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화와 전설/메소포타미아

(97)
초목의 신 닌기스지다와 아눈나키에 대하여 닌기스지다(Ningishzidda)는 초목의 신이자 지하세계의 신이다. 닌기스지다는 고대 수메르어로 ’선량한 나무의 제왕’이라는 뜻이다. 또 피라미드와 같은 ‘인공물의 제왕’으로 아다파 신화에 목축의 신 두무지(Dumuzi)와 함께 아누(Anu)의 천상을 지키는 두 명의 수호신으로 등장한다. 닌기스지다는 가끔 인간의 머리를 한 뱀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닌기스지다 신전을 봉헌한 라가쉬의 왕 구데아. 출처>구글 검색 라가쉬에 닌기스지다에게 봉헌된 신전이 있었고, 기원전 21세기 경 라가쉬의 통치자 구데아(Gudea)는 닌기스지다의 맹렬한 신봉자 주 한 명이기도 했다.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는 구데아 왕을 새긴 초록색 동석 꽃병이 있는데, 거기에는 ‘라가쉬의 왕 구데아가 그의 신 닌기스지다에게 생명 연장의 ..
위대한 두 빛 태양과 사랑의 어머니, 닌갈 닌갈(Ningal)은 ‘위대한 부인’이라는 뜻의 수메르 여신으로 달의 신 난나(Nanna)의 아내이다. 닌갈은 담수의 신 엔키(Enki)와 갈대의 부인 닌기쿠가(Ningikuga)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닌갈의 고대 기원을 암시하고 있다. 남 메소타미아로 이주한 최초 수메르인들의 거주지가 습지에 세워졌고 그 습지에서 나는 갈대는 사냥, 신전 건축, 항해, 바구니, 홍수방지용 제방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닌갈은 배우자인 달의 신 난나와 함께 우르에서 숭배되었다. 특히 닌갈은 수메르 제3왕조 때 가장 유행했는데 우르 3세 왕은 닌갈 신전을 짓고 석상과 기념비를 남겼다. ▲갈대의 여신 닌갈과 달의 신 난나. 출처>구글 검색 신화가 묘사하는 닌갈은 모든 여성들의 삶에서 기본적인 두 단계를 설명하고..
이라크 고대 도시 키시의 수호신, 자바바 메소포타미아(바빌로니아-아카드) 신화에서 자바바(Zababa)는 전쟁의 신으로 전쟁에서 힘과 기량을 북돋아주는 것으로 여겨졌다. ‘돌의 파괴자’ 라는 자바바의 별명은 그의 무시무시한 성격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비슷한 의미로 바빌론의 자바바 문에는 ‘적을 증오한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 자바바는 때로 폭풍의 신 닌우르타(Ninurta)와 함께 앗시리아의 국가 신이었던 아수르(Assur, 에누마 엘리쉬에서는 마르둑을 대체함)의 아들로 언급된다. 특히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에는 여신 바바(Baba)가 그의 아내로 등장하기도 한다. ▲전쟁의 신 자바바로 불리기도 했던 고대 바빌로니아의 삼수-일루나 왕. 출처>구글 검색 전쟁의 신 자바바는 또 사랑의 여신이자 전쟁의 여신인 이쉬타르(Ishtar, 수메르..
바빌로니아 어머니 여신, 자르파니투 메소포타미아(바빌로니아-아카드) 신화에서 자르파니투(Zarpanitu)는 출생의 여신으로 사르파니트(Sarpanit), 자르파니트(Zarpanit), 자르판디트(Zarpandit), 제르파니툼(Zerpanitum), 제르바니투(Zerbanitu), 지르바니트(Zirbanit)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자르파니투가 유명한 것은 바빌로니아 최고신 마르둑(Marduk)의 아내로 어머니 여신이라는 점이다. ▲메소포타미아(바빌로니아) 최고신 마르둑. 출처>구글 검색 자르파니투는 ‘빛나는 자’라는 뜻으로 때로 금성(Venus)을 대표하기도 한다. 또 그녀의 이름은 출생의 여신으로 해석되기도 하며 이 때는 바빌로니아의 출생의 여신 아루루(Aruru, 수메르의 닌후르쌍)와 연결되기도 한다. 바빌로니아 신화에 따르면..
식물과 곡물의 여신 아쉬난 아쉬난(Ashnan)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곡물과 식물의 여신이었다. 아쉬난과 그의 동생인 가축의 신 라하르(Lahar)는 바람과 대기의 신 엔릴(Enlil, 아카드의 엘릴Ellil))의 자식들로 아눈나키(Annunaki, 수메르 및 아카드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의 집단)에게 음식을 제공하기 위해 창조되었다. 하지만 하늘의 피조물들은 자기들의 생산물을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인간이 창조되었다고 한다. ▲아쉬난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곡물의 여신이었다. 출처>구글 검색 다른 자료에 의하면 아쉬난과 라하르는 엔릴과 지혜의 신 엔키(Enki, 아카드의 에아Ea)에 의해서 곡식의 수호자로 파견되었다고 한다. 아쉬난의 상징은 그의 어깨에서 자라나는 곡식 이삭이다.
관능과 욕정의 여신, 나나야 ▲왕좌에 앉아있는 나나야 여신. 출처>구글 검색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나나야(Nanaya)는 수메르인들과 아카드인들이 숭배했던 여신으로 관능과 욕정을 의인화한 신이었다. 나나야 여신의 숭배는 지금의 이집트와 시리아, 이란 지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펼쳐졌다. 나중에 나나야는 사랑의 여신 인안나(Inanna)로 흡수되었다. 한편 바빌로니아 신화에서 나나야는 지혜의 신 나부(Nabu)의 아내였던 타슈메투(Tasmetu) 여신과 혼합된 전쟁의 여신이기도 했다.
바빌로니아의 위대한 신부, 아야 아야Aya(수메르 신화의 세리다Serida)는 메소포타미아(바빌로니아-아카드) 신화에서 태양신 샤마쉬Shamash(수메르 신화의 우투Utu)의 아내로 어머니 여신이자 빛의 여신이다. 태양신 샤마쉬의 아내로써 아야의 역할은 의 바빌론 버전에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바빌로니아의 원통형 인장에 샤마쉬와 함께 등장한 아야. 출처>구글 검색 에서 아야는 “위대한 신부”로 언급되어 있다. 영웅 길가메쉬는 삼나무 숲으로 모험을 떠나서 괴물 훔바바를 죽인다. 길가메쉬의 어머니 닌순Ninsun은 아들의 무모한 모험을 태양신 샤마쉬 탓으로 돌린다. 닌순은 신전 지붕에 올라가 아야에게 남편 샤마쉬를 설득해 길가메쉬를 보호해 줄 것을 간청한다. 닌순은 태양신이 아들을 볼 수 없는 밤에 특별히 더 보호해 줄 것을 애원한다. 수..
강과 평원의 신, 슈무간 ▲강과 평원의 신, 슈무간(Sumugan). 출처>구글 검색 메소포타미아(수메르) 신화에서 슈무간(Sumugan)은 강과 평원의 신이다. 수메르 창조 신화에서 슈무간은 지혜의 신 엔키(Enki)에 의해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평평한 충적토 지역을 관리한 신이었다. 슈무간은 또한 여신 에레쉬키갈(Ereshkigal)이 지배하는 지하세계에 살고 있는 소들의 신이기도 했다. 슈무간의 아버지는 태양신 우투(Utu, 바빌론의 샤마시)였으며 비슷한 역할의 라하르(Lahar) 신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