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화와 전설/인도

인도에서 시험 볼 때 락슈미를 찾는 이유

반응형

부와 행운의 여신 락슈미(Lakshmi). 출처>구글 검색

인도(힌두) 신화에서 가장 유명한 여신 중 하나인 락슈미(Lakshmi)는 원시 우유 바다에서 나타난 마지막 신이었다. 락슈미는 산스크리트어로 ‘목표’,. ‘목적’이라는 뜻이다. 락슈미는 특히 가정에서 여성들에게 인기가 있으며, 남성들도 유지의 신 비슈누(Vishnu)를 대신할 중재자 또는 배우자로써 락슈미에게 기도를 하면 그녀는 비슈누를 대신해 용서를 베푼다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비슈누는 불멸을 원했고, 원시 우유 바다를 휘저어 신들의 음료인 암리타(Amrita)를 만들었다. 그리스 신화의 암브로시아(ambrosia)와 비슷한 개념일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치 줄다리기 하듯 신들과 악마들이 거대한 산의 양쪽을 잡았고 비슈누는 그 산 꼭대기를 잡고 우유 바다를 휘저었다. 이 산은 비슈누가 우유 바다를 저을 때 쓰는 막대였다. 또 이 산은 뱀의 왕인 바수키(Vasuki)가 쏜 불화살이기도 했다. 이 원시의 우유 바다 물을 마시면 불멸의 생명을 얻어 별이 되었다고 한다. 이 위대한 여신 락슈미와 그의 형제들도 이 때 출현했다.

 

락슈미는 대개 네 개의 팔을 가진 여성으로 그려지는데 이 네 개의 팔은 정의와 욕망, 부, 출생과 죽음으로부터의 해방 등 우주의 네 가지 방향과 인간 생활의 네 끝을 상징한다. 그러나 항상 그렇게 묘사되지는 않았지만 락슈미는 연꽃 위에 앉아있는 열여덟 개의 팔을 가진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했다. 각각의 팔은 구슬, 도끼, 화살, 천둥, 칼, 방패, 연꽃, 삼지창 등 성스러운 도구들을 들고 있다. 락슈미의 피부는 분홍색, 황금색, 흰색 등으로 묘사되는데 각각 서로 다른 의미가 있었다. 어머니 여신으로서의 락슈미는 분홍색으로, 우주의 기운을 뜻하는 샥티(Shakti)로서의 락슈미는 황금색, 대지의 어머니로서의 락슈미는 흰색 피부를 가진 것으로 그려졌다. 그녀는 또 모든 정신세계의 지주이기도 했다. 락슈미는 비슈누의 권력으로 비슈누를 대신해 인간 세계를 중재한다.

 

락슈미는 연꽃 위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서 있으며, 그녀를 수행하는 코끼리 두 마리가 이 연꽃에 물을 주는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또 락슈미는 수천 개의 머리를 가진 뱀 위에 누워있는 비슈누의 발을 씻어주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비슈누의 배우자답게 락슈미도 비슈누처럼 여러 화신으로 출현한다. 락슈미의 피부가 검은색으로 나타날 때도 있는데 이 때는 파괴적인 신 칼리(Kali)가 그녀의 화신(아바타)일 때였다.

 

락슈미는 인도에서 가장 대중적인 신 중 하나로 사람들은 그녀에게 부와 영적 또는 물질적 번영, 빛, 지혜, 행운, 풍요, 용기, 관대함 등을 기도한다. 그녀는 또 아름다움과 우아함, 매력을 구현해 준다고도 한다. 특히 인도 사람들은 사업을 하거나 시험을 볼 때 락슈미를 찾는다고 한다. 행운과 부의 여신 락슈미에게 사업의 번창과 시험의 행운을 빌기 위해서다.

 

락슈미를 기리기 위해 많은 인도 여성들은 매년 9월4일부터 9월19일까지 16일 동안 계속되는 단식 의식에 참여한다. 이 날짜는 음력으로 매년 바뀐다고 한다. 단식 기간 동안 참가자들은 과일, 우유, 사탕만 먹을 수 있다고 한다. 무사히 16일을 견디면 락슈미가 참가자들의 가정에 들어와 부와 행운을 줄 것이라고 믿는다고 한다.

 

락슈미는 일년 내내 인도 사람들의 숭배를 받지만 특히 10월 말이나 11월 초에 열리는 빛의 축제인 디왈리(Diwali) 때는 모든 가정에 등불을 켜고 락슈미를 기린다고 한다. 가벼운 도박을 하면서 락슈미를 달래기도 한다.

 

락슈미는 부와 풍요를 상징하는 빨간색이나 황금색 옷을 입는 것으로 그려진다. 락슈미는 쑥의 일종인 머그워트(Mugwort), 웜우드(Wormwood)와도 관련이 있다. 또 빌바(Bilva) 나무뿐만 아니라 생명의 나무인 툴라시(Tulasi) 나무와도 관련이 있다. 락슈미를 묘사한 그림에는 부엉이나 코끼리가 등장하기도 한다. 락슈미는 비의 강력한 번식력 뿐만 아니라 꽃과 물의 냄새를 좋아했다. 그녀는 또 소 똥이나 냄새를 포함한 원시적인 요소들과도 관련이 있다고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