天狗, Tiangou)를 향해 활을 겨누고 있는 모습으로 등장하는 장선(張仙, Zhang Xian)은 중국 신화에서 아이들을 보호하는 어린이들의 수호신으로 통한다. 장선은 일식이나 월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개와 유사한 형태의 전설적인 동물인 천구와 싸우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또 활과 화살을 지니고 다니면서 천구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해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래서 고대 문헌에 장선은 천구가 나타나기를 기다리며 하늘을 향해 활을 겨누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천구를 향해 활을 겨누고 있는 장선. 출처>구글 검색 어린이의 수호신 장선이 아이의 출산과 보호를 관장하는 신이지만 사실은 남자 아이만을 보호해 주는 신이었다. 장선은 또 무한대로 음식을 생산할 수 있는 손을 가지고 있었다. 일반적으..
달과 결혼의 여신, 마마 킬야 마마 킬야(Mama Kilya)는 잉카의 달의 여신이자 서열 3위의 신이다. 고대 잉카의 공용어인 케추아(Quechua)어로 ‘마마(Mama)’는 ‘어머니’를, ‘킬야(Kilya)’는 ‘달’을 뜻한다. 스페인어로는 ‘Mama Qulla’로 표기한다. 마마 킬야는 태양신 인티(Inti)의 누이이자, 아내이다. 또 비라코차(Viracocha)의 딸이자 만코 카팍(Manco Capac, 전설적인 잉카 제국 제1대 황제)과 그의 누이인 마마 오클로(Mama Ocllo)의 어머니이다. 마마 킬야는 결혼의 여신이면서 월경 주기를 관리하기도 하고 여성의 수호자이기도 했다. 마마 킬야는 잉카 달력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마마 킬야에 관한 신화 이야기들에 따르면 그녀는 은빛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또 잉카인들은..
알몸으로 악기를 연주하는 신, 이히 이히(Ihy)는 이집트 신화에서 음악의 신으로 버금 신에 해당한다. 관문서(Coffin Texts)나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 고대 이집트인들이 죽은 자들의 내세의 명복을 빌어 부장한 기도문)에 언급되어 있는 이히는 어린이, 음악, 기쁨 등을 상징한다. 즉 악기가 내는 기쁨에 찬 소리를 인격화한 신이라고 할 수 있다. 이히는 벌거벗은 상태에서 시스트럼(Sistrum, 고대 이집트의 제례용 악기로 달가닥달가닥 소리가 난다)를 들고 있는 어린이 모습으로 의인화되어 묘사된다. 비록 이히가 상 이집트의 버금 신에 불과하지만 계보를 따지자면 대단한 신의 집안의 자손임을 알 수 있다. 이히는 태양신 호루스(Horus), 풍요의 여신 이시스(Isis), 전쟁의 여신 세크메트(Sekhmet)멘트 또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