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화와 전설

(1291)
두 명의 데모폰 이야기 그리스 신화에는 두 명의 데모폰Demophon이 등장한다. 그 중 하나는 켈레우스 왕과 메타니라 왕비의 아들 데모폰이다. 데메테르 여신이 하데스에게 납치된 딸 페르세포네를 찾으러 다닐 때 그녀는 도소라는 노파로 변장하고 엘레우시스에 있는 켈레우스 궁전을 방문한 적이 있었다. 켈레우스는 노파(데메테르)를 환대했고 자신의 아들 데모폰과 트리프톨레모스를 돌봐 줄 것을 요청했다. 데메테르는 켈레우스의 환대에 보답하기 위해 데모폰을 불사의 몸으로 만들어 주기로 결정했다. 데메테르는 데모폰에게 신주인 암브로시아를 먹이고 화로에 넣어 필사의 영혼을 태웠다. 어느 날 밤 메타니라가 이 광경을 보고 놀라 소리쳤다. 메타니라의 비명에 놀란 데메테르는 데모폰을 불 속에 떨어뜨렸으며 자기의 정체를 밝혀야만 했다. 신화에 따르..
'스라소니의 눈'은 천리안을 가진 '린케우스' 서구 사회에서 ‘링크스 아이’ 또는 ‘이글 아이’는 각각 ‘스라소니 눈’, ‘독수리 눈’이라는 뜻으로 특별하게 뛰어난 시력을 갖고 있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이 말의 기원은 고양이과에 속하는 스라소니의 특징에서 비롯되었다. 스라소니는 매우 특별한 눈을 가지고 있어 뛰어난 시력을 자랑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 말의 기원이 단순히 ‘스라소니’를 뜻하는 ‘링크스Linx’만은 아니다. 그리스 신화의 어떤 이야기와도 관련이 있다. 그리스 신화에는 ‘린케우스Linceus’라고 불리는 캐릭터가 등장한다. 린케우스는 메세니아의 왕 아파레우스의 아들로 이다스와는 형제지간이다. 이 형제는 이아손의 주도로 황금모피를 찾아 떠난 아르고호 원정대의 일원이었다. 린케우스는 그의 특별한 시력으로 더 유명했다. 아르고호 원정대의 ..
다나에를 통해 본 운명론에 순응했던 고대인들의 무력함 그리스 신화에서 다나에Danae는 아르고스의 왕 아크리시오스의 딸이었다. 신과 인간이 소통하는 신탁에 의하면 아크리오스는 다나에의 아들에 의해 죽임을 당할 운명이었다. 예언이 실현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아크리시오스는 다나에가 결혼할 수 없도록 청동 탑에 가뒀다. 그곳에서 그녀의 아름다움에 매료된 제우스는 황금 비로 변신해 그녀에게 접근했고 다나에는 영웅 페르세우스를 임신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아크리시오스는 다나에와 그의 아들을 궤짝에 가둬 바다를 표류하게 했다. 궤짝은 세리포스 섬에 도착했다. 궤짝은 딕티스라는 어부에게 발견되었다. 딕티스의 형 폴리덱테스는 이 섬의 왕이었다. 딕티스는 다나에가 그 섬에서 아들을 키우도록 도왔다. 페르세우스가 성장했을 때 폴리덱테스는 다나에에게 사랑에 빠졌다. 하지만 다..
자연의 정령 님페의 다양한 모습들 그리스 신화에서 님페Nymphe(또는 님프Nymph)는 하급 여신 또는 정령으로 산이나 숲, 강, 바다 등에 살았다. 신들처럼 님페 중 일부는 문자 그대로 자연의 힘을 상징했다. 님페는은 자연의 본질과는 구분되었다. 다양한 유형의 님페가 존재했다. 오레아데스는 산에 살았으며, 나이아데스는 샘이나 호수 같은 물에 살았다. 나무에 사는 님페는 드리아데스 또는 하마드리아데스로 불렀으며, 계곡에 사는 님페는 알세이데스, 물푸레나무에 사는 님페는 멜리아데스로 불렀다. 네레이데스는 바다의 님페였으며, 레이모니아데스는 목장의 님페였다. 대양의 신 오케아노스와 테티스 사이에서 태어난 3천 명의 님페들은 오케아니데스라고 불렀다. 에우로파나 아시아와 같은 일부 님페들은 지역 또는 섬을 본딴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아이기나..
하와이 전쟁의 신, 쿠 폴리네시아[하와이] 신화에서 쿠Ku는 전쟁의 신으로 풍요로운 바다의 신이기도 하다. 남성적 힘의 원리로써 쿠는 남성 호르몬의 정령이다. 하와이 우주론에서 쿠는 남성성의 본질이다. 반면 히나Hina는 여성적 힘의 전형이다. 쿠는 빛의 신 카네, 지하세계의 신 카날로아, 소리의 신 로노와 함께 네 명의 하와이 주요 신들 중 하나이다. 왕권과 신권을 위하 공식적인 의식들이 준비되었으며 엄격한 금기 아래 행해졌다. 희생제의 관행이 쿠의 사제들에 의해 하와이에 소개되었다. 카메하메하 왕은 그의 통치 아래 하와이 제도를 통합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쿠를 전쟁의 신으로 숭배했다. 쿠는 잔인하고 피에 굶주린 모습에서부터 양육과 호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성질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또 전쟁, 어업, 숲 및 특정 유형의..
역병의 신 에라가 무서웠던 것은 역병이 초래한 기근 때문이었다 메소포타미아 판테온에서 에라Erra는 전쟁과 전염병의 신으로 지하세계의 신 네르갈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에라는 특히 호전적이고 폭력적인 신으로 때로는 전염병을 가져오는 신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그러나 그의 파괴적인 본성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에라의 가장 일반적인 별칭은 ‘전사’였으며 또 다른 별칭으로는 ‘역병과 학살의 지배자’가 있었다. 한편 두 번째로 언급된 별칭에 관해서는 에라의 파괴적인 힘이 ‘전염병’이 아닌 ‘기근’이나 ‘기아’에 기인했을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반면 역병과 기아는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대 사회에서는 역병이 기아를 초래했기 때문이다. 에라의 배우자는 마미 여신(같은 이름의 어머니 여신은 아님)이었으며 그의 아버지는 하늘의 신 아누(수메르의 안)였..
에뮤의 발을 가진 창조신, 알트지라 호주 원주민 아보리진 신화에서 알트지라Altjira는 스스로 존재한 아룬타족(호주 중북부에 거주하는 원주민) 창조신으로 붉은 피부에 긴 머리, 에뮤(호주에 서식하는 큰 새로 빠르게 달릴 수는 있으나 날지는 못한다고 한다)의 발을 가진 커다란 남성으로 묘사되었다. 그의 아들 또한 에뮤의 발을 가졌으며 딸들은 개의 발을 가졌다고 한다. 창조 후 알트지라는 그가 창조한 세상과 인간들에게 무료함을 느껴 다시 하늘로 올라갔다. 하늘에서 그는 인간들의 일에 전혀 관심을 갖지 않았다고 한다. 신화에 따르면 태초에 알트지라는 대지를 창조하고 그곳을 인간들이 필요로 하는 모든 것들로 채웠다. 그런 다음 어떤 지시도 없이 떠나고 말았다. 다행히 세상은 꿈의 시간이라는 깊은 잠에 빠져들었고 태초의 신들은 고통의 시간을 벗어..
조상신이 된 도마뱀, 카마롱 멜라네시아[파푸아뉴기니 우게오 부족] 판테온에서 카마롱Kamarong은 도마뱀 형상을 한 최초의 생물이었다. 불행히도 그는 변형 유기체처럼 문제가 있었다. 그에게는 중요한 기관이 없었다. 대신 그의 피부에서는 땀처럼 정자가 흘러나왔고 입으로 배설해야만 했다. 다행히도 그의 곁에는 뱀 여신 야리가 있었다. 그녀는 간단한 시술을 통해 카마롱의 잃어버린 기관들을 찾아 주었다. 드디어 카마롱은 야리 여신이 만들어준 새로운 구멍을 통해 배설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우여곡절 끝에 드디어 카마롱은 우게오 부족의 첫 번째 조상이 되었다고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