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리톤

(3)
돌고래자리에 얽힌 스토리텔링, 살라키아 로마 신화에서 바다의 여신 살라키아Salacia(그리스 신화의 암피트리테)는 대양 깊숙한 곳을 다스리는 염수의 여신으로 숭배되었다. 바다의 신 넵투누스(그리스 신화의 포세이돈)가 그의 배우자였다. 한편 살라키아라는 이름은 ‘소금’을 뜻하는 라틴어 ‘살Sal’에서 유래했다. 살라키아가 넵투누스의 배우자라는 것은 고대 로마의 철학자 바로(Marcus Terentius Varro, 기원전 116년 ~ 기원전 27년)가 라는 책에서 처음 언급했으며 세네카(Lucius Annaeus Seneca, ? ~ 기원후 65년), 아우구스티누스(Aurelius Augustinus, 354년 ~ 430년) 등의 책을 통해 관련 신화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넵투누스는 살라키아와 결혼하고 싶었다. 하지만 살라키아는 넵투누스에게..
아름다운 여인 메두사를 괴물로 만든 장본인, 넵투누스 고대 로마 판테온의 관할권이 유피테르Jupiter, 넵투누스Neptunus, 플루토Pluto 형제로 나누어 졌을 때 가장 포악한 성격의 넵투누스는 바다를 관장했다. 넵투누스(영어로는 넵튠Neotune)의 본성은 그의 영역인 대양과 지진의 사나움을 상징한다. 그리스 신화의 포세이돈Poseidon과 동일시되는 넵투누스는 많은 여신, 바다 님프, 인간 여성들과 육체적 결합을 즐긴다. 그는 심지어 그의 누이인 케레스Ceres(그리스 신화의 데메테르Demeter)에게 구애하기도 했다. 그 때마다 케레스는 암말로 변신해 넵투누스를 피했다. 이를 알아챈 넵투누스는 그녀와 관계를 맺기 위해 말로 변신했다. 이 사건으로 둘 사이에는 검은 암말 뿐만 아니라 딸이 태어났다고 한다. 동시에 넵투누스는 말의 신이나 경마의 수호..
트리톤과 군계일학 중국 위진 시대에 완적, 완함, 혜강, 산도, 왕융, 유령, 상수라는 이름의 선비들이 있었다.이름만 들어서는 그렇게 대단한 인물들일까 싶을 것이다. 하지만 죽림칠현(竹林七賢)이라고 하면 고개가 절로 끄덕여질 것이다. 이들은 혼란한 세상을 피해 산 속으로 들어가 노장 사상과 무위자연에 심취했으며 문학과 음악을 즐기며 청담으로 세월을 보냈던 선비들이다. 당시 정국에 비판적이었던 이들은 이런 방식으로 소극적이나마 저항했으나 끝내는 권력의 폭력과 회유 앞에 죽임을 당하거나 현실과 타협해 정계로 돌아가고 말았다. 죽림칠현 중에서도 특히 혜강과 관련된 일화는 훗날 두고두고 회자되는 사자성어가 되었다. 혜강은 사마씨 일족이 위나라를 멸망시키고 진나라를 세울 때 사마씨의 회유를 뿌리치고 죽림에 남아있다 결국 사형을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