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12)
행복한 책읽기① 나만의 테마를 만들자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힌다.(一日不讀書 口中生荊棘)" 안중근 의사의 말이다. 안중근 의사는 나라 빼앗긴 울분을 달래기 위해 독서에 열중했다고 한다. 요즘은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언급되는 말이지만 실상 안중근 의사의 이 말에는 지사로서의 비분강개가 녹아있다고 봐야 옳을 것이다. 왜곡이라면 왜곡일 수도 있는 이 말이 어찌됐건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격언으로 변질(?) 됐으니 안중근 의사도 그리 안타까워하지는 않을 성 싶다.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힐 정도로 독서에 열중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지 궁금하다. 분명 있다. 언젠가 읽었던 이란 책에서도 책을 놓지 않고 사는 사람들을 본 적이 있다. 어제였나? 폭로전문 웹사이트인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주한 미국 대사관의 ..
우리동네 도서관에 '친일인명사전' 비치하는 방법 인터넷으로 우리동네 도서관에 비치하는 방법 4월26일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을 열람할 수 없다는 글을 썼는데요, 다음날 민족문제연구소에서 한 통의 메일을 받았습니다. 26일 포스팅에서는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내 공공도서관의 보유현황을 알려드렸는데 추가로 2011년 4월 현재 전국 공공도서관의 보유현황 자료가 업그레이드되어 알려드리고 우리동네 도서관에 비치하는 방법을 소개할까 합니다. 아래 표를 보면 아시겠지만 지역별로 공공도서관내 보유현황이 30%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그나마 2011년 4월 현재 충북과 인천만이 40% 이상 공공도서관에서 을 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광주와 제주가 10%대에 머물고 있다는 조사결과에 놀랐습니다. 어느 지역보다 역사의식이 높다고 생각하고 ..
공공도서관은 친일파를 싫어한다? 민족문제연구소의 /2009년 이명박 정부가 이제는 공공연하게 '멍청한 정부'로 낙인찍혀 버렸다. 그것도 이명박 정부 텃밭에서 말이다. MB정권 탄생의 일등주역이라 할 수 있는 조선일보 김대중 고문은 지난 4월5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독립유공자 19명에 대한 서훈 취소 명단에 장지연이 포함된 것을 두고 '이 정권을 언필칭 보수정권이라고 하고 또 실제로 보수·우파 세력의 지지로 권력을 담임한 정부임에도 불구하고 하는 일들을 보면 좋게 말해서 '실용'이고, 실제로는 이쪽도 저쪽도 아닌 '기회주의적' 집단인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며 철학이 없는 정부로 규정했다. '시일야방성대곡'으로 유명한 장지연은 2009년 11월8일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에 수록된 인물로 독립운동을 했다는 초기와 달리 말년에는 일본 천황을..
아다다의 죽음과 황금주의 비판의 불편한 진실 계용묵 /1935년 언젠가 노래방에서 일행 중에 한 명이 '초여름 산들바람 고운 볼에 스칠때'로 시작하는 애절한 노래를 들은 적이 있다. 마지막에는 '말하라 바다 물결 보았는가 갈매기 떼, 간 곳이 어데메뇨 대답 없는 아다다야'로 끝나는데 그 친구가 노래를 잘 불러서인지 아니면 가사 때문인지 광란의 도가니 속으로 빠져들던 노래방이 일순간 숙연해 졌다. 계용묵의 소설 를 소재로 만든 대중가요였다. 그때까지 에 관한 교과서적 지식 정도는 갖고 있었다. 황금만능주의를 비판한 소설이라는...애절한 노래의 여운이 오래 남아서였을까? 며칠 후 서점에 들렀다 구석에 쪼그려앉아 읽었던 책이 다. 이런 이유로도 책을 읽나보다. 작가 계용묵은 를 비롯해 , 등에서 보는 것처럼 신체 불구자의 내면의식을 주제로 한 소설들을 ..
아이와 함께 읽어야 할 어른들을 위한 동화 김형진의 /2009년 태어나 가장 먼저 배우는 말 '엄마'. 영어로는 '마미'라고 한다. 태국에서는 '매'.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마메'. 필리핀에서는 '나나미'. 베트남에서는 '마'. '엄마'를 부르는 각 나라의 말이다. 다문화 시대, 공교롭게도 '엄마'를 부르는 아이들의 언어는 국적을 불문하고 비슷한 뉘앙스로 들린다. 나라는 다른데 왜 ‘엄마’라는 말은 다 비슷할까? 과거와 현재를 뛰어넘어 동양과 서양을 불문하고 변하지 않는 사랑이 바로 엄마의 사랑이기 때문이라고 어설픈 주장을 해도 무리한 억측은 아닐 거라고 믿는다. 0.001%의 이기심도 없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유일한 사랑, 보이지 않는 무엇까지도 다 보듬을 수 있는 우주적 사랑, 이것이 바로 엄마의 사랑이다. 여기 강원도 산골 작은 학교에 엄마의 ..
소설로 읽는 영화 서편제의 또다른 감동 이청준의 /1976년 영화 '서편제'의 압권은 송화(오정해)와 동호(김규철)가 어느 이름없는 주막에서 해후해 판소리로 대화하는 장면이다. 앞을 보지 못했던 송화는 아버지 유봉(김명곤)을 꼭 빼다닮은 북장단에 오라비 동호라는 사실을 눈치채지만 아랑곳없이 계속되는 그들의 판소리 대화는 온 극장 안을 숙연하게 만들었다. 애달픈 소리가 정적을 만드는 순간 여전히 손에 잡히지 않는 한(恨)의 실체가 가슴 속 깊은 곳에서 시나브로 분출되고 있음은 극장 안 누구나의 경험이었을 것이다. 한국영화 최초로 '100만 관객 시대'를 연 임권택 감독의 '서편제'는 그야말로 신드롬이었다. 말이 100만이지 1993년 당시 관객수 집계가 체계화되지 못해 개봉관에 한정된 통계라는 점을 감안하면 요즘 1,000만 영화를 훌쩍 뛰어넘..
누가 쿨리(coolie)의 친구일까요? 백신애의 /1934년 19~20세기 초 미국으로 건너간 중국과 인디아 노동자들을 쿨리(苦力, coolie)라고 불렀다. 이들은 고된 노동에도 불구하고 저임금을 받는 아시아 출신 노예 정도로 여겨졌다. 쿨리의 어원이 힌두어 큘리(Quli, 노예)라고 하니 아직도 미국에서는 아시아인을 비하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단다. 연관성은 확실치 않으나 아랍어에도 쿨리와 비슷한 발음의 쿠리(kuuri, 풀무질하는 사람)라는 단어가 있다고 한다. 제국주의 시절 아시아인들의 이민역사는 지독한 가난에서 비롯되었고 눈물과 차별의 상징이 되었다. 중국과 인디아의 이민사에 쿨리가 있다면 우리에게는 러시아 및 중앙 아시아 지역으로 이주한 까레이스키, 남미로 건너간 애니깽으로 대표되는 슬픈 이민역사가 있다. 역사가 반복된다는 말을 이 ..
역사의 뒤안길에는 대한민국 원주민이 있다 최규석의 /2008/창비사 지난 1월20일은 용산참사가 일어난지 2년이 되는 날이었다. 2년 전 차디찬 겨울의 한 복판에서 그들은 살을 에는 물대포 세례를 받아야 했고 급기야 추위를 녹위는 거대한 화염 속에 피끓는 절규 한마디 제대로 하지 못하고 새까만 주검으로 우리 앞에 나타났다. 우리는 분노했다. 심지어 국가가 망자들의 손목에까지 쇠고랑을 채웠을 때 국가는 한낱 거추장스러운 사치품에 불과했다. 여전히. 그들의 타들어가는 절규가 무자비한 폭력을 행사할 만큼 그렇게 불순한 것이었을까? 단지 내 삶의 터전을 지키려는 것 뿐이었는데, 국가에 더 달라고 손벌리는 것도 아니고 그냥 우리 살던대로 그렇게 살게 해달라는 것 뿐이었는데... 인간을 망각의 동물이라고 했던가! 지금 우리는 2년 전의 분노도 눈물도 어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