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햄릿

(3)
긴긴 겨울밤을 무료하지 않게 보내는 방법 그리스 신화에서 벗어나라 신화 읽기의 핵심은 알쏭달쏭한 이야기 속에서 상징(메타포, metaphor)을 찾는 것이다. 가령 그리스 신화에서 '외짝신 사나이'로 불리는 영웅이 있다. 이아손, 영어권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성(姓)인 Jason의 어원이 되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이 바로 이아손이다. 이아손은 삼촌에게 빼앗긴 나라를 찾기 위해 고국으로 가는 도중에 물살이 센 강을 건너지 못하고 있는 한 노파를 업어서 강을 건너게 해 준다. 무사히 강은 건넜지만 이아손은 신발 한 짝을 물살에 빼앗기고 만다. 그러나 외짝신은 이아손이 조국을 다시 찾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이아손이 업어서 강을 건너게 해 준 그 노파가 다름아닌 헤라 여신이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신화는 왜 쓸모없는 신발을 이야기의 전면에 내..
[햄릿]의 주옥같은 명대사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세계적인 대문호답게 세익스피어의 [햄릿]은 주옥같은 명대사들로도 유명하다. 고전 [햄릿]을 읽어보지 않았더라도, 연극 [햄릿]을 보지 않았더라도 '죽느냐 사느냐, 이것이 문제로다'쯤은 들어보지 않은 이가 없을 것이다. 아니 각종 미디어를 통해 때로는 일상에서 가장 많이 듣고 가장 많이 인용하는 [햄릿]의 명대사임에 분명하다. 한가지 안타까움이 있다면 이 대사를 처음 접했던 게 [햄릿]이라는 책을 통해서가 아니라 중학교 영어시간이었다는 것이다. 이 얼마나 각박하고 모순된 현실인가! 감수성이 차고도 넘칠 청소년 시절을 교과서 속 세상에만 갇혀 사는 아니 그 세상만 강요하는 현실에 긴 아쉬움과 분노가 느껴지는 것은 비단 나뿐만은 아닐 것이다. 직접 읽어보지는 못하더라도 어떤 상황에서 이런 주옥같은 대사가 탄생..
햄릿은 정말 우유부단했을까? 세익스피어의 /1601년 '죽느냐 사느냐, 이것이 문제로다' 세익스피어의 을 읽어보지 않았어도, 을 주제로 한 영화나 연극을 본 적이 없어도 이 대사가 의 명대사임을 모르는 이는 없을 것이다. 고전 중의 고전 은 인도와도 바꾸지 않겠다던 영국의 자존심, 세익스피어의 대표작 중의 하나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