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통

(3)
참으면 병이 된다. 울고 싶을 땐 울어라 이별한다는 것에 대하여/채정호 지음/생각속의집 펴냄 세상에서 가장 가슴 아픈 일, 상실은 예고 없이 누구에게나 찾아온다 아무 일 없이 잘 지내다가도 어느 날 갑자기 닥치는 것이 상실이다. 그것이 사별이든 이혼이든 아니면 또 다른 이별이든 사랑했던 이를 잃는다는 건 엄청난 고통이다. 그래서 어떤 이는 상실의 고통을 “마치 나의 가슴속에 뿌리 내리고 있던 나무를 통째로 뽑아내, 그곳에 도저히 메울 수 없는 구멍이 난 것과 같은 상처”라고 말했다. 이 책은 소중한 이를 잃은 슬픔에 관한 애도심리 에세이다. 정신과 전문의인 저자는 상실로 인해 마음이 아픈 사람들을 많이 만나왔는데, 이들 중에는 상실 후 상처가 깊어진 사람이 있는가 하면 오히려 마음이 더 단단해진 사람도 있다고 한다. 즉 상실의 슬픔을 잘 다스리..
갈매기의 꿈이 새우깡인 게 뭐가 어때서 리처드 바크(Richard David Bach, 1936년~)의 /1970년 ‘가장 높이 나는 새가 가장 멀리 본다.’ 중·고등학교 아니 국민학교(초등학교) 시절부터 수도 없이 들었던 말이다. 당연한 이치인 것을 'Boys be ambitious(젊은이여, 야망을 가져라.)'라는 영어 문장과 대동소이한 의미로 귀가 닳도록 들었다. 그러나 이 말의 출처인 리처드 바크(Richard David Bach, 1936년~)의 은 정작 읽어보지 못했다. 아마도 대학 새내기 시절 처음 샀던 것 같다. 그때도 결국엔 사회과학 서적에 밀려 책장 한 귀퉁이로 내몰리고 말았다. 그 후 꿈과 좌절이 반복되었던 20년이라는 세월을 집어삼키고서야 여기에 혹시 내가 꿈꾸는 미래가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뽀얀 먼지를 걷어내고 검지..
아픈만큼 성숙해지고... 세익스피어의 /1605년 "얻고 싶었던 사랑을 끝내는 잃어버린채 아픈만큼 성숙해지는 진실을 알게 했어요" 중학 시절 아픈만큼 성숙해진다는 이 노래 가사는 여드름 투성이 사춘기 소년들의 감수성을 자극하곤 했다. 그 때는 노랫말 이상의 의미를 두기에는 삶의 길이가 너무도 짧았다. 중년을 바라보는 나이가 되고서야 비로소 '아픈만큼 성숙해지는 진실'이 어렴풋하게 눈에 보일듯 말듯 한다. 그러나 죽을 때까지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주위 사람들과 사물들의 소중함을 깨닫고 사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호모 사피엔스'라 자부하는 인간이지만 스스로 인간의 고귀함을 깨닫는 데는 외부의 자극과 충격을 동반해야만 하는 나약한 존재가 또한 인간이다. 세익스피어의 [4대 비극] 중 하나인 의 주인공 리어왕도 극한의 고통 속에서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