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날 포스팅/따따부따

7.7사변 77주년 행사에서 시진핑이 경고한 소수는 누구?

반응형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명백한 역사적 사실과 전쟁 중 희생당한 수천만 명의 무고한 생명을 무시하면서 역사의 수레바퀴를 거꾸로 돌리고 있는 소수에게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냈다. 특히 시진핑 주석은 누구든지 침략 역사를 부정, 왜곡하고 미화하려 한다면 중국 인민이 절대로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소수의 과거사 역주행을 강도 높게 비난했다.

 

시진핑 주석이 말한 소수는 누구일까? 요즘 군국주의 부활을 꿈꾸고 있는 일본이라는 것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이다. 게다가 중일전쟁의 원인이 되었던 7·7사변(노구교 사건) 77주년 자리였다면 시진핑이 지목한 소수는 틀림없이 일본일 수밖에 없다. 중국 국가주석으로는 7·7사변 기념행사에 처음으로 참석했다는 시진핑 주석은 평화헌법 9조 개정을 통해 전쟁이 가능한 국가로의 꿈을 현실화시키고 있는 일본 아베 정권을 향해 침략역사를 부인하고 심지어 미화하며 국제적 상호 신뢰를 파괴하면서 지역긴장을 조성하고 있다면 중국 인민을 포함해 전 세계의 평화를 사랑하는 인민들로부터 강력한 비난을 받고 있다고 역설했다.

 

▲7·7사변 77주년 행사에서 연설하고 있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경향신문 

 

아베 정권이 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평화헌법의 토대가 되는 일본 헌법 9조는 전쟁과 무력에 의한 위협 또는 무력행사는 국제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영구히 포기한다 1항과 ‘1항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육·해·공군과 그 외 전력을 보유하지 않으며, 국가의 교전권도 인정하지 않는다는 제2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베 정권은 평화헌법 9조의 개정을 통해 전쟁이 가능한 국가의 변신을 꾀하고 있다. 현재 자위대 전력만으로도 세계적인 군사대국인 일본이 평화헌법 9조의 개정에 그토록 목을 매는 이유는 단 한가지 과거 군국주의 일본을 재현하기 위함이라는 것은 전세계가 다 아는 사실이다. 전세계가 일본의 최근 행보에 주목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7·7사변 기념행사에 중국주석으로는 처음으로 직접 참가한 것도 최근 일본의 과거사 역주행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시진핑 주석의 강한 의지의 표현이라는 게 중론이다. 그렇다면 올해로 77주년이 되었다는 7·7사변은 중국 역사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일까? 시진핑 주석이 기념행사에서 밝혔듯이 7·7사변은 1937년 일본 제국주의가 중국을 무력으로 병탄하기 위해 일으킨 사변이었다. 일명 노구교(루거우차오, 盧溝橋)사건이라고도 한다.

 

▲노구교 사건. 사진>구글 검색 

 

7·7사변이 일어난 배경을 살펴보면 1931년 일본이 만주를 점령하고 괴뢰 정권인 만주국을 세웠다. 1932년에는 열하를 점령했다. 이처럼 일본의 중국 침략이 가속화되자 중국 내에서는 항일운동이 점차 확산되었고 장제스의 제안으로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은 내전 중단을 합의하고 국공합작을 통해 일본의 침략에 공동으로 대응했다. 한편 노구교는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다리였는데 베이징의 관문으로 당시 일본은 서쪽을 중국은 동쪽을 관할하고 있었다.

 

사건이 일어난 것은 1937 7 7일이었다. 당시 노구교 외곽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이 야간연습을 실시하던 중 몇 발의 총성이 울렸고 마침 그 때 일본군 병사 1명이 행방불명 되었다. 행방불명 되었던 일본군 병사는 20분 부대로 복귀했지만 일본은 중국이 사격을 가했다는 구실로 8일 새벽 중국군 진지를 향해 포격을 시작했다. 즉 중일전쟁은 바로 이 7·7사변, 노구교 사건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바로 대규모 전쟁으로 번지지는 않았다.

 

양측의 공방이 계속되는 가운데 11일 중국과 일본은 정전협정을 체결했는데 당시 일본은 국민당은 베이징 내의 모든 반일단체를 일소하고 반일활동을 중지할 것과 국민당은 7·7사변의 모든 책임을 질 것, 쑹저위안 등 29군의 고위 장교들은 반드시 사과할 것 등의 세가지를 협상 조건으로 내세웠다. 하지만 양측의 협상을 끝내 결렬됐고 일본군의 전면적인 공격이 시작되면서 중일전쟁으로 확대되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