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 어머니'라 불리는 탤런트 김혜자는 유엔난민홍보대사로도 많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녀가 쓴 책 중에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라는 제목의 글이 있다. 왜 하필 꽃일까? 누구나 동의하듯 꽃은 사랑이다. 가장 맑고 순수한 사랑의 표현이 꽃이다. 연인에게 프로포즈할 때도 꽃을 빼놓는 법은 없다. 아무리 격한 감정에 휩싸여 있더라도 꽃을 보고 얼굴을 찡그리는 사람은 없다. 꽃이 주는 마력이자 상징이다. 기아에 허덕이는 아프리카 아이들에 대한 그녀의 사랑을 대변해 주는 제목이기도 하다.
신화가 전해주는 꽃의 유래도 슬프기는 하지만 그 주제는 사랑이다. 사랑하는 이의 죽음을 꽃으로 환생시켜 변치않는 사랑의 약속을 지키고자 한다. 신화를 믿건 안믿건 우리가 사랑을 꽃으로 대신하는 것도 이런 신화의 상징을 믿기 때문은 아닐까?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시리즈를 읽으면서 꽃과 관련된 이야기를 몇 개만 추려보았다. 누구나 다 아는 이야기지만 들을 때마다 가슴시린 사랑의 감정을 느끼게 될 것이다. 다음에 소개하는 꽃들의 원산지는 당연히 그리스 신화의 무대가 된 지중해 연안일 수밖에 없다. 사랑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아레스의 질투? 아프로디테의 사랑? 아네모네 anemone |
아버지에게 참을 수 없는 욕정을 느낀 스뮈르나는 급기야 아버지가 술에 취한 틈을 타 동침을 해서 아이까지 임신하고 만다. 이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의 결실을 알게 된 키누라스왕은 딸인 스뮈르나를 죽여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자신의 질투가 비극적 종말이 될 줄은 꿈에도 몰랐던 아프로디테는 스뮈르나가 아버지 키누라스왕의 칼에 죽임을 당하는 찰나 스뮈르나를 몰약나무로 변신하게 했다.
훗날 아프로디테는 이 몰약나무의 껍질을 벗기고 아이를 한 명 꺼냈는데 이 아이가 바로 아도니스다. 몰약나무로 변신할 당시 스뮈르나가 아버지의 자식을 임신하고 있었다고 하지 않았던가!
아프로디테 여신의 사랑에 대한 욕망을 누가 말릴 수 있을까! 아프로디테는 몰약나무에서 꺼낸 아도니스를 사랑하게 된다. 그러나 또 아프로디테를 열렬히 사랑했던 신이 있었으니 바로 전쟁의 신 아레스다. 아레스는 아프로디테의 사랑을 받고 있던 아도니스가 눈엣가시였을 것이다.
멧돼지로 둔갑한 아레스는 아도니스의 옆구리를 어금니로 찔러 죽이고 만다. 이 때 아프로디테가 아도니스의 시신에 넥타르를 뿌려 꽃으로 피어나게 했으니 이 꽃이 바로 '아네모네'라고 한다.
자기를 사랑한 슬픈 사랑, 수선화 narcissus |
어느날 나르키쏘스는 산에 사냥을 하러 나갔다. 한찬 사냥을 즐기다 갈증을 해소하려고 옹달샘을 찾았다. 테이레시아스의 예언대로 나르키쏘스는 옹달샘에 비친 자신을 모습을 보고 말았다. 이게 무슨 운명의 장난이란 말인가! 나르키쏘스는 옹달샘에 비친 자신의 얼굴을 보자 사랑에 빠지고 말았다.
이 때 숲의 요정 에코(메아리)는 나르키쏘스의 아름다운 자태를 보고 참을 수 없는 사랑의 감정을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옹달샘에 비친 자신을 사랑하고 만 나르키쏘스에게 에코가 눈에 보일 리 없었다. 심지어 나르키쏘스는 에코의 구애를 무시해 버리기 일쑤였다. 결국 에코는 수치심을 이기지 못하고 목소리만 남긴채 재가 되어 사라지고 말았다.
한편 나르키쏘스는 붙잡을 수도 안을 수도 없는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하루 하루 여위어 갔다. 결국 나르키쏘스는 옹달샘 옆 풀밭에서 조용히 숨을 거두었다. 숲의 요정들이 나르키쏘스의 죽음을 애도하며 장례를 치르려고 했으나 그의 시신은 온데간데 없고 그가 있던 자리에는 꽃 한 송이가 피어있었다고 한다. 이 꽃이 바로 수선화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히아신스 hyacinth |
특히 아폴론의 히아킨토스라는 청년에 대한 사랑은 각별했다. 운동할 때나 사냥할 때 항상 히아킨토스를 데리고 다녔다. 어느날 아폴론은 히아킨토스와 원반던지기 놀이를 하고 있었다.
어떤 사랑이건 질투하는 자가 없으면 사랑의 깊이를 알 수 없는 법. 아폴론이 히아킨토스에게 원반을 던졌을 때 제피로스(서풍)는 원반을 히아킨토스의 머리로 날리고 말았다. 아폴론은 정신을 잃고 쓰러진 히아킨토스를 안고 통곡했다.
아폴론이 히아킨토스를 부둥켜 안고 있는 사이 히아킨토스의 이마에서 흐른 피는 한 곳에 모여 아름다운 꽃으로 피어났다. 아폴론은 이 꽃잎에 히아킨토스의 이름을 아로새겼다. 우리가 보고 있는 히아신스는 이 때 아폴론이 히아킨토스의 이름을 아로새긴 그 꽃이다.
'세계의 신화와 전설 > EU-그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과 신화 속 로또, 화수분은 어떤 의미일까? (27) | 2011.05.16 |
---|---|
'나가수' 임재범과 신화 속 '명가수' 오르페우스 (32) | 2011.05.10 |
신들은 어떻게 꽃이 됐을까? (13) | 2010.09.25 |
파에톤이라면 호박방의 미스터리를 풀 수 있을까? (8) | 2010.09.07 |
축구와 젊음의 어울림-유벤투스 FC (5) | 2010.09.05 |
[파이돈]에 등장하는 신화 관련 내용 정리 (4) | 2010.08.05 |
댓글을 달아 주세요
그리스 로마 신화 저도 읽었지만, 읽고 나면 전혀 꽃과 매치가 안 된다는 게 문제죠.
여강여호님처럼 정리를 하면서 읽어야 할까 봐요. ㅎㅎㅎ
저도 뒤늦게야 깨달았습니다. 나름 책은 많이 읽었다고 생각했는데 기록하는 습관이 없어서 그동안 무슨 책을 읽었나 하는 때가 많거든요..최근에야 블로그를 통해 기록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아직 글쓰는 솜씨는 영 엉망이네요
아~ 저런사연이 저도 로마신화를 읽었는데 전혀 처음듣는 이야기처럼..
잘 보고 잘 배우고 갑니다.
저도 읽을 때마다 새롭게 느껴지네요
꽃마다 그런 내력이 있네요
잘 배우고 갑니다
주말 잘 보내시고요
꽃을 함부로 꺽지 말아야 겠어요....슬픈 사랑에 눈물이라도 흘릴 것 같아서요
홍천댁이윤영씨 남편입니다 ^^ 감사하게도 베너를 달아주신다기에 염치불구 이미지 보내드릴 멜주소를 알려주십사 요청드리러 왔습니다 . 홍천댁블로그에 비밀댓글로 남겨주시면 낼름 보내드리겠습니다. 여강여호님께서 베너를 달아주신다면야 저희가 염치는 없겠지만서도 큰도움이 될거라서 감사히 받도록 하겠습니다 꾸뻑^^
댓글에 메일 주소 남겼습니다.
아.. 간만에 그리스 로마 신화를 다시 돌아보게 하는 글이네요. 꽃의 내력도 알게 되고,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I 사용자 웹사이트 ! 공개
웹사이트 입니다 아주 보기 . I 포기에 친구 .
나는 .처럼 우리는 이것이 정말 내 중 하나입니다 사실은 완전히 쉽게 에 읽기 !
람이든식이든 년에 번은몸살을앓나 봅니다.이파리가득하던나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