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화와 전설/로마

오비디우스가 미네르바를 '천 개 직업의 여신'이라고 말한 이유

반응형

미네르바Minerva는 고대 로마 판테온에서 중요한 신들 중 하나였다. 그녀는 주로 지혜의 여신으로 숭배되었다. 미네르바는 또한 무역, 예술, 전쟁의 여신으로도 여겨졌다. 게다가 미네르바는 의술, 시, 공예품 등과도 관련이 있었다. 사실 미네르바는 삶의 너무 많은 부분을 지배하고 있어서 고대 로마의 시인 오비디우스(Publius Ovidius Naso, BC 43년~AD 17년)는 그녀를 ‘천 개 직업의 여신’이라고까지 언급했다. 미네르바는 종종 그리스 여신 아테나Athena와 동일시된다. 하지만 미네르바는 원래 에트루리아(BC 10세기에서 BC 3세기까지 이탈리아 중부지방을 지배하다 로마에 정복되었다)의 여신이었다. 예를 들어 그녀의 이름은 에트루리아 판테온의 예술의 여신 멘르바Menrva와 유사하다. 로마인들이 미네르바 숭배를 채택했는데 로마인들은 여신 이름을 ‘마음’을 뜻하는 라틴어 ‘멘스Mens’와 연결시켰다. 더 나중에 미네르바는 그리스 여신 아테나와 동일시되었고 미네르바가 전쟁과 관련된 것도 이 시기였다.

 

 

로마 신화에서 미네르바는 유피테르Jupiter(그리스 신화의 제우스Zeus)의 딸이었고 그녀의 출생 이야기는 그리스 판테온의 아테나Athena와 동일하다. 신화에서 유피테르는 지혜(그리스 신화의 메티스Metis)의 자식이 그를 능가할 것이라는 신탁을 받았다. 신들의 왕으로서 자신의 권력을 지키기 위해 유피테르는 지혜의 여신 메티스와 결혼해 관계를 맺은 후 그녀를 삼켜 버린다. 하지만 메티스는 이미 임신한 상태였다. 신들 중 어느 누구도 심지어 유피테르조차도 이 사실을 알지 못했다고 한다.

 

아홉 달 후 유피테르는 극심한 두통에 시달렸다. 신들의 왕(유피테르)은 고통을 덜기 위해 불칸Vulcan(그리스 신화의 헤파이스토스Hephaestus)을 불렀다. 불칸은 도끼로 유피테르의 머리를 쪼갰다. 이 때 놀랍게도 다 자란 소녀가 쪼개진 유피테르의 머리에서 튀어나왔다. 그녀는 갑옷과 투구를 착용하고 한 손에는 방패를 다른 한 손에는 창을 들고 있었다. 그 소녀가 바로 미네르바 여신이었다.

 

미네르바는 고대 로마 종교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이것은 카피톨리움 삼신 중 하나로서의 여신의지위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유피테르(그리스의 제우스), 유노(그리스의 헤라), 미네르바(그리스의 아테나)로 구성된 카피톨리움 삼신은 로마 카피톨리나 언덕에 있는 그들의 신전에서 이름을 따왔다. 카피톨리움 삼신에게 봉헌된 신전들은 카피톨리아로 알려졌으며 이탈리아뿐만 아니라 다른 지방의 언덕이나 주요 지역에 지어졌다.

 

게다가 로마 제국의 특정 지역에서 미네르바는 지역 신들과 혼합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술리스 미네르바Sulis-Minerva는 브리튼 사람들이 지혜의 여신으로 숭배한 술리스와 미네르바가 혼합된 신이었다. 또한 미네르바만을 위한 신전도 있었다. 미네르바 칼시디카 신전 또는 미네르비움은 폼페이우스(Gnaeus Pompeius Magnus, BC 106년~BC 48년, 로마 공화정 말기의 장군이자 정치가) 가 지은 미네르바 신전이었다. 나중에 이곳은 기독교화되어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라는 교회가 신전 유적지 위에 세워졌다. 그러나 현대의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미네르비움이 이 교회 바로 아래에 있지 않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고대 로마에는 미네르바를 기리는 많은 축제들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퀸콰트리아가 가장 유명했는데 매년 3월 19일부터 23일까지 열렸다. 이 날은 장인들의 공휴일로 여겨졌고 축제 마지막 날에는 검투사의 대결이 벌어졌지만 피를 흘리지는 않았다고 한다. 이 기간 동안 웅변가, 시인 등의 극장 공연도 함께 열렸다. 또 다른 미네르바 축제인 미누스쿨레 콴콰트리아는 매년 6월 13일에 열렸고 이 축제의 주인공은 플루트 연주자들이었다.

 

하지만 미네르바 숭배는 기독교 부흥과 함께 쇠퇴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혜의 여신으로서의 미네르바의 위상과 영향력은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미네르바 동상이 로마의 라 사피엔자 대학교 중심에 서 있다. 또 링컨 대학교(영국), 올버니 대학교(미국), 막스 플랑크 과학진흥협회(독일) 등 많은 고등교육기관이 미네르바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다. 신기한 것은 20세기 초 마누엘 호세 에스트라다 과테말라 대통령이 ‘미네르바 문화’를 홍보하려고 시도했다는 것이다. 오늘날 과테말라 주변 공원에 있는 몇몇 헬레니즘 신전들이 이 신기한 운동의 존재를 증명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