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10

(23)
동물로 표현되는 '신의 현시', 바 이집트 신화에서 바Ba는 항상 사람의 머리를 가진 새, 보통은 사람 머리를 한 매로 묘사되었다. 바는 종종 죽은 자의 미라 위를 맴돌거나 마음대로 무덤을 드나들 수 있다고 인식되었다. ‘바Ba’라는 단어는 보통 ‘영혼’ 또는 ‘정신’이라는 의미이지만 좀 더 정확하게는 ‘신의 현시’로 번역할 수 있다. 바는 이집트 사상에서 인간의 특정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신왕국(기원전 1570년 ~ 기원전 1070년)에서 바는 죽음에서 살아남거나 존재하게 된 인간의 영적 측면이었다. 즉 바에는 그 사람의 개성과 인성이 포함되었다고 할 수 있다. 바는 종종 죽은 자의 무덤을 다시 방문하는데 시신이 바의 집이기 때문이다. 동물들은 때로 신들의 바우Bau(바Ba의 복수형)로 여겨졌다. 헬리오폴리스에서 벤누 새는 태양신 라..
시프의 금발이 상징하는 것 시프Sif는 북유럽 판테온의 여신으로 고대 아이슬란드 문학에서 종종 언급되었다. 하지만 여신에 대한 자세한 묘사가 아닌 스쳐 지나가는 정도의 언급에 그치고 있다. 사실 시프에 대해 알고 있는 유일한 사실은 그녀가 폭풍의 신 토르의 배우자라는 것이다. ‘시프Sif’라는 이름이 ‘결혼에 의한 관계’를 의미하지만 그녀의 성격이나 기능에 대한 어떤 것도 설명하지는 못한다. 단지 가족관계일 뿐이다. 궁술의 신 울Ullr의 어머니로 알려졌지만 그녀의 배우자인 토르가 울의 아버지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시프는 또한 ‘토르 망치의 창조’라는 이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물론 이 이야기에서도 그녀의 역할은 상당히 제한적이고 수동적이다. 이 이야기에서 시프는 매우 아름다운 금발머리를 가졌다고 하는데 교활한 사기꾼 로키..
발리인들이 생각하는 월식의 기원과 달의 여신 데위 라티 데위 라티Dewi는 자바와 발리에서 숭배되고 있는 힌두 달의 여신이다. 데위 라티는 아름답고 우아한 외모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래서 미의 여신으로도 불렸다. 한편 데위 라티 신화는 월식과 연결된다. 데위 라티가 그를 거부했기 때문에 칼라 라후는 비슈눌로카(비슈누의 천상 거처)를 공격할 계획이었다. 칼라 라후가 신들을 수행했던 락샤사의 우두머리인 쿠웨라 형상을 하고 하늘에 도착했을 때 라티는 쿠웨라가 실은 칼라 라후라는 것을 비슈누에게 알렸다. 비슈누는 쿠웨라가 그를 불멸로 만들 수 있는 신들의 음료인 티르타 아메르타를 마셨다는 것을 알지 못한 채 칼라 라후를 참수했다. 하지만 칼라 라후는 티르타 아메르타가 목구멍에만 닿은 채 참수되었기 때문에 머리만 떠다닌 채로 살아남았다고 한다. 데위 라티(달)가 ..
죽음과 파괴의 여신이자 파르바티의 아바타, 칼리 힌두 여신 칼리Kali는 죽음과 시간과 파괴의 신으로 성욕이나 폭력과 관련이 있고 강한 어머니상과 모성애의 상징으로도 인식되었다. 칼리는 또한 샥티-여성적 힘, 창조 및 다산-의 구현이며 시바의 배우자인 파르바티의 화신이다. 많은 예술 작품에서 칼리는 머리로 만든 목걸이, 팔로 만든 치마, 돌돌 말린 혀를 가지고 피가 뚝뚝 떨어지는 칼을 휘두르는 두려운 존재로 표현된다. 칼리의 이름은 ‘검은 그녀’ 또는 ‘죽음인 그녀’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됐지만 그녀는 또한 챠투르부자 칼리, 친나마스타, 카우쉬카 등으로도 알려졌다. 모든 것을 삼키는 시간의 구체화로서 칼리는 어머니 여신의 자비를 상징할 수도 있다. 칼리 여신은 인도 동부와 남부 특히 아삼, 케랄라, 카슈미르, 벵골 등에서 주로 숭배되고 있으며..
파괴 신 시바의 공포스런 아바타, 바이라바 인도(힌두) 신화에서 바이라바Bhairava는 파괴의 신 시바의 공포스런 형상(아바타)이다. 그는 또아리를 튼 뱀(귀걸이)과 팔찌, 발찌 및 신성한 실(야지노파비타)로 장식되어 있다. 그는 호랑이 가죽과 인간의 뼈로 만들어진 의식용 앞치마를 착용하고 있다. 바이라바 그 자신은 칼라 바이라바, 아시탕가 바이라바, 사마라 바이라바, 루루 바이라바, 크로다 바이바라, 카팔라 바이라바, 루드라 바이라바, 운마타 바이라바 등의 여덟 개의 아바타로 표현된다. 창조신 브라흐마는 우주를 여행하는 동안 유지의 신 비슈누의 거처에 도착했다. 그는 비슈누가 가루다와 다른 수행신들의 보호를 받으며 아디-아난타-쉐샤(뱀 신 나가스의 왕)에 누워 휴식을 취하고 있는 것을 보았다. 브라흐마가 왔을 때 비슈누는 그를 맞이하기 위해 ..
일식을 일으키는 아수라, 라후 힌두(인도) 신화에서 ‘버리다’, ‘무효로 하다’라는 의미의 라후Rahu는 베다의 아수라 중 하나이다. 라후는 비프라치타와 신히카의 아들이었다. 신들과 악마들이 모여 불멸의 술을 만들고 있을 때 신으로 위장한 뱀이 태양과 달 사이에 앉아 있었다. 힌두 전통에서 라후는 일식을 유발하는 태양을 삼키는 아수라의 잘린 머리이다. 그는 여덟 마리의 검은 말이 끄는 전차를 타는 몸통이 없는 뱀으로 묘사된다. 라후는 나바그라하스(아홉 개의 행성) 중 하나이며 케투와 쌍을 이룬다. 라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간주되는 시간을 라후 칼라라고 하며 이는 불길한 것으로 여겨진다. 천문학적으로 라후와 케투는 천구에서 이동할 때 태양과 달의 경로가 교차하는 지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라후와 케투는 각각 태양과 달의 교점이라고 불린..
찬드라, 달이 보름마다 차고 기우는 이유 인도 신화에서 찬드라Chandra는 달의 신이자 북쪽 방향의 수호신이다. 찬드라는 또한 소마라고도 불린다. 찬드라는 나바그라하스(힌두교에서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아홉 하늘의 신 또는 행성) 중 하나로 월요일을 주관한다. 그는 또한 풍요를 관장하는 신이기도 하다. 찬드라는 리쉬 아트리와 안수야의 아들로 라자니파티, 인두, 크슈파라카라고도 부른다. 참고로 ‘리쉬’는 산스크리트어로 ‘현자賢者’라는 뜻이다. 신화에 따르면 안수야의 명성과 영광은 전 세계로 퍼져 나갔다. 신들은 안수야가 그들에게서 천상의 보물을 빼앗을까봐 두려웠다. 신들은 인도 신화의 삼주신인 트리데바(브라흐마, 시바, 비슈누)에게 이에 관해 물었다. 트리데바는 그들에게 안수야의 위대함을 설명했다. 그러나 신들은 그녀의 순결을 더럽히기로 결..
앙그라 마이뉴, 내 안의 악마를 이기는 법 인간은 천사의 얼굴과 악마의 얼굴을 동시에 갖고 있다. 어느 쪽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인성이 결정된다. 자유의지를 강조하는 페르시아 신화는 인간의 양면을 아후라 마즈다(Ahura Mazda)와 앙그라 마이뉴(Angra Mainyu)의 대립으로 설명한다. 아리만(Ahriman)이라고도 하는 앙그라 마이뉴는 절대적 선, 지혜와 지식, 빛과 어둠, 별, 모든 정신적 육체적 활동인 아후라 마즈다의 적대적 신이다. 아후라 마즈다가 모든 악과 고통에 대항한다면 앙그라 마이뉴는 아후라 마즈다에 맞서 끊임없이 진실의 세계를 파괴하고자 한다. 결국 아후라 마즈다와 앙그라 마이뉴는 선과 악의 우주적 투쟁이다. 악마의 본령인 앙그라 마이뉴는 북쪽의 암흑에 산다. 자유자재로 변신도 가능해 조그마한 틈만 생기면 아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