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화와 전설

(1294)
프로크루스테스와 다양성 사회의 시민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그리스 아티카 지방에는 언덕 위에 집을 짓고 살면서 강도질을 일삼는 도둑이 살고 있었다고 한다. 그 도둑의 집에는 철제 침대가 하나 있었는데 나그네가 그 집 앞을 지나가면 불러들여 침대에 눕힌 다음 나그네의 키가 침대 길이보다 길면 몸을 잘라서 죽이고 침대 길이보다 짧으면 몸을 늘려서 죽였다고 한다. 이 도둑이 바로 그 유명한 프로크루스테스(Procrustes)다.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란 말이 바로 여기서 유래됐는데 자기 생각에 맞추어 타인의 생각을 고치려 하고 타인에게 해를 끼치면서까지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을 때 이 말을 흔히 사용한다. 하지만 악명 높았던 도둑 프로크루스테스도 그리스 신화의 영웅 테세우스에게 그가 사람들에게 했던 똑같은 방법으로 생을 마감하게 된다. 테세우..
낭콱, 당신이 태국 여행할 때 봤을 수도... 태국의 많은 상점들의 카운터에는 손짓하는 인형이 세워져 있다. 그 인형의 이름은 낭콱(NangKwak)으로 태국 판테온에서 행운과 부를 상징하는 여신으로 알려졌다. 상인들게 오른손을 흔들어 손님들을 끌어들이는 낭콱은 더없이 매력적인 신이 아닐 수 없다. 보석으로 장식된 왕관, 팔찌와 태국 전통 의상에는 낭콱 여신이 왼손에 금 가방을 들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태국인들은 낭콱이 들고 있는 이 가방이 부를 가져다 줄 것으로 확신한다. 또 그들은 낭콱 여신이 빨간색을 좋아한다고 믿는다. 어떤 태국 사람들은 낭콱이 쌀의 여신 포솝(Phosop)을 상징한다고 생각한다. 또 부의 여신 낭콱이나 쌀의 여신 포솝 앞에는 어머니를 뜻하는 ‘매(Mae)’가 붙는다. 오랜 옛날부터 벼농사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쌀이 행..
황제는 어떻게 중국인들의 조상이 되었을까 모든 중국인들은 공통의 조상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바로 황제(黃帝, Huangdi)다. 황제는 먼 훗날 중국이 될 땅의 첫 번째 통치자였다. 그는 기원전 2697년 황하 평원의 부족들을 통합했다고 전해진다. 황제는 네 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어서 네 개의 방향으로 자신의 땅을 바라볼 수 있었으며 그가 움직일 때는 많은 동물들의 행렬이 뒤따랐다. 도교신자였던 황제는 많은 시간이 흐른 후 왕위를 내려놓고 영적 완벽을 추구했다. 결국 그는 신선이 되어 용을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고 한다. 역사와 신화가 혼재된 전설은 황제에 대한 많은 논란을 야기시켰다. 신화적으로 황제는 창조신이며 인간에게 필요한 모든 도구들을 만든 발명의 신이었다. 일부 현대 학자들은 그가 실제 인물인 것처럼 역사에 기록된 신화라고 주장한다...
태풍 이름이 왜 '바루나'일까 인도 신화에서 바루나(Varuna)는 하늘과 물은 물론 정의와 산스크리트어로 진리를 뜻하는 사티야(Satya)와 관련이 있다. 바루나는 자연적, 도덕적 법률을 수호하는 신이다. 그는 아디티야(Adityas)로 알려진 12명의 신들 중 하나다. 아디티야는 신들의 어머니인 아디티(Aditi)와 현자 카시야파(Kashyapa)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들을 말한다. 바루나는 물의 신이자 비의 신으로 세상의 체계와 물의 운행을 안전하게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고대 인도의 신화와 전설, 왕조사를 기록한 힌두교 성전인 에 따르면 바루나는 현자 카시야파의 아들이었다. 많은 신화들에서 신들은 바루나한테 가서 구름과 비의 운행을 살펴줄 것을 기도했다고 한다. 이런 이유로 바루나는 ‘물의 제왕’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바루나는..
제국주의자들이 악마로 만든 신, 에크웬수 에크웬수(Ekwensu)는 나이지리아 이보 족 판테온에서 흥정 또는 거래의 신이자 전쟁의 신으로 창조신 치우쿠(Chiukwu 또는 Chukwu, Chineke)의 아들들 중 하나였다. 기독교 이후에 대부분의 토착신들이 악마로 위상이 추락하지만 에크웬수는 기독교 이후에도 이보 족 전통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하지만 현재 이보 족 사람들은 새로운 종교적 전통 즉 기독교 이후 세대이기 때문에 에크웬수의 정체성에 대해 많은 의심을 하고 있다. 그래도 확실한 것은 고대 종교에서도, 기독교 이후에도 에크웬수는 악마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유럽인들은 그들의 종교를 가져와서 이보 족 신앙에 악마가 들어설 자리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그들은 ‘에크웬수는 악마’라는 신념을 심어주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그들은 ..
호루스의 다양한 별명이 갖는 의미 호루스(Horus)는 이집트 왕조 시대 이전부터 이집트 전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숭배된 신이었다. 이집트 파라오들은 호루스의 살아있는 화신임을 상징하기 위해 호루스 이름을 사용했다. 호루스와 관련된 많은 신화들이 때로는 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하지만 이집트 역사를 알고 당시의 전후 사정을 알게 된다면 이런 혼란은 어렵지 않게 정리될 것이다. 호루스는 이집트 판테온에서 가장 중요한 신들 중 하나이다. 호루스의 상징은 포효하는 거대한 새 매이며, 보통 매나 매의 머리를 가진 인간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호루스는 또 ‘진실의 아들’이라고도 불렸다. 호루스는 백기사처럼 정의를 상징했고 조화와 질서의 신 마아트(Maat)를 옹호했다. 검은 땅 케메트(Khemet)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자신들의 땅을 부르는 말로, 호..
최초의 용(龍), 티아마트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티아마트(Tiamat)의 역할을 정확하게 정의하기란 쉽지 않다. 티아마트는 태초의 바다로 염수의 신이자 창조 여신이었다. 티아마트에 관한 자료는 바빌로니아의 창조 서사시인 에서 찾을 수 있다. 사실 에도 티아마트의 겉모습에 관한 자료만 수록되어 있다. 는 염수의 신 티아마트와 담수의 신 아프수(Apsu) 등 두 개의 태초의 바다에 대한 묘사로부터 시작된다. 두 개의 물 즉 티아마트와 아프수의 결합으로 신들이 창조되었다. 서사시는 아프수와 물의 신 에아(Ea, 수메르의 엔키)의 전쟁으로 이어진다. 티아마트는 아프수를 설득해 전쟁을 멈추도록 시도한다. 하지만 아프수는 신들과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티아마트는 아프수의 복수를 위해 괴물 군대를 만들어 그녀의 새로운 배우자인 킹구(Kingu)에..
이둔의 황금사과가 사라지면 어떤 일이? 이둔(Idunn, Iðunn)은 북유럽 신화에서 가장 중요한 여신 중 하나다. 이둔이라는 이름에는 ‘젊어지는 것’, ‘영원히 젊은’, ‘청춘’ 등 다양한 뜻이 있는데 북유럽 판테온에서 그녀의 역할을 특징짓는 것들이다. 가장 널리 알려진 북유럽 신화 중 하나는 ‘이둔의 납치’로 이둔이 다른 북유럽 신들에게 얼마나 중요한 존재인지를 보여준다. 즉 이 신화에서 북유럽의 신과 여신들은 이둔이 납치된 이후 나이를 먹기 시작한다. 그들은 이둔을 찾기 위해 동분서주해야만 했던 이유다. 신화에 따르면 이둔은 에시르 신족의 일원으로 시인의 신 브라기(Bragi)의 아내였다. 이둔은 신들이 먹으면 영원히 젊음을 유지할 수 있는 특별한 과일을 소유하고 있었다. 아마도 고대 북유럽 사람들은 신들도 늙고 죽는다고 생각했던 것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