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제

(14)
일제 강점기 낭만주의 소설을 어떻게 볼 것인가 안수길(1911~1977)의 /「춘추」27호(1943.4) 인간은 흙에서 태어나 흙으로 돌아간다고 한다. 이 말은 인간이 자연과 떨어져서 살 수 없다는 필연의 법칙이다. 문명이 발달할수록 도시화의 급속한 진행으로 콘크리트가 흙을 대신할수록 자연과 고향에 대한 회귀본능이 강렬해지는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결국 흙에서 태어나 흙으로 돌아간다는 말의 진짜 의미는 인간도 자연의 일부이며 자연은 결코 인간의 지배대상이 될 수 없다는 말일 것이다. 끊임없이 자연을 정복해가는 인간이지만 결국 재앙이라는 이름으로 가해지는 자연의 복수를 답습하며 살아가는 게 또한 인간이다. 안수길의 소설 에는 자연과의 교감에 실패한 인간이 어느 정도까지 피폐해지는지를 잘 보여준다. 농촌소설이면서 개척소설인 는 일제 강점기 만주를 배경..
국비유학생이 떠돌이 약장수로 사는 이유 [20세기 한국소설] 중 박태원의 『최노인전 초록』/「문장」임시증간7호(1939.7)/창비사 펴냄 구한말 조선에서 영향력을 잃어가던 일본은 청일전쟁의 승리를 계기로 다시 조선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게 된다. 김홍집, 박영효 등 친일파 내각은 ‘홍범 14조’를 발표하는 등 대한제국의 개혁을 천명하고 나섰다. 이 때 주한일본공사의 제안으로 제1차 관비유학생이 파견된다. 일본이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고 침략을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서라도 개화사상을 가진 지식인들이 꼭 필요했던 것이다. 관비 유학생의 대부분은 양반 자제들로 200명 가까운 이들 조선 관비유학생을 받아들인 곳이 바로 복택유길(福澤諭吉)의 경응의숙이었다. 그러나 189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으로 중도 탈락하는 유학생들이 생겨났고 ‘아관파천’ 사건..
소설 '농군'이 친일논란에 휩싸인 이유 [20세기 한국소설] 중 이태준의 『농군』/「문장」임시증간 창작32인집(1939.7)/창비사 펴냄 창권이네 가족은 할아버지와 어머니 그리고 이들과는 동떨어져 보이게 창백한 아내 이렇게 넷뿐이다. 그들은 고향 강원도를 등지고 장춘행 열차에 몸을 실었다. 현재 이 가족에게는 밭 판 돈 삼백이십 원이 전부다. 그들이 도착한 곳은 만주의 쟝쟈워푸라는 곳이다. 창권이가 다니던 보통학교 교사였던 황채심의 권유로 이곳 이역만리 만주땅에 한 가닥 희망을 일구려 하고 있다. 쟝쟈워푸는 조선 땅과 달리 산도 없고 소 등어리만한 언덕도 없는 그야말로 황무지가 끝도 없이 펼쳐져 있다. 하나 둘 모이기 시작한 조선 사람들이 지금은 근 삼십 호의 조그만 마을을 형성하고 있다. 아무리 중국 정부로부터 개간권을 부여 받았다지만 이곳..
서리를 밞으면 얼음이 올 것을 각오하라 [20세기 한국소설] 중 이태준의 『패강랭』/「삼천리문학」1호(1938.1)/창비사 펴냄 옛 것을 그리워하고 복원을 꿈꾼다면 우리는 흔히 ‘보수’라는 말로 그 사람의 이데올로기를 특징짓는다. 한편 ‘보수’라는 말에는 부정적 이미지가 강하게 느껴진다. 단 우리사회만 한정한다면. 정치지향적 특성이 강한 우리 사회의 단면이기도 하다. 게다가 보수와 수구의 의미를 혼동하여 사용하다 보니 건전한 의미의 보수가 수구적 이미지로 덧칠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정치적으로 보수라 자처하는 사람들이 과거 군사정권과 같은 권위주의 정부에 대한 맹목적인 지지를 나타냄으로써 보수의 올바른 정의가 훼손되기도 한다. 옛 것을 지키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다. 한국 근·현대 작가 중 가장 미스터리한 인물로 꼽히는 이태준의 소설을 읽다 보..
'국가가 나에게 해준 게 뭐 있어' [20세기 한국소설] 중 채만식의 『논 이야기』/「협동」(1946.10)/창비사 펴냄 파출소 한 켠 긴 의자에는 늘 한 남자가 자고 있다. 넥타이는 반쯤 풀어져 있고 양복 윗도리는 의자에 걸쳐져 있으며 흰색 와이셔츠는 바지 밖으로 삐져나와 추레하기 짝이 없다. 신문지로 경찰서 아니 스튜디오의 환한 조명을 가리고 자고 있는 이 남자. 그도 평범한 늑대인지라 여우의 향기에 벌떡 일어나 방청객을 향해 사자후(?)를 토해낸다. “일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 “국가가 나한테 해준 게 뭐 있어” 방청객들은 박수를 넘어 열광적인 환호로 이 술취한 남자의 등장을 맞이해 준다. 많은 논란 끝에 폐지되었던 KBS ‘나를 술푸게 하는 세상’ 코너에서 박성광은 이렇게 세상을 향해 소리쳤다. 방청객들과 시청자들은 묘한 카타르..
고향에는 슬픈 신작로가 있었다 현진건의 /1926년 우리네 길은 꼬불꼬불 지루함이 없다. 굽이돌아 해가 드는 모퉁이에는 느티나무를 그늘삼은 큼직한 돌멩이가 있어 나그네의 쉼터가 되었다. 불쑥 튀어나온 어릴 적 벗이 더없이 반가웠다. 모퉁이를 돌아 마주친 낯선 이와도 엷은 미소를 주거니 받거니 했다. 이런 길이 어느 날 논을 가로지른 아지랑이 너머로 끝이 가물가물한 지루한 길이 되었다. 사람들은 그 길을 ‘신작로’라 불렀다. 누구나 기억을 더듬어 찾아낸 고향에는 신작로 하나쯤은 자리하고 있다. 우리는 신작로를 60,70년대 새마을 운동으로 생겨난 길이라고 알고 있다. 그러나 신작로는 그 이전부터 있었다. 일본 제국주의가 수탈한 식량을 원활하고 신속하게 운송하기 위해 우리네 꼬불꼬불했던 길을 쭉 잡아 늘어뜨린 길이 신작로였다. 신작로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