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죽음의 신

(16)
오만 때문에 지하세계의 신이 된 얼릭 투르크와 몽골 신화에서 얼릭Erlik은 죽음과 지하세계의 신이다. 시베리아 신화에 따르면 얼릭은 창조신 텡그리와 울간의 첫 번째 창조물이었다. 하지만 얼릭의 자만심은 두 신 사이의 불화를 일으켰고 급기야 얼릭은 지하세계로 추방되었다. 알타이족 신화에서 얼릭은 인간 창조에도 관여했다. 그는 전령의 신 마이데레를 죽였다. 그는 때때로 곰 토템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투르크 신화에서 얼릭은 어둠과 악마, 지하세계의 신으로 죽은 자들의 심판을 담당했다. 그는 울간이 창조한 최초의 인간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늘 울간과 동등한 위치에 서고 싶었지만 그는 결코 울간을 넘어설 수 없었다. 얼릭은 자신만의 영토를 갖고 싶었지만 결국 아홉 겹으로 둘러싸인 지하감옥에 갇혔다. 그곳은 지상의 빛의 세계와는 정반대의 세계였다..
죽음의 신 타나토스, 인간 헤라클레스에게 무릎을 꿇다 죽음과 사후세계는 그리스 신화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 중 하나였다. 그래서 하데스와 같은 강력한 신이 지하세계나 사후세계를 통치했다. 그리스 신화에는 사후세계와 관련된 많은 신들이 등장한다. 심지어 타나토스Thanatos처럼 죽음 그 자체를 의인화한 신도 있었다. 타나토스는 태초의 밤의 여신 닉스와 어둠의 신 에레보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었다. 닉스와 에레보스는 많은 어둠의 신들을 낳았다. 그 중에서도 타나토스는 잠의 신 힙노스의 쌍둥이 형제였다. 타나토스의 다른 형제로는 모로스(숙명), 케레스(파멸), 네메시스(복수), 아파테(기만), 필로테스(우정), 게라스(노화), 에리스(불화), 헤스페리데스(석양) 등이 있다. 그리스 신화에서 타나토스는 죽은 자들의 영혼을 모으는 저승사자 역할도 했다. 그는 죽은..
콘보움은 태양이 떠오를 수 있도록 빛을 모아 주었다 중앙 아프리카 콩고의 음부티 피그미족 신화에서 콘보움Khonvoum은 창조신이자 사냥의 신이며 가장 중요하고 위대한 신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매일매일 세상의 질서를 회복하는 책임을 맡고 있었다. 그는 두 마리의 위대한 뱀으로 만든 활을 들고 다니는데 지상의 인간에게는 하늘의 무지개로 모습을 드러냈다. 또 날마다 하늘을 재건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태양이 질 때면 콘보움은 별을 포획해서 그 빛을 모아 태양에게 전달했다. 콘보움의 이런 역할 덕분에 태양은 날마다 빛을 회복하고 다시 떠오를 수 있었다. 콘보움은 또 인간을 창조했고 이어서 인간들이 사냥을 통해 생존할 수 있도록 동물을 창조했다. 콘보움은 매일 밤 별빛을 모으는 것처럼 진흙을 모아 세상의 다양한 민족들을 창조했다. 검은 흙으로 흑인을 창조했고, ..
네르갈은 어떻게 지하세계의 주인이 되었을까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네르갈Nergal은 지하세계의 통치자이면서 죽음의 신이자 전염병의 신이었다. 네르갈은 죽음의 아주 특별한 측면을 상징하는데, 그것은 외부의 환경에 의해 가해진 죽음이라는 것이다. 그가 전쟁의 신일 뿐만 아니라 전염병과 역병의 신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네르갈의 호전적인 특징 때문에 그를 닌우르타Ninurta, 자바바Zbaba와 같은 전쟁 신과 동일시하기도 한다. 전쟁 신으로써 네르갈은 왕과 동행해 전쟁에 참여하고 적을 물리쳤다. 네르갈이 가져온 죽음은 초자연적인 차원이었고, 질병은 종종 메소포타미아의 악마들에서 기인했다. 실제로 네르갈은 다양한 악마와 악의 세력을 지배했는데, 특히 악명 높은 것은 에라Erra 신화에서 죽음과 파괴의 대리인 역할을 했던 ‘일곱 신들’이었다. 악마, 질병..
투오넬라(저승)의 주인, 투오니(Tuoni) 사람이 태어나 꼭 한 번은 거쳐야 할 여행이 있다. 바로 죽음이다. 죽은 이후의 세계를 알 수는 없겠지만 흔히들 저승에 가기 위해서는 노잣돈이 필요하다고 한다. 믿거나 말거나 이지만 신화에서는 그렇다. 또 신화에서 사후 세계는 강을 건너는 것으로 묘사된다. 가장 잘 알려져 있듯이 그리스 신화에서도 카론이라는 뱃사공이 동전 몇 개를 받고 생과 사의 갈림길인 강을 건너게 해 준다. 우리말에도 지하세계 즉 저승을 황천(黃泉)이라고 해서 죽음의 세계는 물과 관련이 있다. 핀란드 신화도 마찬가지다. 핀란드 신화에서 저승은 투오넬라(Tuonela)로 마날라(Manala)라고도 한다. 투오넬라에 가기 위해서는 황야를 거쳐 뱃사공의 도움을 받아 강을 건너야 한다. 죽음의 강을 건너면 저승 입구를 지키는 문지기를 마주치..
오그부나발리가 두려운 사람들 오그부나발리(Ogbunabali)는 나이지리아 남부 이보 족 신화에서 죽음의 신으로 알려졌다. 오그부나발리라는 이름은 그의 캐릭터를 문자 그대로 묘사한 것으로 밤에 돌아다니며 사람들을 죽인다고 한다. 하지만 오그부나발리의 희생자들은 대개 범죄자이거나 말해서는 안 되는 금기사항을 어긴 사람들이라고 한다. 죽음과 어둠의 신 오그부나발리의 비밀스런 성질 때문에 그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보(Ibo) 족은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남부의 부족으로 2019년 기준 인구는 나이지리아 전체 인구의 18%인 3600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 부계 씨족사회로 일부다처제가 인정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정령을 숭배하는 종교를 갖고 있으나 기독교화한 사람들이 많이 있다. 참고로 나이지리아는 1960년 독립..
모레나, 사랑에 웃고 사랑에 울고 슬라브 신화에서 모레나(Morena)는 겨울과 무덤의 여신 또는 죽음의 여신으로 불린다. 일반적으로 여신들이 아름다운 외모로 묘사되는 것과 달리 모레나는 무섭고 흉측한 외모를 가지고 있다. 모레나는 인간의 수명을 결정하는 여신으로 일년 중 반은 지하세계에서 나머지 반은 지상에서 생활한다. 인간 삶의 끝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레나 여신은 인간 삶의 시작을 관장하기도 한다. 모레나 여신은 식량 재배를 위해 땅을 비옥하게 준비하고 겨울이 되면 언 땅에 영양분을 공급하기도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모레나 여신이 봄에 지하세계로 사라지면 만물에 싹이 트고 꽃이 피기 시작한다. 이런 이유로 모레나 여신은 죽음의 여신이면서도 풍요의 여신으로도 숭배되었다. 모레나 여신이 젊고 사랑스런 풍요의 여신이었을 ..
서왕모가 인간에게 영원한 생명을 허락하지 않은 이유 어릴 적 코미디 프로 중에 ‘김 수한무거북이와두루미삼천갑자동방삭...’이란 유행어가 있었다. '동방삭' 뒤로도 숨을 몇 번이나 헐떡이며 읊을 정도로 긴 글자가 나열되면서 웃음을 자아냈다. 김씨 성에 ‘수한무’로 시작되는 어느 양반 자제의 이름이었다. 집안 내력이 오래 살지 못한 탓에 무병장수 하라는 의미로 지어준 이름인데 오래 산다는 동식물은 죄다 끌어모아 이름에 넣은 것이다. 그렇다면 ‘삼천갑자동방삭’은 무병장수와 무슨 연관이 있길래 이름에 넣었을까? 삼천갑자면 60년의 3천배이니 18만년이 된다. 18만년간 살았다는 동방삭 설화에서 유래된 말이다. 약삭빠르고 이기적인 품성으로 유명했던 동방삭이 저승사자를 꾀어 삼천갑자를 살았다는 전설인데 서왕모의 반도(먹으면 영생을 누린다는 복숭아)를 훔쳐 먹어서 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