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사조

(2)
이집트에 불사조가 있다면 헝가리에는 투룰이 있다 전 세계 많은 국가나 민족의 신화 또는 전설에서 새만큼 빈번하게 신화적 창조물로 등장하는 동물은 없을 것이다. 신화 속에서 새는 종종 인간을 초자연적 영역과 연결시킨다. 예를 들어 불사조로 알려진 피닉스는 그리스, 이집트, 인도 신화 등에 중요하게 등장하는 신화적 새다. 피닉스는 떠오르는 태양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생명과 불멸을 상징한다. 마찬가지로 헝가리 신화에도 투룰Turul이라는 새가 등장하는데 거대한 독수리 또는 매 형상을 하고 있다. 투룰은 다음의 두 가지 전설을 통해 헝가리 민족의 상징이 되었다. 두 전설에서 투룰은 헝가리의 운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창조물로 등장한다. 전설에 따르면 훈족 최후의 왕 아틸라(Attila, 통치기간: 434년~453년)의 후손 에메세Emese 공주는 어느 날 투룰이..
불사조의 기원이 된 이집트의 신조, 벤누 헬리오폴리스의 위로 향한 신성한 돌인 ‘벤-벤Ben-Ben’ 뿐만 아니라 ‘밝게 빛나다’라는 뜻의 동사 ’웨벤Weben’과 관련해서 벤누Bennu(또는 베누Benu)는 중요한 조류 신이었던 새를 묘사하고 있다. 원래 태양과 관련된 벤누라는 새는 아툼, 라, 오시리스 등 세 명의 신과 관련이 있었다. 아툼의 한 측면으로써 벤누는 최초의 창조 전에 눈Nun(태초의 혼돈의 바다)의 물 위로 날아갔다고 전해진다. 전설에 따르면 벤누는 바위에 앉아 그의 울음소리로 태초의 침묵을 깨뜨렸고 이로 인해 막이 오른 창조에 창조에 무엇이 있고 무엇이 있어야 할 지가 결정되었다. 고대 이집트 신화에 따르면 신조 벤누는 태양신 라의 바Ba(영혼)로 여겨졌고 고대 이집트 후기 시대에는 새를 묘사하는 상형문자가 이 태양신의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