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019/10

(27)
머리가 셋 달린 전쟁의 신, 트리글라브 유럽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악 지대 중 하나로 ‘줄리언 알프스’라는 곳이 있다. 2세기 경 로마가 슬로베니아를 정복한 후 율리우스 카이사르Julius Caesar의 이름을 따서 붙였다고 한다. 줄리언 알프스는 다른 알프스에 비해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빙하침식작용으로 생긴 뾰족한 봉우리가 장관이라고 한다. 줄리언 알프스는 유럽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알려진 사바 계곡과 소카 강이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특히 2,864미터의 트리글라브 산은 줄리언 알프스의 제왕으로 산 정상에서 바라보는 슬로베니아 전경이 압권이라고 한다. 이 트리글라브 산의 이름은 하늘과 대지와 지하세계를 상징했던 고대 슬라브 판테온의 신 트리글라브에서 유래했다. 트리글라브Triglav는 머리가 셋 달린 전쟁의 신이었다. 고대 슬라브인들..
암벽도시 페트라의 최고신, 두샤라 나바테아인Nabataean은 기원전 700년에서 기원전 200년 사이에 아라비아 반도 북동부, 시리아와 이라크의 서부에 살았던 민족이다. 원래 그들은 아랍계 유목민이었으나 로마제국의 침략 이후 이집트, 페니키아 등과의 상업교류를 통해 번영을 누렸다. 나바테아인이 사용했던 언어는 오늘날 아랍어의 직접적인 기원이 되었다고 한다. 아무래도 나바테아인 하면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암벽 도시 페트라Petra일 것이다. 나바테아인들은 붉은 사암 덩어리로 이루어진 거대한 바위 틈에 도시를 건설해 생활했다. 좁은 골짜기를 따라 극장과 목욕탕은 물론 상수도 시설까지 갖춰진 페트라는 암벽을 깎아서 건설되었다. 구약성서에는 ‘에돔의 셀라’라고 표현되었는데 페트라도, 셀라도 모두 ‘바위’라는 뜻이라고 한다. 페트라는 스티븐 ..
시간의 안개 속으로 사라진 여신, 아린나 아린나Arinna는 히타이트와 후르리족의 태양 여신으로 전쟁과 재앙을 막아주는 수호신이었다. 즉 태양이 비추는 동안은 어떤 부정한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그녀의 배우자는 폭풍의 신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확실한 것은 없다. 분명 아린나는 히타이트의 최고신이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신이었지만 현재 그녀의 존재를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그는 시간의 안개 속으로 사라져 버렸다. 차라리 기억할 만한 존재가 아니라고 치부하는 경향이 더 많을지도 모른다. 사실 아린나는 히타이트 판테온의 수장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일부 기록에도 그렇게 그렇게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문헌에만 존재하는 이름일 뿐 그녀가 어떤 활동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다. 어쩌면 아린나 여신은 히타이트 토착 여신이 아니었을지..
커피 원두 이름이기도 한 바탁에 얽힌 전설 커피 전문점 열풍이 불 때가 엊그제 같은데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커피는 어느덧 일상이 되었다. 커피를 들고 다니는 모습은 흔한 거리의 풍경 중 하나가 되었고, 이름도 생소한 커피 관련 용어들로 자연스러운 대화가 오고 간다. 그래서 말인데, 커피 원두 중에 ‘수마트라 블루 바탁’이 있다고 한다. 이름으로 원두 원산지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인가 보다 싶을 것이다. 그렇다면 ‘바탁’은 무슨 뜻일까? 바탁은 수마트라 섬의 마을 이름이자 부족 이름이라고 한다. 한편 몇 해 전 인도네시아에서는 종교의 자유와 관련해서 논란이 있었다. 인도네시아 인구의 90%가 이슬람을 믿지만 가톨릭, 개신교, 불교, 유교, 힌두교까지 6개 종교의 자유를 보장해 왔다고 한다. 하지만 이에 해당되지 않은 신앙은 종교로 인정되지 않아 평..
중국 신화 속 중매쟁이, 월하노인 타이완 용산사는 늘 사람들로 북적인다고 한다. 이유는 이곳에 관성제군과 월하노인이 있기 때문이다. 관성제군은 의 영웅 관우로 현재 도교에서는 재물의 신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재물의 신 관우와 함께 사람들의 발길을 사로잡는 신이 바로 중국 신화 속 중매쟁이 월하노인이다. 월하노인月下老人Yue Lao은 남녀의 결혼을 관장하는 중국의 신이다. 최초의 월하노인 이야기는 당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위고라는 젊은 남자는 신부감을 찾지 못해 고민이었다. 위고가 신부감을 찾아 송성을 여행하고 있을 때 달 아래에서 책을 읽고 있는 노인을 보았다. 위고는 노인에게 달빛 아래서 무슨 책을 읽는지 물었다. 노인은 결혼에 관한 책이라고 알려주면서 자신은 붉은 실로 남녀를 부부로 만들어주는 일을 한다고 말했다. 신부감을 찾..
천둥의 신 타르훈트와 잊혀진 민족 루위족 타르훈트Tarhunt(또는 타루Taru, 타르후Tarhu, 타르훈Tarhun, 타르훈나Tarhunna, 타르후이스Tarhuis)는 고대 아나톨리아의 천둥(기후)의 신이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루위족Luwian의 신이었다. 루위족은 고대 아나톨리아 지방에 살던 부족으로 고대 히타이트와 관련이 있고, 후기 히타이트 문화를 주도했던 부족이었다. 루위족 문화는 히타이트 문화와 전반적으로 비슷해서 두 민족의 문화를 따로 구분하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일까? 천둥의 신 타르훈트도, 달의 신 아르마라도 두 민족이 똑같은 이름으로 불렀다. 타르훈트의 이름은 히타이트와 앗시리아(1400~612BC) 기록문서를 통해 전해지고 있다. 이후 헬레니즘 시대에는 개인 이름으로 등장하는데 주로 소아시아 남동부의 실리시아 출신이었..
천둥의 신 타라니스의 바퀴가 의미하는 것 켈트 신화에서 타라니스Taranis는 강력한 천둥의 신이었다. 타란Taran이라고도 하는데 타란은 웨일즈나 브리튼 말로 ‘천둥’을 의미한다. 타라니스는 북유럽 신화의 토르, 슬라브 신화의 페룬, 인도 신화의 인드라만큼 유명한 신은 아니다. 이 신들의 공통점은 모두 천둥의 신이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대 로마 비문에는 켈트인들이 하늘과 날씨를 관장하는 신으로 타라니스를 숭배했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고대 로마인들은 타라니스를 유피테르(그리스 신화의 제우스)와 동일시했다. 한편 켈트 판테온 천둥의 신 타라니스의 상징은 살이 있는 바퀴였다.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타라니스는 갈리아, 브리튼, 아일랜드뿐만 아니라 라인 지방이나 다뉴브 지역에서도 숭배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켈트인들에게 타라니스가 얼마..
창조신 완드지나의 입이 없는 이유 완드지나Wandjina(또는 완지나Wanjina) 암벽화는 호주 북동쪽 킴벌리 지역에서만 발견된다. 물론 호주 이외 지역에서는 볼 수 없다. 완드지나는 이 지역 원주민으로 우로라, 은가리닌, 우눔발이라는 세 개의 언어를 쓰는 모완줌 부족에게는 아주 특별한 영적 존재로 알려졌다. 모완줌 부족에게 완드지나는 최고신이자 풍요와 비의 상징이다. 그들의 조상들은 수천 년 동안 서부 킴벌리 전역에 흩어져 있는 바위에 완드지나와 최초의 인간 기욘기욘(Gyorn Gyorn)을 그려왔다. 이것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종교예술활동이다. 모완줌 부족 특유의 완드지나들은 폭풍의 눈처럼 큰 눈을 가졌지만 입은 없다. 흡사 공상과학영화에서 보는 외계인 모습을 연상시킨다. 완드지나는 강력한 힘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입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