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3

(23)
죽음의 신 모트와 가나안 사람들이 계절의 변화를 설명하는 방식 마베트Mavet라고도 하는 모트Mot는 서셈족 판테온(우가리트 또는 가나안 신화)에서 죽음과 가뭄과 불모의 신이었다. 최고신 엘El의 아들들 중 한 명인 모트는 대지에 풍요를 가져다 주는 비의 신 바알Baal의 적대자였다. 모트는 사막이나 지하세계 및 생명에 반대되는 모든 것들을 관장했다. 모트는 메소포타미아나 이집트와 달리 큰 강이 없어 작물에 물을 주기 위해서는 강우량에 의존해야만 했던 가나안 지역에서 매우 중요한 신이었다. 우가리트 신화에서 모트와 바알의 전투는 계절의 변화 및 풍년과 흉년, 파종과 추수 등을 상징했다. 바알은 모트에 의해 죽임을 당할 때마다 그의 누이이자 사랑과 전쟁의 여신 아나트Anat에 의해 부활한다. 모트와 바알 사이의 투쟁은 성경에서 선지자 엘리야와 선지자 바알의 전투로 묘..
고대 이집트인들의 영안실을 지키던 신, 아누비스 아누비스(Anubis)는 고대 이집트 판테온을 대표하는 아이콘 중 하나다. 아누비스는 그리스식 이름으로 고대 이집트에서는 안푸(Anpu) 또는 인푸(Inpu)라고 불렀다. 아누비스는 가장 오래된 고대 이집트 무덤에서도 그 이름이 보이고, 피라미드 문서에도 죽은 자들의 수호신으로 기록되어 있다. 아누비스는 죽은 자들의 수호신일뿐만 아니라 영안실의 신이기도 하다. 아누비스는 원래 지하세계의 신이었다. 하지만 장례 의식에서 방부처리 과정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이름은 왕족 아이인 ‘인푸(Inpu)’와 같은 뿌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부패하다’라는 의미의 ‘인프(Inp)’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름만 봐서는 ‘부패하다’라는 의미의 ‘인프(Inp)’가 더 닮아 보인..
알바니아인들은 페렌디의 권위가 깃든 '번개 맞은 돌'에 대고 맹세했다 페렌디Perendi는 알바니아어로 ‘신’, ‘하늘’, ‘천국’을 의미하는 말로 알바니아 신화에서는 하늘 또는 천둥의 신으로 여겨졌으며 기원전 10세기 경부터 발칸 반도 서부에 거주했던 인도-유럽어족의 일부인 일리리아인들이 숭배했다. 그는 하늘의 아버지 조트Zot, 하늘의 빛 하이즈Hyj와 함께 기독교 이후 알바니아 판테온의 최고신으로 인식되었다. 또 다른 알바니아의 천신으로는 조즈Zojz와 대체로 낮의 천신으로 알려진 인도-유럽어족의 신 디에우스Dyeus가 있다. 페렌디는 기후와 폭풍의 신 슈르드Shurdh, 베르브트Verbt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페렌디의 배우자는 사랑의 여신 프렌데Prende로 북유럽 신화의 프리그(오딘의 아내)와 비교되기도 한다. 고대 알바니아인들은 번개를 ‘하늘의 불’로 여기..
늙은 거미 아레오프-에나프의 창조 이야기 아레오프-에나프Areop-Enap(나우루어로 ‘늙은 거미’라는 뜻)는 나우루(오세아니아 동북방에 있는 섬나라) 원주민 신화의 우주 창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나우루 신화에 따르면 태초에 우주에는 아레오프-에나프와 바다만이 존재했다. 아레오프-에나프는 어둠 속에서 먹거리를 찾던 중 거대한 대합조개를 발견했다. 아레오프-에나프가 대합조개를 기절시키기 전에 대합조개가 그를 먼저 삼켜 버렸다. 조개 뱃속을 탐색하던 아레오프-에나프는 작은 달팽이 한 마리를 발견했다. 아레오프-에나프는 그 달팽이를 팔 아래에 놓고 3일 동안 잠을 잤으며 그의 힘의 일부를 달팽이에게 전달했다. 그런 다음 그는 더 큰 달팽이를 발견해 전과 같이 그의 팔 아래에 두고 3일 동안 잠을 자면서 그의 힘을 달팽이에게 전달했다. 잠에..
제물을 바치지 않으면 가뭄을 일으키는 악마, 루비아 루비아Lubia는 알바니아 신화와 민속에서 물과 폭풍의 악마로 대개는 쿨세드라Kulshedra(알바니아 신화에 등장하는 불을 내뿜는 거대한 뱀)와 비슷한 머리가 여러 개 달린 거대한 암컷 뱀으로 묘사된다. 한편 남부 알바니아 신화에서 루비아는 폭풍의 여신으로 ‘어머니 루비아’로 불린다. 루비아는 여성 악마로 묘사된다. 그녀는 신비한 채소밭에 살았다. 강력한 악마로써 루비아는 처녀를 제물로 바치지 않으면 물을 마르게 한다고 한다. 루비아는 수십 개의 머리를 가지고 있는 뱀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리스 신화의 히드라처럼 머리 하나가 잘리면 그 자리에서 또 다른 머리가 자라난다. 루비아는 또 어린 소녀의 살에 억누를 수 없는 식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루비아와 알바니아 신화에 등장하는 용들(또는 거..
이집트 여왕 클레오파트라? 그리스 신화에도 클레오파트라가 있었다 동양의 양귀비와 쌍벽을 이루는 서양의 대표미인이 바로 클레오파트라이다. 클레오파트라는 고대 이집트 왕국의 마지막 여왕이었다. 클레오파트라는 로마 황제 카이사르와의 사이에서 케사리온이라는 아들을 낳았다. 카이사르가 암살당하자 클레오파트라는 새로운 권력자 안토니우스에게 접근해 결혼까지 했다. 그러던 중 카이사르의 양자인 옥타비아누스와의 전쟁이 발발했고 클레오파트라는 안토니우스와 연합군을 결성해 악티움 해전에서 운명을 건 전투를 벌였다. 하지만 패배로 끝났고 안토니우스는 자살로 생을 마감하고 말았다. 연인 안토니우스가 죽자 클레오파트라는 옥타비아누스를 유혹하려 했지만 실패하고 포로가 되어 로마로 끌려가게 되었다. 결국 클레오파트라는 독사에 팔을 물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여기까지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클..
메세니아의 건설자, 폴리카온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폴리카온Polycaon은 메세니아Messenia의 왕이자 라코니아Laconia의 왕자였다. 위대한 과업에도 그의 중요성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분명한 것은 폴리카온이 그리스 펠로폰네소스 반도에 있는 고대도시 라코니아와 메세니아의 역사 중 일부라는 것이다. 폴리카온은 라코니아의 초대 왕인 렐렉스와 나이아데스 님페(‘물의 요정’을 일컫는 말) 클레오카레이아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형제로는 밀레스가 있었다. 폴리카온의 형제 밀레스가 아버지 렐렉스를 이어받아 라코니아의 왕이 되었다. 폴리카온은 아르고스의 왕 트리오파스의 딸 메세네와 결혼했지만 메세네는 야망이 큰 여자였다. 메세네는 남편 폴리카온이 라코니아의 왕위를 계승받지 못하고 단순 왕족에 머문 것에 매우 실망했다. 메세네는 폴리카온에게 ..
샤프란으로 피어난 청년 크로코스 나르키소스Narcissus와 히아킨토스Hyakintos처럼 그리스 신화의 많은 캐릭터들이 식물과 꽃의 존재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이처럼 식물과 꽃의 존재를 설명하는 그리스 신화 캐릭터들 중 하나가 크로코스Crocos이다. 크로코스 사티부스Crocus sativus 즉 붓꽃과의 일종인 샤프란이 바로 크로코스 신화에서 유래되었다. 크로코스 신화가 아마도 그리스 신화의 다른 기원 이야기처럼 정의되지 않을 수 있지만 이야기는 스파르타의 라케다이모니아 또는 아티카의 엘레우시스에서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신화의 가장 유명한 버전은 잘생긴 인간 청년 크로코스와 그를 사랑한 전령의 신 헤르메스에 관한 이야기이다. 크로코스는 헤르메스가 던진 원반을 맞고 죽고 말았다. 연인의 죽음을 슬퍼하던 헤르메스는 크로코스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