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독

(4)
식민지배의 아픔이 있는 술, 발체의 신 아칸 마야 신화▶고대 마야 문명 (BC 2000년~ AD 16세기 초)은 당시로써는 가장 진보되고 흥미로운 문명 중의 하나였다. 일반적으로 10세기 이후 마야 문명은 그 막을 내렸다고 본다. 일부 생존한 마야족 후손들이 멕시코 중앙고원에서 유카탄 반도 지역으로 이동해 16세기 초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긴 했지만 찬란했던 과거의 문명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지리멸렬했기 때문이다. 눈길을 사로잡는 고대 사원이나 그 유명한 마야 달력 말고도 마야족은 스페인 정복자들이 와인이나 포도주를 소개하기 전부터 상당한 술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술과 중독의 신 아칸(Acan)은 마야 만신전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아칸은 고대 마야인들이 즐겨 마셨던 술 발체(Balche)와 깊은 관련을 맺고..
신농, 현진건의 설렁탕이 떠오르는 건 인력거꾼 김첨지는 그날 따라 운이 좋았다. 님이 줄을 잇고 자신의 구역이 아닌 곳에서도 손님을 태웠다. 그야말로 행운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이런 행운에도 불구하고 김첨지에게는 알 수 없는 불안이 엄습해 오고 있었다. 아내는 열흘째 아파 누워 있었고 세 살배기 아이는 아픈 엄마 젖이나 빨며 굶주리고 있을 터였다. 게다가 아내는 아침에 일을 나서는 그를 말리기까지 했다. 소설에서 불길한 예감은 늘 틀리는 법이 없다. 비가 추적추적 내리고 고주망태가 된 김첨지는 집으로 갔다. 불길한 예감을 애써 지우려는 듯 누워있는 아내를 일부러 걷어 차보기도 하고 소리도 질러보지만 아내는 이미 주검이 되어 있었고 아이는 죽은 엄마의 빈 젖을 빨다 지쳐 탈진해 있었다. 김첨지는 닭똥 같은 눈물을 쏟아내며 푸념을 한다. “ 설..
나는 왜 바보상자가 되었을까요? 나를 시청하는 게 아이의 뇌 발달과 사람들과 소통하는 데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 아이들이 언어가 발달하기 위해서는 쌍방향의 의사소통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나는 쌍방향 의사소통이 아니고 일방적인 의사소통이기 때문에 언어가 발달하지 않는다. 나에게만 의존하다 보면 사람들과 소통하는 방식에서 서툴러질 수 있다. 게다가 나는 화면 전환이 너무 빠르다. 채널을 돌릴까봐 그렇게 만든 것이다. 이렇게 빠른 화면 전환은 아이들은 이해하지도 못하고, 어리둥절하게끔 하는 충격을 줌으로써 지능 발달에 좋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 텔레비전에 나오는 내용을 무조건 학습하는 나쁜 점도 있다. 아이들은 자신이 본 것을 무조건 따라 하는 경향이 있다. 나는 아이들에게 안 좋은 장면을 마음껏 보여주기 때문에 위험하다. 게..
"노랑수건, 네가 강자(强者)다" [20세기 한국소설] 중 이태준의 『달밤』/「중앙」1호(1933.11)/창비사 펴냄 강자가 살아남는다 하고 살아남는 놈이 강자라 한다. 인간이란 참 간사하다. ‘호모○○○’, ‘호모○○○’, ‘호모○○○’ 라는 난해한 말을 만들어 동물과 구분하려 들면서 정작 동물들의 세계인 ‘약육강식(弱肉强食)’을 진리인양 떠받들고 산다. 도대체 강자란 누구이며 어떤 놈이 살아남는단 말인가! 권력과 돈을 가진 자?, 뛰어난 머리와 빠른 발을 가진 자? 아니다. 약삭빠른 자가 강자다. 살아남는 자가 강자라면 분명 쥐처럼 약삭빠른 자가 강자임에 틀림없다. 약자가 만들어준 강자의 세상. 꼴찌에게 보내는 박수는 강자의 거만함인지도 모른다. 이태준의 소설 『달밤』의 주인공 황수건은 빡빡 깎은 머리지만 보통 크다는 정도 이상으로 ..