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의 여신

(4)
지질렐리아, 사랑의 여신?...비의 여신? 지질렐리아Dzydzilelya는 폴란드 판테온의 여신으로 15세기 폴란드의 사제이자 연대기 작가였던 역사학자 얀 드우고시(Jan Długosz, 1415년~1480년)가 그의 책 에서 언급한 신이었다. 얀 드우고시는 지질렐리아를 로마의 미의 여신 베누스에 비유했다.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가 슬라브 신화에 대한 믿을 만한 출처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폴란드의 문헌학자인 알렉산더 브뤼크너(Aleksander Brückner, 1856년~1939년)는 지질렐리아라는 이름이 의미를 알 수 없는 노래의 후렴구에서 유래했으며 얀 드우고시는 이를 신의 이름으로 착각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몇몇 학자들은 지질렐리아가 불가리아의 비의 여신 도돌라와 유사하며 아마도 도돌라와 비슷한 비와 다산의 여신이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하수구의 여신 클로아키나와 미의 여신 베누스를 결합시킨 이유 로마 제국(BC 650년~AD 400년) 시절 로마인들은 많은 신들을 숭배했다. 그들은 가능한 거의 모든 상황과 행동을 관장하는 신들을 가지고 있었고 모든 장소에 신들이 깃들어 있다고 생각했다. 로마 신화에서 클로아키나Cloacina는 고대 로마의 하수도와 도시 쓰레기를 관장하는 여신이었다. 그녀는 하수도 시스템의 원활한 작동을 책임지고 하수도 노동자들의 수호신이었다. 로마 제국 당시 로마처럼 큰 도시에서는 하수도가 큰 문제로 인식되었다. 고대 로마에 클로아키나는 미의 여신 베누스(그리스 신화의 아프로디테)와 동일시될만큼 중요한 신이었다. 고대 로마에서는 현재까지 동상으로 남아있는 클로아키나를 기리기 위해 동전이 주조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둥근 석조 신전이 여신에게 바쳐졌다. ‘영원한 도시’ 고대 로..
클리오드나, 그녀를 사랑하지 마세요! 켈트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들의 이야기에는 뛰어난 변신술, 마법의 새, 수많은 상징 등이 등장한다. 켈트 여신들에게서 발견되는 또 하나의 공통점은 그들에 대한 모순된 신화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즉 켈트 여신들 이야기는 신화와 현실의 경계를 마치 안개처럼 넘나든다. 그 여신들 중 하나가 클리오드나일 것이다. 켈트 신화에서 클리오드나Cliodhna는 미의 여신이자 바다의 여신이며 사후세계의 여신이다. 투아하 데 다난(‘다누 여신의 일족’이라는 뜻으로 기독교 이전 아일랜드에서 숭배되었던 신들)의 하나인 클리오드나는 바다의 신 마난 막 리르Manaan Mac Lir의 딸이다. 그녀는 종종 켈트족 사후세계의 상징인 바다새로 변신하곤 했다. 켈트족 사후세계의 여신으로서 클리오드나는 빛이나 행복과 관련이 있다. 바다의..
페이토, 설득의 원천은 사랑 그리스 신화에서 페이토(Peitho)는 설득과 유혹을 의인화한 여신이다. 페이토 여신은 로마의 수아델라(Suadela) 또는 수아다(Suada)와 동일시된다. 2세기 경에 활약한 그리스의 여행가이자 지리학자인 파우사니아스(Pausanias)가 쓴 에 따르면 아테네를 통일한 테세우스는 아크로폴리스 남쪽 언덕에 아프로디테 판데모스(지상에서의 사랑의 여신으로서의 아프로디테)와 페이토 신전을 세웠다고 한다. 또 그 신전들은 시키온(그리스 남부에 있는 고대 도시)에도 지어졌다고 한다. ▲페이토(왼쪽)와 아프로디테. 출처>구글 검색 아프로디테의 하급 신으로서 페이토는 설득의 여신일 뿐만 아니라 사랑과 미의 여신과도 연결된다. 고대 화가들과 시인들은 그들의 작품을 통해 아프로디테와 페이토의 관계에 대해 탐구해 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