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입문자들만 알았던 그녀의 이름, 데스포이나
그리스 신화에서 데스포이나(Despoina)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과 대지의 여신 데메테르의 딸이었다. 포세이돈은 그녀의 이복 언니 페르세포나를 짝사랑했고 페르세포나는 그를 피해 도망 다녔다. 데메테르는 암말로 변신해 다른 암말들 속에 숨었지만 포세이돈(말의 신이기도 함)은 그들 중에 여신을 알아보았고 종말로 변신해 그녀와 관계를 맺었다. 이 일을 계기로 데메테르는 데스포이나와 마법의 말 아리온을 임신했다. 데스포이나는 때때로 그녀의 이복 언니 페르세포나와 혼동되었다. 데스포이나는 출생에 관한 이야기를 제외하고 그녀만의 신화는 없었다. 데스포이나는 엘레우시스 신비의식에서 숭배된 여신들 중 하나였다. 데스포이나는 그녀의 실제 이름이 아니었고 실제 이름은 엘레우시스 신비의식 입문자만이 아는 비밀이었다.
데메테르와 포세이돈의 딸(데스포이나)은 이복 언니 페르세포네만큼 유명하지 않았다. 사실 그녀의 실제 이름은 오늘날까지도 알려지지 않았다. 그녀는 고립된 아르카디아 지역에서 숭배되었으며 아르카디아인들은 그녀를 ‘여주인’이라고 불렀다. 이 별칭은 그리스 전역의 다른 여신들에게도 주어졌지만 아르카디아에서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데스포이나 숭배는 아르카디아에만 존재했던 많은 것들 중 하나이다. 심지어 그곳에서도 여신의 완전한 중요성은 특정 종교의 입문자들에게만 드러났다. 고전 시대에도 데스포이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데스포이나 신화와 그녀의 정확한 역할은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그러나 역사가들은 여전히 그녀의 존재가 그리스의 초기 종교적 신념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데스포이나는 고대 그리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여신 중 하나는 아니었다. 고대에도 그녀에 대해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녀는 아르카디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 비교의 여신이었다. 그리스의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심지어 그녀의 이름조차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여주인'이라는 뜻의 별칭이 그녀의 진짜 이름을 말하는 금기를 피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데스포이나의 역할과 신화는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그녀의 출생 이야기만은 현대에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아르카디아 전설에 따르면 데스포이나는 포세이돈과 데메테르의 딸이었다. 그녀는 숭배자들이 코레 또는 ‘처녀’라고 불렀던 페르세포네의 이복 여동생이었다.
전설에 따르면 제우스가 한때 여동생을 원했던 것처럼 포세이돈은 데메테르를 연인으로 만들고 싶어 했다. 하지만 데메테르는 그를 피하기 위해 아르카디아로 도망쳤다. 데메테르는 자신을 숨기려고 지역 왕의 말 무리 사이에 숨었다. 그녀는 동생(포세이돈)의 추격을 피하기 위해 왕의 암말 사이에 몸을 위장했다. 하지만 그런 변장을 하고도 데메테르는 자신의 신성을 숨길 수 없었다. 포세이돈은 곧 그녀를 발견했고 데메테르는 더 이상 탈출할 방법이 없었다. 데메테르는 포세이돈의 공격에 분노했고 의식적으로 정화하기 위해 동굴로 도망쳤다. 이 일로 그녀는 더 큰 일(대지와 곡물의 여신으로서의 역할)에 신경을 쓸 수가 없었다.
후대의 작가들은 데메테르가 하데스가 납치한 딸 페르세포네를 찾는 동안 포세이돈의 구애와 추격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이 이야기는 또한 여신의 슬픔으로 발생한 흉작이 포함되었는데 이는 파우사니아스와 같은 비아르카디아 작가들에 의해 결합되었다. 검은색 옷을 입은 데메테르는 동굴에 숨어 몇 달을 보냈다. 그녀가 없는 동안 농작물은 시들기 시작했다. 식물이 메말라 죽으면서 가축은 굶주렸고 사람들은 굶어 죽기 시작했다. 결국 데메테르는 라돈 강에서 슬픔과 분노를 씻어냈다. 곧 이어 대지가 회복되어 곡물이 다시 자라기 시작했다.
어쨌든 포세이돈의 겁탈로 데메테르는 두 자녀를 낳았다. 아들 아리온은 불멸의 말로 종종 검은 갈기와 꼬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데스포이나는 아르카디아의 중요한 여신이었으며 아마도 그들의 핵심 여성 신이었을 것이다. 비교 신자들은 그녀의 숭배를 촉진시켰지만 일반 대중도 그녀를 지역의 중요한 여신으로 인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스포이나가 이 지역 종교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역사가들은 고고학, 현존하는 문헌, 비교 신화에서 얻은 정보를 사용하여 아르카디아인들이 데메테르와 포세이돈의 딸을 숭배한 이유를 정리해 왔다.
많은 역사가들은 아르카디아의 지역 종교가 펠로폰네소스에서 가장 오래된 신앙 중 일부를 대표한다고 주장한다. 많은 아르카디아의 관습은 이 지역에 처음 들어온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그들이 접한 토착 그리스 이전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아르카디아는 상대적으로 고립된 지역이었기 때문에 그들의 신화는 이웃 국가들에 비해 외부 출처가 거의 없었다. 그들의 종교는 아테네와 같은 곳에서 널리 퍼져 있는 고귀하고 법에 근거한 견해보다 더 투박하고 원시적이었다. 데메테르를 인간과 동물의 특성을 결합한 자연의 여신으로 보는 그들의 견해는 아마도 이 고대 신앙 체계의 결과였을 것이다. 사티로스와 같은 자연의 신들처럼 그녀는 초기 샤머니즘 종교의 동물적 속성을 일부 유지했다. 그녀가 숨었다고 추정되는 동굴에 있는 데메테르 동상 숭배에 대한 설명은 아르카디아에서 데메테르 숭배 특성이 더 원시적이고 더 동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그녀는 말의 머리, 뱀같은 머리카락 그리고 몸에서 자라는 풀을 가지고 있었다.
역사가들은 데스포이나의 모습에서도 종교의 발전을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전설에 따르면 데스포이나는 말의 형태로 태어났다. 그러나 그녀의 특성은 점차 변했고 그녀는 좀 더 인간다운 모습으로 바뀌었다. 아르카디아인들은 또한 데메테르를 죽음과 재생의 여신으로 더 많은 초점을 맞췄다. 페르세포네 신화가 그리스 전역에 퍼졌지만 아르카디아에서는 곡물의 여신을 죽음뿐만 아니라 생명의 여신으로 여겼다. 이는 그리스 전역에서 유행했던 많은 신비 숭배에서도 흔적이 남아 있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데메테르를 더 모성적이고 자비로운 여신으로 여겼다. 지하 세계의 여왕인 그녀의 딸 페르세포네조차도 대부분의 다른 지하의 신들보다 더 온화한 성격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아르카디아 신화는 곡물의 여신도 무시무시한 존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페르세포네 전설에 따르면 데메테르는 딸을 잃은 슬픔으로 인해 단 며칠 동안만 부재했지만 아르카디아인들은 데메테르가 분노하여 몇 달 동안 인간들을 굶주리게 했다고 믿었다. 데메테르의 딸들에 대한 아르카디아 신화에서도 데메테르는 모든 요소에 능통한 여신으로 등장했다. 데메테르는 본래 대지의 여신이었다. 그러나 그녀는 제우스와 포세이돈을 통해 하늘과 바다와도 관계를 맺었다.
아르카디아 종교에서 데메테르와 그녀의 딸들이 두드러지면서 일부 역사가들은 이 이야기들이 고전 그리스 신화보다 덜 가부장적이었던 오래된 버전의 신화를 반영한다고 주장했다. 데메테르가 포세이돈과 제우스와 함께 낳은 딸들은 인도-유럽 신화에서 널리 퍼져 있는 전형을 나타낸다. 이들은 삼위일체 여신의 한 형태로 보인다. 삼위일체 여신은 인도-유럽 신화에서 자주 볼 수 있다. 힌두 신화의 트리데비부터 켈트 신화의 모리안과 브리지드까지 많은 문화권에는 단일 존재이자 세 명의 개별 존재인 여신이 등장한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는 운명을 상징하는 세 명의 여신(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이 존재하지만 명확한 삼위일체 여신 개념은 아니다. 데메테르, 데스포이나, 페르세포네는 그리스 다른 곳에서는 대부분 사라진 삼위일체 여신의 잔재일 수도 있다.
삼주(삼위일체) 여신은 종종 그들의 세 시대에서 처녀, 어머니, 왕좌를 상징하지만 아르카디아의 세 여신(데메테르, 데스포이나, 페르세포네)는 약간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페르세포네는 처녀 코레였다. 데스포이나는 가정의 여주인이자 유부녀였다. 데메테르는 단순한 노파가 아닌 나이든 어머니였다. 결국 데스포이나는 유부녀로서 지하 세계의 여왕을 지칭하는 페르세포네와 혼동하게 되었다. 그러나 데메테르와 포세이돈의 딸은 초기 그리스 종교가 믿었을지도 모르는 것을 정리하는 단서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요컨대 아르카디아라는 고립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데메테르와 포세이돈에게 딸이 있다고 믿었다. 그들은 이 여신의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그녀를 ‘여주인’ 데스포이나라고 불렀다. 전설에 따르면 데메테르는 아르카디아 왕의 말들 사이에 숨어 포세이돈의 추격에서 벗어나려고 했다. 하지만 포세이돈은 변장을 통해 그녀의 신성을 알아냈다. 데메테르는 포세이돈을 피해 몇 달 동안 동굴로 숨어 정화 의식을 수행했다. 그녀의 부재로 농작물은 시들었고 모든 생물들은 죽음에 직면했다. 이에 다시 나타난 데메테르는 두 아이를 낳았는데 아들 아리온은 말이었고 딸은 여신 데스포이나였다. 데스포이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역사가들은 그녀가 그리스 이전 종교의 유물일 수 있다고 믿었다. 아르카디아의 위치와 고립성은 많은 초기 신앙이 그리스의 다른 곳에서 진화한 후에도 오랫동안 그곳에 보존되었음을 의미했다. 데메테르, 데스포이나, 페르세포네는 인도-유럽 종교에서 발견되는 전형인 삼위일체(또는 삼중) 여신을 형성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들은 아마도 고전 고대 이전의 모계 우위의 신앙 체계를 대표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