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룩

(4)
'영광스러운 자', 사라히투 사라히투Sarrahitu(‘영광스러운 자’라는 뜻)는 아케메네스 시대(BC 551년~BC 331년까지 통치한 고대 페르시아의 왕조)부터 우룩(이라크에 있는 수메릐 고대 도시로 지금의 와르카)에서 숭배된 메소포타미아 여신이었다. 사라히투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바빌론에서 발견되었는데 그곳에서 사라히투는 아무루(산의 신 또는 기후의 신)의 아내 아슈라툼과 동일시되었다. 그녀는 에사르하돈(? ~ BC 669년,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의 통치 기간 동안 에사길라(마르둑에게 헌정된 신전)에서 숭배된 신들 중 한 명으로 언급되었다. 최근에 해독된 글에서 사라히투는 ‘외국인, 아슈라툼’로 언급되어 있다. 아슈라툼은 우가리트 여신 아티라트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라히투는 아마사그누디, 아마아르후스와 함께 고..
최고신 안(아누)_아누와 관련된 신들 ‘안An’은 수메르어로 ‘높은 존재’라는 뜻일 것이다. 나중에 ‘안An’은 ‘신God’과 동의어가 되었다. 셈족 언어에서 ‘엘El’이 그랬던 것처럼. 안은 수메르 창조 신화에서 평평한 대지를 덮은 반구형 지붕으로 그려진다. 이 반구형 지붕의 바깥쪽은 티아마트Tiamat로 의인화된 태초의 염수 형태였다. 한편 지하의 담수는 압수Apsu로 의인화되었다. 수메르 말로 지명으로써의 ‘안An’은 ‘천국’이라는 뜻도 있었다. 그래서 어떤 경우에 신으로써 안 또는 천국이 같은 말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함무라비 이전 고 바빌로니아에서 아누는 하늘의 신과 신들의 왕으로 여겨졌다. 고대 비문에 따르면 많은 신들의 아버지로써 ‘위대한 황소’ 아누에게는 몇 명의 배우자가 있었다. 최초의 아누 배우자는 땅을 의인화한..
글을 쓰는 모든 이들에게 니사바의 축복을 메소포타미아(수메르) 신화에서 니사바(Nisaba)는 저술과 지혜의 여신으로 니다바(Nidaba)라고도 불린다. 그녀는 남부 메소포타미아에서 설형문자의 발명에 영감을 주었다. 수메르와 아카드에서는 무역에 관한 정보와 종교 행사를 설형문자로 기록했다. 또 설형문자는 엘람이나 히타이트, 우라르투 등의 외국 언어를 기록하는데도 사용되었다. 설형문자는 또 개인간에 주고받은 편지나 이야기를 기록하는데도 사용되었다. 니사바는 저술과 문학, 지혜, 필기의 여신으로 첨필과 글쓰기 판, 필경, 토판 등 수메르 문학의 모든 장비와 관련이 있다. 전형적으로 수메르의 모든 사본은 ‘니사바의 축복을!’이라는 문장으로 끝을 맺었다. 마무리되었다. 니사바는 ‘사바(Saba)의 여인’이라는 뜻이다. 어떤 학자들은 사바(Saba)가 ..
우정 때문에 불로초를 찾아나선 사나이 길가메시 서사시/N.K 샌다즈 해설/이현주 옮김/범우사 펴냄 그때 우룩의 한 곳에서는 사랑의 여신을 위해 신방이 차려져 있었다. 신부가 신랑을 기다리는 한밤중, 길가메시가 일어나 그 집으로 들어가려 하였다. 그 순간 엔키두는 박차고 일어나 길 한복한에 막아섰다. 강자 길가메시가 그 집에 도착하여 문에 서 있는 엔키두를 맞닥뜨렸다. 엔키두는 다리를 벌리고 그를 못 들어가게 막았다. 둘은 서로 으르렁거리다가 황소처럼 붙들고 늘어졌다. 그 바람에 문지방이 부서지고 벽들이 흔들렸다. 마치 황소처럼 콧김을 내뿜으며 그들은 서로 엉겼다. 문들이 박살나고 벽들이 흔들렸다. 드디어 길가메시가 땅 속에 다리를 박은 채 무릎을 꿇었고 이어서 엔키두도 쓰러졌다. 그 순간 그의 난폭한 성질이 사라졌다. 엔키두는 넘어지면서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